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뉴스] 시민군 트리폴리 위성도시 접수 外

입력 2011.02.28 (13: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리비아에서 반정부 시민혁명이 점차 확산되는 가운데 시민군이 트리폴리 인근의 위성도시까지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카다피의 친위세력과 정예부대는 탱크로 방어선까지 쌓고 친위세력에게까지 총을 나눠주며 결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카이로에서 황동진 순회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리비아 시민들이 정부군으로부터 빼앗은 탱크 위에 올라섰습니다.



트리폴리에서 불과 50 킬로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알-자이야가 시민군에게 접수된 것입니다.



인구 20만 명인 이 도시에서 시민들은 허공에 총을 쏘며 승리를 자축했습니다.



<인터뷰> 알 자이야(시민) : "카다피는 더 이상 필요 없어요. 지금 여기에 모든 사람들이 하나되었습니다. 우리는 리비아를 사랑합니다. 카다피는 싫어요."



시민군은 이런 기세를 몰아 트리폴리로의 진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이미 장악한 도시에는 과도적인 `국가위원회’가 설립됐습니다.



과도정부는 선거를 통해 새 지도자를 선출할 때까지 3개월 동안 존속할 예정입니다.



반면, 친정부 세력들도 시위 등을 벌이며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리비아 정부는 이들에게 총기까지 지급하며 시위대 진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카다피 지지자 : "우리는 리비아인이고, 리비아는 카다피를 의미합니다."



또, 카다피의 탱크부대도 시민군에게 넘어간 미수라타에 있는 공군기지를 되찾기 위해 맹공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한편, 반정부 시민세력들은 카다피와 그 일가가 권좌를 포기하고 폭력 사태를 중단한다면 유럽으로 탈출할 수 있게 도와줄 용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이로에서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미, "리비아 과도정부 지원"



<리포트>



오바마 대통령이 카다피 퇴진을 촉구한 가운데 미국이 반정부 시위대가 구성한 리비아 과도정부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의회에서는 대량학살을 막기위한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무기지원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최규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이 카다피 정권과 결별을 공식선언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카다피 퇴진 요구에 이어 클린턴 국무장관은 리비아 국민이 원하는 모든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며 사실상 과도정부 지원을 선언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지금은 카다피 운명의 초기단계라면서 미국은 유혈 사태없이 카다피 체제가 종식되길 바라며 가능한 빨리 카다피가 물러나기를 희망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미 의회에서는 오바마 행정부를 향해 소극적이란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매캐인 상원의원은 리비아 과도정부에 무기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고 리버맨 상원의원은 대량학살을 막기위해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매케인(미국 상원의원) : "리비아 동부에 있는 과도정부를 인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클린턴 장관은 내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국제사회차원의 대책을 논의합니다.



이런 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이 오늘 밤 늦게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 리비아 대책을 논의해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오만도 유혈 시위... 중동 중동 시위 확산 일로



<앵커 멘트>



중동의 반정부 시위가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잠잠했던 오만에서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 2명이 숨지고, 예멘과 바레인에서도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카이로에서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만 소하르에서 시위대 천 여명이 정치 개혁을 촉구하는 시위를 이틀째 벌였습니다.



경찰이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고무 총탄을 쏴 시위대 2명이 숨졌습니다.



이번 시위는 작가와 교수 등 8백여 명이 지난 19일 무스카트에서 거리 행진을 한 지 1주일에 다시 이뤄졌습니다.



예멘에서는 수도 사나와 타이즈, 아덴 등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야권도 시위 동참을 선언하고 내일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조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위대에 유화적인 모습을 보였던 살레 예멘 대통령은 다시 강경 기조로 돌아서 양측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바레인에서도 수만 명의 시위대가 광장에 모여 왕정 교체를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를 열었습니다.



튀니지 과도정부를 이끌던 모하메드 간누치 총리는 시위대의 퇴진 요구에 굴복해 결국 자리를 내놓았습니다.



