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가정 내에서 엄마의 역할이 커진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죠.
그러다보니, 청소년들도 아버지 쪽이 아니라 어머니 쪽 친척들에게 더 친근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친척 가운데 누구와 가장 친하냐고 중3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18명 가운데 16명이 이모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이도연(중3): "(이모가) 엄마 쪽이다 보니까 더 친한 것 같아요. 요즘 엄마가 대세잖아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중고등학생 6천9백여 명을 조사한 결과, 이모를 가족으로 여긴다는 응답은 83.4%로 가장 높았습니다.
2위 역시 엄마의 형제인 외삼촌이 차지했고, 아버지의 형제인 고모와 삼촌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모부와 외숙모 역시 78%로 그 다음을 차지해 대체로 외가쪽 친척을 친가 쪽보다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종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교육 수준이 높은 전업 주부들이 가정 내에서 자녀 양육을 전담하다 보니까 어머니 중심으로 부모 자녀 관계가 형성이 됩니다."
또 오랫동안 길러온 애완동물에 대한 친밀도가 촌수가 멀지만 가깝게 지내는 친척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족에 대한 개념을 단순히 피를 나눈 형제 자매, 친인척을 떠나 애완동물까지도 가족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배병우(중학교 2학년): "제가 아파서 방에 혼자 있을 때 얘들이 와가지고 그 아픈 부위를 계속 핥아줘서 그때 굉장히 좋았어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번 조사가 전반적으로 한국 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 혈연 중심에서 모계- 생활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는 지금까지 가부장적이었던 부계 사회가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공부 스트레스가 다른 나라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가운데 70%는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으로 공부를 꼽았지만 미국과 일본, 중국 청소년들은 학교 성적 문제로 고민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KBS뉴스 김학재입니다.
가정 내에서 엄마의 역할이 커진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죠.
그러다보니, 청소년들도 아버지 쪽이 아니라 어머니 쪽 친척들에게 더 친근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친척 가운데 누구와 가장 친하냐고 중3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18명 가운데 16명이 이모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이도연(중3): "(이모가) 엄마 쪽이다 보니까 더 친한 것 같아요. 요즘 엄마가 대세잖아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중고등학생 6천9백여 명을 조사한 결과, 이모를 가족으로 여긴다는 응답은 83.4%로 가장 높았습니다.
2위 역시 엄마의 형제인 외삼촌이 차지했고, 아버지의 형제인 고모와 삼촌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모부와 외숙모 역시 78%로 그 다음을 차지해 대체로 외가쪽 친척을 친가 쪽보다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종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교육 수준이 높은 전업 주부들이 가정 내에서 자녀 양육을 전담하다 보니까 어머니 중심으로 부모 자녀 관계가 형성이 됩니다."
또 오랫동안 길러온 애완동물에 대한 친밀도가 촌수가 멀지만 가깝게 지내는 친척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족에 대한 개념을 단순히 피를 나눈 형제 자매, 친인척을 떠나 애완동물까지도 가족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배병우(중학교 2학년): "제가 아파서 방에 혼자 있을 때 얘들이 와가지고 그 아픈 부위를 계속 핥아줘서 그때 굉장히 좋았어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번 조사가 전반적으로 한국 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 혈연 중심에서 모계- 생활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는 지금까지 가부장적이었던 부계 사회가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공부 스트레스가 다른 나라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가운데 70%는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으로 공부를 꼽았지만 미국과 일본, 중국 청소년들은 학교 성적 문제로 고민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KBS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가까운 친척은 이모·외삼촌
-
- 입력 2011-02-27 08:01:18

<앵커 멘트>
가정 내에서 엄마의 역할이 커진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죠.
그러다보니, 청소년들도 아버지 쪽이 아니라 어머니 쪽 친척들에게 더 친근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친척 가운데 누구와 가장 친하냐고 중3 학생들에게 물었더니, 18명 가운데 16명이 이모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이도연(중3): "(이모가) 엄마 쪽이다 보니까 더 친한 것 같아요. 요즘 엄마가 대세잖아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중고등학생 6천9백여 명을 조사한 결과, 이모를 가족으로 여긴다는 응답은 83.4%로 가장 높았습니다.
2위 역시 엄마의 형제인 외삼촌이 차지했고, 아버지의 형제인 고모와 삼촌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모부와 외숙모 역시 78%로 그 다음을 차지해 대체로 외가쪽 친척을 친가 쪽보다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이종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교육 수준이 높은 전업 주부들이 가정 내에서 자녀 양육을 전담하다 보니까 어머니 중심으로 부모 자녀 관계가 형성이 됩니다."
또 오랫동안 길러온 애완동물에 대한 친밀도가 촌수가 멀지만 가깝게 지내는 친척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족에 대한 개념을 단순히 피를 나눈 형제 자매, 친인척을 떠나 애완동물까지도 가족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인식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배병우(중학교 2학년): "제가 아파서 방에 혼자 있을 때 얘들이 와가지고 그 아픈 부위를 계속 핥아줘서 그때 굉장히 좋았어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이번 조사가 전반적으로 한국 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 혈연 중심에서 모계- 생활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는 지금까지 가부장적이었던 부계 사회가 균형점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공부 스트레스가 다른 나라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가운데 70%는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으로 공부를 꼽았지만 미국과 일본, 중국 청소년들은 학교 성적 문제로 고민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KBS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