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나라의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윤 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2월 소비자물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나 급등했습니다.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에스토니아의 5.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4%대의 상승률을 보인 나라는 그리스와 영국이 4.4% 이스라엘과 터키가 4.2% 뉴질랜드가 4%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1월 통계에선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로 에스토니아, 그리스, 터키에 이어 4번째였으나 2월에는 그리스와 터키를 앞질렀습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월 2.7%로 8위였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우리나라 물가 상승세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2월 식품 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2%나 급등해 에스토니아의 13.2%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2월 식품 물가가 두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인 국가는 에스토니아와 우리나라 뿐이었습니다.
이 같은 물가 상승 추세라면 우리나라가 조만간 물가 5%대로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윤 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2월 소비자물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나 급등했습니다.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에스토니아의 5.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4%대의 상승률을 보인 나라는 그리스와 영국이 4.4% 이스라엘과 터키가 4.2% 뉴질랜드가 4%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1월 통계에선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로 에스토니아, 그리스, 터키에 이어 4번째였으나 2월에는 그리스와 터키를 앞질렀습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월 2.7%로 8위였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우리나라 물가 상승세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2월 식품 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2%나 급등해 에스토니아의 13.2%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2월 식품 물가가 두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인 국가는 에스토니아와 우리나라 뿐이었습니다.
이 같은 물가 상승 추세라면 우리나라가 조만간 물가 5%대로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2월 물가 오름세 ‘OECD 2위’
-
- 입력 2011-03-30 13:00:52

<앵커 멘트>
우리나라의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윤 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의 2월 소비자물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나 급등했습니다.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에스토니아의 5.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4%대의 상승률을 보인 나라는 그리스와 영국이 4.4% 이스라엘과 터키가 4.2% 뉴질랜드가 4%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1월 통계에선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로 에스토니아, 그리스, 터키에 이어 4번째였으나 2월에는 그리스와 터키를 앞질렀습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월 2.7%로 8위였던 것과 비교하면 최근 우리나라 물가 상승세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2월 식품 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2%나 급등해 에스토니아의 13.2%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OECD 회원국 가운데 2월 식품 물가가 두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인 국가는 에스토니아와 우리나라 뿐이었습니다.
이 같은 물가 상승 추세라면 우리나라가 조만간 물가 5%대로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