사우디에서는 학자와 인권운동가, 기업인 등 백20여명이 웹사이트에 탄원서를 올려 직접선거를 통한 의회 의원 선출과 여권 신장,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촉구했습니다.



카이로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중국 2차 시위 철저 차단. 시위 무산



<앵커 멘트>



중국발 재스민 혁명을 촉구하는 2차 시위가 어제 중국 주요 대도시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중국 정부의 철저한 차단으로 변변한 집회 시도조차 없었습니다.



베이징에서 이경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중국발 ’재스민 시위’가 열렸던 베이징 중심의 번화가인 왕푸징 거리,



오전부터 이곳으로 향하는 크고 작은 도로에 경찰이 집중 배치돼 기자들의 출입도 통제합니다



<녹취> 베이징 경찰 : "(뭘 하는 겁니까?) 오늘 안쪽으로 진입못합니까?(무엇하러 갑니까? 가려면 감독관리실에 가서 등록하세요)"



지난주 일요일 시위 시도가 있었던 맥도날드 앞 도로는 아예 경찰이 점령하다시피 합니다.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이지 못하도록 대대적인 도로 물 청소까지 벌이고, 거리에서 촬영만 해도 경찰에 즉각 연행될 정돕니다.



사정이 이러다보니 시위 예정이던 중국 20여개 도시에서 특별한 시위 움직임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전 인터넷 차단으로 시위 관련소식이 퍼지는 것을 막은데다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감시 등 중국 정부가 철저하게 시위 시도를 막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주펑(베이징대 교수) : "비록 많은 사람들이 불만이 있지만 거리 시위를 통해 항의하는 방식으로 중국 정부를 압박하는 것에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 등 각종 개혁 조치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면서 국민 불만 잠재우기에 나선 점도 시위 차단에 주효했다는 평갑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제뉴스] 시민군 트리폴리 위성도시 접수 外
    • 입력 2011-02-28 13:42:11
    지구촌뉴스
<앵커 멘트>

리비아에서 반정부 시민혁명이 점차 확산되는 가운데 시민군이 트리폴리 인근의 위성도시까지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카다피의 친위세력과 정예부대는 탱크로 방어선까지 쌓고 친위세력에게까지 총을 나눠주며 결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카이로에서 황동진 순회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리비아 시민들이 정부군으로부터 빼앗은 탱크 위에 올라섰습니다.

트리폴리에서 불과 50 킬로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알-자이야가 시민군에게 접수된 것입니다.

인구 20만 명인 이 도시에서 시민들은 허공에 총을 쏘며 승리를 자축했습니다.

<인터뷰> 알 자이야(시민) : "카다피는 더 이상 필요 없어요. 지금 여기에 모든 사람들이 하나되었습니다. 우리는 리비아를 사랑합니다. 카다피는 싫어요."

시민군은 이런 기세를 몰아 트리폴리로의 진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이미 장악한 도시에는 과도적인 `국가위원회’가 설립됐습니다.

과도정부는 선거를 통해 새 지도자를 선출할 때까지 3개월 동안 존속할 예정입니다.

반면, 친정부 세력들도 시위 등을 벌이며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리비아 정부는 이들에게 총기까지 지급하며 시위대 진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카다피 지지자 : "우리는 리비아인이고, 리비아는 카다피를 의미합니다."

