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불편한 점 많았던 인감 증명 제도가 97년 만에 바뀝니다.
그럼 앞으로 중요한 거래를 할 땐 서명으로 자기 신분을 확인합니다.
임승창 기자가 알려 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주민센터, 인감증명 창구에 민원인들이 줄을 서 있습니다.
서명으로도 되는 은행 거래와 달리 부동산 거래 등에는 꼭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일근(서울시 삼청동) : "(갑자기 필요하면) 집에 가서 (인감)도장을 지참하고, 관할동사무소에 가서 신고도 해야되고, 분실신고도 관할 동사무소에 가서 해야되고..."
특히 위변조 위험도 크고 대리인이 인감증명을 뗄 수도 있어 범죄에 종종 이용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97년 만에 인감 제도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이런 인감도장 대신 서명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주소지에 상관없이 아무 읍면동사무소나 찾아가 본인이 전자패드에 서명을 하면 인감증명과 같은 효력을 갖는 본인서명 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와 전자 서명만 있으면 인터넷을 통해서도 증명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최두영(행안부 지방행정국장) : "읍면동사무에 직접 방문하시는 불편을 더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요기관에서도 직접 온라인 상에서 확인해서 민원을 처리하기 때문에 종이없는 행정 구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되고 기존의 인감제도와 함께 운영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불편한 점 많았던 인감 증명 제도가 97년 만에 바뀝니다.
그럼 앞으로 중요한 거래를 할 땐 서명으로 자기 신분을 확인합니다.
임승창 기자가 알려 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주민센터, 인감증명 창구에 민원인들이 줄을 서 있습니다.
서명으로도 되는 은행 거래와 달리 부동산 거래 등에는 꼭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일근(서울시 삼청동) : "(갑자기 필요하면) 집에 가서 (인감)도장을 지참하고, 관할동사무소에 가서 신고도 해야되고, 분실신고도 관할 동사무소에 가서 해야되고..."
특히 위변조 위험도 크고 대리인이 인감증명을 뗄 수도 있어 범죄에 종종 이용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97년 만에 인감 제도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이런 인감도장 대신 서명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주소지에 상관없이 아무 읍면동사무소나 찾아가 본인이 전자패드에 서명을 하면 인감증명과 같은 효력을 갖는 본인서명 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와 전자 서명만 있으면 인터넷을 통해서도 증명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최두영(행안부 지방행정국장) : "읍면동사무에 직접 방문하시는 불편을 더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요기관에서도 직접 온라인 상에서 확인해서 민원을 처리하기 때문에 종이없는 행정 구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되고 기존의 인감제도와 함께 운영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감증명’ 97년 만에 서명으로 바뀐다
-
- 입력 2011-03-30 22:09:30

<앵커 멘트>
불편한 점 많았던 인감 증명 제도가 97년 만에 바뀝니다.
그럼 앞으로 중요한 거래를 할 땐 서명으로 자기 신분을 확인합니다.
임승창 기자가 알려 드립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주민센터, 인감증명 창구에 민원인들이 줄을 서 있습니다.
서명으로도 되는 은행 거래와 달리 부동산 거래 등에는 꼭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일근(서울시 삼청동) : "(갑자기 필요하면) 집에 가서 (인감)도장을 지참하고, 관할동사무소에 가서 신고도 해야되고, 분실신고도 관할 동사무소에 가서 해야되고..."
특히 위변조 위험도 크고 대리인이 인감증명을 뗄 수도 있어 범죄에 종종 이용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97년 만에 인감 제도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이런 인감도장 대신 서명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주소지에 상관없이 아무 읍면동사무소나 찾아가 본인이 전자패드에 서명을 하면 인감증명과 같은 효력을 갖는 본인서명 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와 전자 서명만 있으면 인터넷을 통해서도 증명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최두영(행안부 지방행정국장) : "읍면동사무에 직접 방문하시는 불편을 더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요기관에서도 직접 온라인 상에서 확인해서 민원을 처리하기 때문에 종이없는 행정 구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되고 기존의 인감제도와 함께 운영됩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