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성 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칸 IMF 총재, 오늘 법원에서 무죄를 주장했는데, 보석 신청이 기각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 프랑스 여성이 과거 칸 총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 임장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늘 뉴욕주 법원에 출두한 칸 총재는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를 모두 부인했습니다.
칸 총재의 변호인은 칸 총재가 수사를 받기 위해 뉴욕에 남아있을 것이라며 보석을 신청했지만, 기각당했습니다.
법원은 칸 총재가 보석으로 풀려날 경우 프랑스로 도망갈 우려가 있다는 검찰의 주장을 받아들여, 배심원 심리가 있을 때까지 칸 총재를 구금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녹취> 멜리사 잭슨(뉴욕 주 법원 판사) : "칸 총재가 출국을 위해 JFK 공항에 갔다는 사실 때문에 도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진행된 법원 심리에서 검찰은 칸 총재를 상대로 1급 성폭행과 불법 구금 등 7건의 혐의를 제기했습니다.
1급 성폭행의 경우 최고 징역 25년 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칸 총재에 대한 다음 심리 일정은 오는 금요일로 정해졌는데, 변호인들이 그의 알리바이를 입증할 준비를 마쳤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호텔 직원이 성 범죄를 당했다고 주장한 시각에 칸 총재는 딸과 함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물증과 증인도 있다는 변호인들의 주장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 프랑스 여성 작가가 8년 전 칸을 인터뷰하기 위해 그의 아파트에 갔다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프랑스에서는 칸 총재가 미 중앙정보국이나 사르코지 대통령 측의 덫에 걸려들었다는 음모론이 인터넷을 통해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임장원입니다.
ICC, 카다피 체포 영장 청구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 원수에 대해서 국제형사재판소 ICC 검찰이 반인륜 범죄 혐의로 체포 영장을 청구했습니다.
모레노 오캄포 ICC 수석 검사는 헤이그 본부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카디피와 함께 그의 차남과 군 정보국장 세 명에 대해서 체포 영장을 청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오캄포 검사는 카다피가 비무장한 시민에 대해 발포할 것을 명령하고 군과 저격수를 동원해 시민들을 살해했고 시민 활동가들을 체포해 고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한미 FTA와 TAA연계
<앵커 멘트>
한미 FTA의 미 의회 비준 과정에서 무역조정지원 제도 즉 TAA 연장 문제가 새로운 걸림돌로 등장했습니다.
백악관이 사실상 연계 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왔습니다.
워싱턴의 홍기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진 스펄링 국가경제회의 의장은 오늘, TAA, 즉 무역조정지원제도 연장이 의회와 합의되지 않으면 한국과 파나마, 콜럼비아 FTA 이행법안을 의회에 제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핵심참모가 FTA 비준안 제출과 TAA 연장 문제의 연계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펄링 의장은 그러나 TAA 연장 문제는 의회 지도부와의 논의를 통해 합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낙관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무역조정지원제도,TAA는 외국 기업과의 경쟁 과정에서 실직한 노동자에게 연방정부 차원의 재교육과 지원 혜택을 주는 것으로, 공화당의 반대로 지난 2월 종료됐습니다.
백악관이 TAA 연장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FTA 비준에 더 적극적인 공화당을 압박하기 위한 것입니다.
공화당의 일부 의원이 TAA 연장에 부정적이긴 하지만 사실상 FTA 보완대책인만큼 공화당도 재정적자를 이유로 연장을 끝까지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홍기섭입니다.
일 2,3호기도 멜트다운? 복구 차질 우려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1호기에 이어 2호기와 3호기에서도 연료봉이 녹아내리는 이른바 '멜트다운'이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김대홍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총괄하고 있는 호소노 총리 보좌관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1호기뿐만 아니라 2호기와 3호기에 대해서도 멜트다운 된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호소노(일본 총리보좌관) : "2호기 3호기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됩니다."
호소노 보좌관은 그 근거로 격납용기에 냉각수를 주입하지 못한 시간이 2호기와 3호기 역시 6시간이 넘어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2호기와 3호기도 멜트다운된 것으로 보인다며 비슷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3월 하순 2호기 터빈 건물 아래에서 고농도의 오염수가 발견된 것이 그 근거라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덧붙였습니다.