또, 카다피의 탱크부대도 시민군에게 넘어간 미수라타에 있는 공군기지를 되찾기 위해 맹공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한편, 반정부 시민세력들은 카다피와 그 일가가 권좌를 포기하고 폭력 사태를 중단한다면 유럽으로 탈출할 수 있게 도와줄 용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이로에서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미, "리비아 과도정부 지원"

<리포트>

오바마 대통령이 카다피 퇴진을 촉구한 가운데 미국이 반정부 시위대가 구성한 리비아 과도정부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의회에서는 대량학살을 막기위한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무기지원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 최규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이 카다피 정권과 결별을 공식선언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카다피 퇴진 요구에 이어 클린턴 국무장관은 리비아 국민이 원하는 모든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며 사실상 과도정부 지원을 선언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지금은 카다피 운명의 초기단계라면서 미국은 유혈 사태없이 카다피 체제가 종식되길 바라며 가능한 빨리 카다피가 물러나기를 희망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미 의회에서는 오바마 행정부를 향해 소극적이란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매캐인 상원의원은 리비아 과도정부에 무기를 제공할 것을 촉구했고 리버맨 상원의원은 대량학살을 막기위해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매케인(미국 상원의원) : "리비아 동부에 있는 과도정부를 인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클린턴 장관은 내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국제사회차원의 대책을 논의합니다.

이런 가운데 오바마 대통령이 오늘 밤 늦게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 리비아 대책을 논의해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오만도 유혈 시위... 중동 중동 시위 확산 일로

<앵커 멘트>

중동의 반정부 시위가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잠잠했던 오만에서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 2명이 숨지고, 예멘과 바레인에서도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카이로에서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만 소하르에서 시위대 천 여명이 정치 개혁을 촉구하는 시위를 이틀째 벌였습니다.

경찰이 시위대를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고무 총탄을 쏴 시위대 2명이 숨졌습니다.

이번 시위는 작가와 교수 등 8백여 명이 지난 19일 무스카트에서 거리 행진을 한 지 1주일에 다시 이뤄졌습니다.

예멘에서는 수도 사나와 타이즈, 아덴 등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계속됐습니다.

야권도 시위 동참을 선언하고 내일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조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위대에 유화적인 모습을 보였던 살레 예멘 대통령은 다시 강경 기조로 돌아서 양측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바레인에서도 수만 명의 시위대가 광장에 모여 왕정 교체를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를 열었습니다.

튀니지 과도정부를 이끌던 모하메드 간누치 총리는 시위대의 퇴진 요구에 굴복해 결국 자리를 내놓았습니다.

사우디에서는 학자와 인권운동가, 기업인 등 백20여명이 웹사이트에 탄원서를 올려 직접선거를 통한 의회 의원 선출과 여권 신장,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촉구했습니다.

카이로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중국 2차 시위 철저 차단. 시위 무산

<앵커 멘트>

중국발 재스민 혁명을 촉구하는 2차 시위가 어제 중국 주요 대도시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중국 정부의 철저한 차단으로 변변한 집회 시도조차 없었습니다.

베이징에서 이경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중국발 ’재스민 시위’가 열렸던 베이징 중심의 번화가인 왕푸징 거리,

오전부터 이곳으로 향하는 크고 작은 도로에 경찰이 집중 배치돼 기자들의 출입도 통제합니다

<녹취> 베이징 경찰 : "(뭘 하는 겁니까?) 오늘 안쪽으로 진입못합니까?(무엇하러 갑니까? 가려면 감독관리실에 가서 등록하세요)"

지난주 일요일 시위 시도가 있었던 맥도날드 앞 도로는 아예 경찰이 점령하다시피 합니다.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이지 못하도록 대대적인 도로 물 청소까지 벌이고, 거리에서 촬영만 해도 경찰에 즉각 연행될 정돕니다.

사정이 이러다보니 시위 예정이던 중국 20여개 도시에서 특별한 시위 움직임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전 인터넷 차단으로 시위 관련소식이 퍼지는 것을 막은데다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감시 등 중국 정부가 철저하게 시위 시도를 막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주펑(베이징대 교수) : "비록 많은 사람들이 불만이 있지만 거리 시위를 통해 항의하는 방식으로 중국 정부를 압박하는 것에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습니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 등 각종 개혁 조치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면서 국민 불만 잠재우기에 나선 점도 시위 차단에 주효했다는 평갑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경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