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아파트’ 정수시설 세균 득실

입력 2011.05.08 (07: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명품 아파트를 표방하며 앞다투어 설치한 아파트 자체 정수시설들이 오히려 수돗물을 더 오염시키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수돗물을 한번 더 걸러서 깨끗하게 해 준다는 것인데, 관리실태가 엉망이었습니다.

김학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명품 아파트를 표방한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명품의 조건으로 내세운 10억짜리 자체 정수시설.

수돗물을 다시 여과한 뒤 각 세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녹취>정수시설 관리업체 관계자: "일반 수돗물에서 세균이 있는게 세균이 없게 하는거구요. 마이크로 필터라는 것을 거치구요. 세라믹 필터라는게 있습니다."

자체정수 시설은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① 여과장치와 온천수처럼 물을 부드럽게 만든다는 ②연수장치, 그리고 각종 세균을 없애는 ③ 자외선 살균장치, 이렇게 3 단계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파트로부터 자체 정수시설 관리를 위탁받은 업체들은 이런 여과 과정을 통해 수돗물이 훨씬 더 좋아진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 차 여과장치 필터는 시꺼멓게 먼지가 껴 있고, 2 차 연수장치에는 기름때가 그대로 떠 있습니다.

자체 정수시설을 갖췄다는 이른바 명품 아파트 5 곳을 임의로 선정해 수질 검사를 의뢰했습니다.

5곳 가운데 3곳은 불순물이 더 많아져 물이 더 탁해졌습니다.

또 3 곳에서는 물이 부드러워지기는 커녕 더 센 물이 됐습니다.

심지어 수돗물에는 없었던 일반 세균이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녹취>한선희(서울시 상수도연구원 수질연구부장): "(탁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그 안에 부유물질들이 들어있으므로 해서 향후 미생물 번식의 개연성을 있습니다."

더 좋은 물을 먹는 줄 알고 연간 십만원 정도의 추가 비용을 부담한 주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

<녹취>아파트 주민: "돈을 낼 필요 없다고 생각하죠. 좋아지지 않는데..."

<녹취>홍성호(숭실대 화학공학과 교수): "(수돗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들은 자체 정수 처리시설을 거친다고 해서 과도하게 좋아질 수 없습니다."

자체 정수시설을 갖춘 아파트는 전국에 약 400 여 곳.

부실한 관리로, 수돗물만 못한 물을 돈 들여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명품 아파트’ 정수시설 세균 득실
    • 입력 2011-05-08 07:42:24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명품 아파트를 표방하며 앞다투어 설치한 아파트 자체 정수시설들이 오히려 수돗물을 더 오염시키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수돗물을 한번 더 걸러서 깨끗하게 해 준다는 것인데, 관리실태가 엉망이었습니다. 김학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른바 명품 아파트를 표방한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 명품의 조건으로 내세운 10억짜리 자체 정수시설. 수돗물을 다시 여과한 뒤 각 세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녹취>정수시설 관리업체 관계자: "일반 수돗물에서 세균이 있는게 세균이 없게 하는거구요. 마이크로 필터라는 것을 거치구요. 세라믹 필터라는게 있습니다." 자체정수 시설은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① 여과장치와 온천수처럼 물을 부드럽게 만든다는 ②연수장치, 그리고 각종 세균을 없애는 ③ 자외선 살균장치, 이렇게 3 단계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파트로부터 자체 정수시설 관리를 위탁받은 업체들은 이런 여과 과정을 통해 수돗물이 훨씬 더 좋아진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 차 여과장치 필터는 시꺼멓게 먼지가 껴 있고, 2 차 연수장치에는 기름때가 그대로 떠 있습니다. 자체 정수시설을 갖췄다는 이른바 명품 아파트 5 곳을 임의로 선정해 수질 검사를 의뢰했습니다. 5곳 가운데 3곳은 불순물이 더 많아져 물이 더 탁해졌습니다. 또 3 곳에서는 물이 부드러워지기는 커녕 더 센 물이 됐습니다. 심지어 수돗물에는 없었던 일반 세균이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녹취>한선희(서울시 상수도연구원 수질연구부장): "(탁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그 안에 부유물질들이 들어있으므로 해서 향후 미생물 번식의 개연성을 있습니다." 더 좋은 물을 먹는 줄 알고 연간 십만원 정도의 추가 비용을 부담한 주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 <녹취>아파트 주민: "돈을 낼 필요 없다고 생각하죠. 좋아지지 않는데..." <녹취>홍성호(숭실대 화학공학과 교수): "(수돗물에 들어있는) 유기 물질들은 자체 정수 처리시설을 거친다고 해서 과도하게 좋아질 수 없습니다." 자체 정수시설을 갖춘 아파트는 전국에 약 400 여 곳. 부실한 관리로, 수돗물만 못한 물을 돈 들여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