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 고공행진…소비자물가 강세 예상

입력 2011.05.17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치솟은 국제유가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석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원화가치가 오르면서 상승폭은 둔화 됐지만 수입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앞으로 소비자물가도 여전히 강세가 예상됩니다.

윤 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예전같으면 활기가 넘쳐야 할 트럭 터미널.

곳곳에 빈자리가 있고 드나드는 화물차량도 눈에 뜨이지 않을 정돕니다.

화물 운임은 거의 그대로지만 기름값은 크게 올라 움직일수록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녹취> 임창호(개인 화물운송 사업자) : "유가가 올라가면서 수익이 유가 쪽으로 많이 빠지다보니 수익이 절반 이상으로 뚝 떨어진 거죠"

실제로 지난달 원유의 수입가격이 전달에 비해 3.4% 오르면서 고유가가 계속 이어졌습니다.

휘발유와 경유 등 수입 석유제품이 3% 오르고, 철광석과 유연탄 등 광산품도 크게 오르면서 지난달 전체 수입물가는 1년 전보다 19%나 급등했습니다.

전달과 비교한 수입 물가 상승률은 원화가치가 오르면서 3월의 3.5%에서 4월에는 0.7%로 둔화 됐습니다.

<인터뷰> 김창배(한국경제연구원 박사) : "원화가치의 상승률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률을 상쇄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어서 수입물가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렇게 보입니다."

수입물가는 품목별로 두 주에서 석 달 정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됩니다.

이 때문에 당분간 물가 오름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 서민들의 생활은 더 팍팍해 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입물가 고공행진…소비자물가 강세 예상
    • 입력 2011-05-17 07:59:20
    뉴스광장
<앵커 멘트> 치솟은 국제유가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석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원화가치가 오르면서 상승폭은 둔화 됐지만 수입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앞으로 소비자물가도 여전히 강세가 예상됩니다. 윤 상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예전같으면 활기가 넘쳐야 할 트럭 터미널. 곳곳에 빈자리가 있고 드나드는 화물차량도 눈에 뜨이지 않을 정돕니다. 화물 운임은 거의 그대로지만 기름값은 크게 올라 움직일수록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녹취> 임창호(개인 화물운송 사업자) : "유가가 올라가면서 수익이 유가 쪽으로 많이 빠지다보니 수익이 절반 이상으로 뚝 떨어진 거죠" 실제로 지난달 원유의 수입가격이 전달에 비해 3.4% 오르면서 고유가가 계속 이어졌습니다. 휘발유와 경유 등 수입 석유제품이 3% 오르고, 철광석과 유연탄 등 광산품도 크게 오르면서 지난달 전체 수입물가는 1년 전보다 19%나 급등했습니다. 전달과 비교한 수입 물가 상승률은 원화가치가 오르면서 3월의 3.5%에서 4월에는 0.7%로 둔화 됐습니다. <인터뷰> 김창배(한국경제연구원 박사) : "원화가치의 상승률이 크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률을 상쇄하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어서 수입물가가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렇게 보입니다." 수입물가는 품목별로 두 주에서 석 달 정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됩니다. 이 때문에 당분간 물가 오름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여 서민들의 생활은 더 팍팍해 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