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매립’ 판치는 수도권 매립지
입력 2011.03.22 (08:04)
수정 2011.03.22 (0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서울과 경기, 인천의 쓰레기를 묻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서 불법 매립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비닐과 플라스틱 같은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쓰레기는 매립장이 아니라, 소각장으로 보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버젓이 수도권 매립지에 묻히고 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쓰레기 집하장에서 운반차량에 쓰레기를 담고 있습니다.
대부분 폐비닐과 플라스틱 조각 등 불에 타는 가연성 쓰레기입니다.
그런데, 쓰레기를 다 실은 뒤 중장비로 꾹꾹 누르고 그 위에 다시 흙을 덮습니다.
가연성 폐기물의 반입이 금지된 수도권 매립지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폐비닐 등이 보이지 않게 흙과 골재를 덮어 위장한 겁니다.
한 쓰레기 운반차를 직접 검사해봤더니 쓰레기 더미 안쪽에 폐비닐과 깨진 안전모 등 가연성 폐기물이 가득합니다.
<녹취> 이태호(인천시 특별사법경찰) : "다 타는 것이죠? 이런 것이 들어오면 안 되잖아요. (우리는 모르죠)"
매립지에 묻으면 정상적으로 소각장에서 태울 때 보다 처리비용이 6분의1 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식의 눈속임이 하루종일 계속되지만 감시는 허술하기만 합니다.
<녹취> 감시원 : "육안으로 봐서 (위반)스티커를 발부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으니까... 기사들이 봐 달라고 사정하고..."
때문에, 하루평균 천여 대의 쓰레기 차량 가운데 적발돼 반출되는 차량은 고작 한 대 정도입니다.
<인터뷰> 신윤선(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부장) : "온갖 수단을 동원해 은닉하고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장으로 보내지 않으려는 방법들이 기술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에..."
2천5백만 국민을 위한 수도권 매립지가 쓰레기 불법 매립과 토양오염의 온상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의 쓰레기를 묻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서 불법 매립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비닐과 플라스틱 같은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쓰레기는 매립장이 아니라, 소각장으로 보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버젓이 수도권 매립지에 묻히고 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쓰레기 집하장에서 운반차량에 쓰레기를 담고 있습니다.
대부분 폐비닐과 플라스틱 조각 등 불에 타는 가연성 쓰레기입니다.
그런데, 쓰레기를 다 실은 뒤 중장비로 꾹꾹 누르고 그 위에 다시 흙을 덮습니다.
가연성 폐기물의 반입이 금지된 수도권 매립지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폐비닐 등이 보이지 않게 흙과 골재를 덮어 위장한 겁니다.
한 쓰레기 운반차를 직접 검사해봤더니 쓰레기 더미 안쪽에 폐비닐과 깨진 안전모 등 가연성 폐기물이 가득합니다.
<녹취> 이태호(인천시 특별사법경찰) : "다 타는 것이죠? 이런 것이 들어오면 안 되잖아요. (우리는 모르죠)"
매립지에 묻으면 정상적으로 소각장에서 태울 때 보다 처리비용이 6분의1 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식의 눈속임이 하루종일 계속되지만 감시는 허술하기만 합니다.
<녹취> 감시원 : "육안으로 봐서 (위반)스티커를 발부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으니까... 기사들이 봐 달라고 사정하고..."
때문에, 하루평균 천여 대의 쓰레기 차량 가운데 적발돼 반출되는 차량은 고작 한 대 정도입니다.
<인터뷰> 신윤선(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부장) : "온갖 수단을 동원해 은닉하고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장으로 보내지 않으려는 방법들이 기술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에..."
2천5백만 국민을 위한 수도권 매립지가 쓰레기 불법 매립과 토양오염의 온상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법 매립’ 판치는 수도권 매립지
-
- 입력 2011-03-22 08:04:00
- 수정2011-03-22 08:20:29

<앵커 멘트>
서울과 경기, 인천의 쓰레기를 묻는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서 불법 매립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비닐과 플라스틱 같은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쓰레기는 매립장이 아니라, 소각장으로 보내야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버젓이 수도권 매립지에 묻히고 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쓰레기 집하장에서 운반차량에 쓰레기를 담고 있습니다.
대부분 폐비닐과 플라스틱 조각 등 불에 타는 가연성 쓰레기입니다.
그런데, 쓰레기를 다 실은 뒤 중장비로 꾹꾹 누르고 그 위에 다시 흙을 덮습니다.
가연성 폐기물의 반입이 금지된 수도권 매립지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폐비닐 등이 보이지 않게 흙과 골재를 덮어 위장한 겁니다.
한 쓰레기 운반차를 직접 검사해봤더니 쓰레기 더미 안쪽에 폐비닐과 깨진 안전모 등 가연성 폐기물이 가득합니다.
<녹취> 이태호(인천시 특별사법경찰) : "다 타는 것이죠? 이런 것이 들어오면 안 되잖아요. (우리는 모르죠)"
매립지에 묻으면 정상적으로 소각장에서 태울 때 보다 처리비용이 6분의1 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식의 눈속임이 하루종일 계속되지만 감시는 허술하기만 합니다.
<녹취> 감시원 : "육안으로 봐서 (위반)스티커를 발부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으니까... 기사들이 봐 달라고 사정하고..."
때문에, 하루평균 천여 대의 쓰레기 차량 가운데 적발돼 반출되는 차량은 고작 한 대 정도입니다.
<인터뷰> 신윤선(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부장) : "온갖 수단을 동원해 은닉하고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장으로 보내지 않으려는 방법들이 기술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에..."
2천5백만 국민을 위한 수도권 매립지가 쓰레기 불법 매립과 토양오염의 온상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
송명훈 기자 smh@kbs.co.kr
송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