[뉴스토크] 위기의 저축은행

입력 2011.02.21 (23: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저축은행에서 또 한번 집단 예금인출사태가 빚어 졌습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부산에 직접 내려가 대책회의를 했지만 상황은 예측불허입니다. 주용식 저축은행 협회장 나왔습니다.

그러면 주요내용 김진희 앵커가 정리해 드립니다.

<질문> 금융위원장이 추가적인 영업정지가 없다고 말한지 며칠도 안돼 저축은행 4곳이 영업정지 됐습니다. 왜 그런 겁니까?

<질문> 과도한 예금인출만 없다면 저축은행을 영업정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추가적인 영업정지가 또 있을지가 관심인데요?

<질문>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들은 앞으로 어떤 절차를 밟게 됩니까?

<질문>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7곳의 저축은행이 무너졌어요 이유가 뭡니까?

<질문> 이렇게 많은 돈을 투자한 이유가 뭘까요 위험부담이 있다는 걸 저축은행도 알고 있었을 거 아닙니까?

<질문> 다른 저축은행들은 재무상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요?

<질문> 예금자들이 가장 걱정하는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느냐 하는 건데요?

<질문> 대전저축은행도 부산저축은행 계열사 아닙니까, 원래 저축은행은 각 지역마다 하나씩 있는 것 아닙니까, 어떻게 이렇게 확장할 수 있었던 겁니까?

<질문> 결국 금융당국에서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게 해주고 하면서 이런 사태가 왔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질문> 앞으로 예금자가 안심할만 한 대책 같은 걸 준비하고 계십니까?

<예고> 복지정책은 딱 돈이 들어간 만큼만 돌아갑니다. 일자리 만들기, 말같이 쉽지 않습니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듭니다. 이 시대 왜 사회적 기업인가? 뉴스토크에서 다룹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토크] 위기의 저축은행
    • 입력 2011-02-21 23:50:48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저축은행에서 또 한번 집단 예금인출사태가 빚어 졌습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부산에 직접 내려가 대책회의를 했지만 상황은 예측불허입니다. 주용식 저축은행 협회장 나왔습니다. 그러면 주요내용 김진희 앵커가 정리해 드립니다. <질문> 금융위원장이 추가적인 영업정지가 없다고 말한지 며칠도 안돼 저축은행 4곳이 영업정지 됐습니다. 왜 그런 겁니까? <질문> 과도한 예금인출만 없다면 저축은행을 영업정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 추가적인 영업정지가 또 있을지가 관심인데요? <질문>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들은 앞으로 어떤 절차를 밟게 됩니까? <질문>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7곳의 저축은행이 무너졌어요 이유가 뭡니까? <질문> 이렇게 많은 돈을 투자한 이유가 뭘까요 위험부담이 있다는 걸 저축은행도 알고 있었을 거 아닙니까? <질문> 다른 저축은행들은 재무상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요? <질문> 예금자들이 가장 걱정하는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느냐 하는 건데요? <질문> 대전저축은행도 부산저축은행 계열사 아닙니까, 원래 저축은행은 각 지역마다 하나씩 있는 것 아닙니까, 어떻게 이렇게 확장할 수 있었던 겁니까? <질문> 결국 금융당국에서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하게 해주고 하면서 이런 사태가 왔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질문> 앞으로 예금자가 안심할만 한 대책 같은 걸 준비하고 계십니까? <예고> 복지정책은 딱 돈이 들어간 만큼만 돌아갑니다. 일자리 만들기, 말같이 쉽지 않습니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듭니다. 이 시대 왜 사회적 기업인가? 뉴스토크에서 다룹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