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지난 2009년, 서울시내 8개 초중고등학교 운동장에 시범적으로 천연잔디가 심어졌는데요.
잔디를 죽지 않게 잘 관리해야 한다는 이유로 잔디운동장은 출입금지지역이 됐습니다.
누구를 위해 잔디를 심은 걸까요?
고순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시내의 한 중학교.
운동장 주변을 빙 둘러 밧줄로 울타리가 쳐졌습니다.
수업이 끝난 학생들은 울타리 옆으로 빙 돌아 자전거를 타고 나갑니다.
운동장에 심은 천연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학생들의 출입을 금지시킨 것입니다.
<녹취> 학생 : "일주일인가 이주일인가 밖에 안 썼어요. 그 다음에 애들이 잔디 다 뽑는(밟는)다고 그 다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못쓰고 있어요"
같은 시기에 잔디를 심은 또 다른 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운동장 전체에 거대한 검은색 덮개가 깔렸고, 체육 수업은 운동장 밖 한 귀퉁이에서 이뤄집니다.
점심시간에 학생들은 축구 대신 비좁은 공간에서 실내화 던지기 놀이를 합니다.
반대편에서 친구가 부르면 운동장 주변을 빙 돌아서 뛰어가야 합니다.
<녹취> 학부모 : "좋은 운동장이건 뭐건 쓸 수 있어야 좋은 거지. 풀만도 못한 애들이라니까요. 얘들이!"
운동장 출입이 금지된 것은 1년 6개월 전인 지난 2009년 9월 서울시의 잔디 운동장 시범학교로 선정되면서 부텁니다.
잔디를 보호한다며 일 년 넘게 운동장을 폐쇄하다 지난해 9월에 개방했지만, 잔디가 손상된다는 이유로 4개월 만에 다시 이용이 금지됐습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애들 축구하고 그러면 패여 가지고 죽고 그러더라고요. 아직 싹이 어리니까 다 죽어 버리잖아요."
천연 잔디를 심는 데 든 돈은 한 학교당 평균 3억 7천만 원.
많은 예산을 투자했지만 오히려 학생들은 운동장을 빼앗겼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지난 2009년, 서울시내 8개 초중고등학교 운동장에 시범적으로 천연잔디가 심어졌는데요.
잔디를 죽지 않게 잘 관리해야 한다는 이유로 잔디운동장은 출입금지지역이 됐습니다.
누구를 위해 잔디를 심은 걸까요?
고순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시내의 한 중학교.
운동장 주변을 빙 둘러 밧줄로 울타리가 쳐졌습니다.
수업이 끝난 학생들은 울타리 옆으로 빙 돌아 자전거를 타고 나갑니다.
운동장에 심은 천연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학생들의 출입을 금지시킨 것입니다.
<녹취> 학생 : "일주일인가 이주일인가 밖에 안 썼어요. 그 다음에 애들이 잔디 다 뽑는(밟는)다고 그 다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못쓰고 있어요"
같은 시기에 잔디를 심은 또 다른 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운동장 전체에 거대한 검은색 덮개가 깔렸고, 체육 수업은 운동장 밖 한 귀퉁이에서 이뤄집니다.
점심시간에 학생들은 축구 대신 비좁은 공간에서 실내화 던지기 놀이를 합니다.
반대편에서 친구가 부르면 운동장 주변을 빙 돌아서 뛰어가야 합니다.
<녹취> 학부모 : "좋은 운동장이건 뭐건 쓸 수 있어야 좋은 거지. 풀만도 못한 애들이라니까요. 얘들이!"
운동장 출입이 금지된 것은 1년 6개월 전인 지난 2009년 9월 서울시의 잔디 운동장 시범학교로 선정되면서 부텁니다.
잔디를 보호한다며 일 년 넘게 운동장을 폐쇄하다 지난해 9월에 개방했지만, 잔디가 손상된다는 이유로 4개월 만에 다시 이용이 금지됐습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애들 축구하고 그러면 패여 가지고 죽고 그러더라고요. 아직 싹이 어리니까 다 죽어 버리잖아요."
천연 잔디를 심는 데 든 돈은 한 학교당 평균 3억 7천만 원.
많은 예산을 투자했지만 오히려 학생들은 운동장을 빼앗겼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생 내쫓은 ‘천연잔디’ 운동장
-
- 입력 2011-03-22 08:04:02

<앵커 멘트>
지난 2009년, 서울시내 8개 초중고등학교 운동장에 시범적으로 천연잔디가 심어졌는데요.
잔디를 죽지 않게 잘 관리해야 한다는 이유로 잔디운동장은 출입금지지역이 됐습니다.
누구를 위해 잔디를 심은 걸까요?
고순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시내의 한 중학교.
운동장 주변을 빙 둘러 밧줄로 울타리가 쳐졌습니다.
수업이 끝난 학생들은 울타리 옆으로 빙 돌아 자전거를 타고 나갑니다.
운동장에 심은 천연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학생들의 출입을 금지시킨 것입니다.
<녹취> 학생 : "일주일인가 이주일인가 밖에 안 썼어요. 그 다음에 애들이 잔디 다 뽑는(밟는)다고 그 다음부터 지금까지 계속 못쓰고 있어요"
같은 시기에 잔디를 심은 또 다른 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운동장 전체에 거대한 검은색 덮개가 깔렸고, 체육 수업은 운동장 밖 한 귀퉁이에서 이뤄집니다.
점심시간에 학생들은 축구 대신 비좁은 공간에서 실내화 던지기 놀이를 합니다.
반대편에서 친구가 부르면 운동장 주변을 빙 돌아서 뛰어가야 합니다.
<녹취> 학부모 : "좋은 운동장이건 뭐건 쓸 수 있어야 좋은 거지. 풀만도 못한 애들이라니까요. 얘들이!"
운동장 출입이 금지된 것은 1년 6개월 전인 지난 2009년 9월 서울시의 잔디 운동장 시범학교로 선정되면서 부텁니다.
잔디를 보호한다며 일 년 넘게 운동장을 폐쇄하다 지난해 9월에 개방했지만, 잔디가 손상된다는 이유로 4개월 만에 다시 이용이 금지됐습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애들 축구하고 그러면 패여 가지고 죽고 그러더라고요. 아직 싹이 어리니까 다 죽어 버리잖아요."
천연 잔디를 심는 데 든 돈은 한 학교당 평균 3억 7천만 원.
많은 예산을 투자했지만 오히려 학생들은 운동장을 빼앗겼습니다.
KBS 뉴스 고순정입니다.
-
-
고순정 기자 flyhigh@kbs.co.kr
고순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