1,2,3호기 모두 멜트다운돼 격납용기에 구멍이 뚫렸다면 지금까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격납용기에 물을 채워 내부를 식힌 뒤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다는 계획을 지난달 제시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김대홍입니다.
성 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칸 IMF 총재, 오늘 법원에서 무죄를 주장했는데, 보석 신청이 기각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 프랑스 여성이 과거 칸 총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 임장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늘 뉴욕주 법원에 출두한 칸 총재는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를 모두 부인했습니다.
칸 총재의 변호인은 칸 총재가 수사를 받기 위해 뉴욕에 남아있을 것이라며 보석을 신청했지만, 기각당했습니다.
법원은 칸 총재가 보석으로 풀려날 경우 프랑스로 도망갈 우려가 있다는 검찰의 주장을 받아들여, 배심원 심리가 있을 때까지 칸 총재를 구금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녹취> 멜리사 잭슨(뉴욕 주 법원 판사) : "칸 총재가 출국을 위해 JFK 공항에 갔다는 사실 때문에 도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진행된 법원 심리에서 검찰은 칸 총재를 상대로 1급 성폭행과 불법 구금 등 7건의 혐의를 제기했습니다.
1급 성폭행의 경우 최고 징역 25년 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칸 총재에 대한 다음 심리 일정은 오는 금요일로 정해졌는데, 변호인들이 그의 알리바이를 입증할 준비를 마쳤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호텔 직원이 성 범죄를 당했다고 주장한 시각에 칸 총재는 딸과 함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물증과 증인도 있다는 변호인들의 주장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 프랑스 여성 작가가 8년 전 칸을 인터뷰하기 위해 그의 아파트에 갔다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프랑스에서는 칸 총재가 미 중앙정보국이나 사르코지 대통령 측의 덫에 걸려들었다는 음모론이 인터넷을 통해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임장원입니다.
ICC, 카다피 체포 영장 청구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 원수에 대해서 국제형사재판소 ICC 검찰이 반인륜 범죄 혐의로 체포 영장을 청구했습니다.
모레노 오캄포 ICC 수석 검사는 헤이그 본부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카디피와 함께 그의 차남과 군 정보국장 세 명에 대해서 체포 영장을 청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오캄포 검사는 카다피가 비무장한 시민에 대해 발포할 것을 명령하고 군과 저격수를 동원해 시민들을 살해했고 시민 활동가들을 체포해 고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한미 FTA와 TAA연계
<앵커 멘트>
한미 FTA의 미 의회 비준 과정에서 무역조정지원 제도 즉 TAA 연장 문제가 새로운 걸림돌로 등장했습니다.
백악관이 사실상 연계 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왔습니다.
워싱턴의 홍기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진 스펄링 국가경제회의 의장은 오늘, TAA, 즉 무역조정지원제도 연장이 의회와 합의되지 않으면 한국과 파나마, 콜럼비아 FTA 이행법안을 의회에 제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핵심참모가 FTA 비준안 제출과 TAA 연장 문제의 연계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펄링 의장은 그러나 TAA 연장 문제는 의회 지도부와의 논의를 통해 합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낙관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무역조정지원제도,TAA는 외국 기업과의 경쟁 과정에서 실직한 노동자에게 연방정부 차원의 재교육과 지원 혜택을 주는 것으로, 공화당의 반대로 지난 2월 종료됐습니다.
백악관이 TAA 연장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FTA 비준에 더 적극적인 공화당을 압박하기 위한 것입니다.
공화당의 일부 의원이 TAA 연장에 부정적이긴 하지만 사실상 FTA 보완대책인만큼 공화당도 재정적자를 이유로 연장을 끝까지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홍기섭입니다.
일 2,3호기도 멜트다운? 복구 차질 우려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1호기에 이어 2호기와 3호기에서도 연료봉이 녹아내리는 이른바 '멜트다운'이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김대홍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총괄하고 있는 호소노 총리 보좌관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1호기뿐만 아니라 2호기와 3호기에 대해서도 멜트다운 된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호소노(일본 총리보좌관) : "2호기 3호기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됩니다."
호소노 보좌관은 그 근거로 격납용기에 냉각수를 주입하지 못한 시간이 2호기와 3호기 역시 6시간이 넘어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2호기와 3호기도 멜트다운된 것으로 보인다며 비슷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3월 하순 2호기 터빈 건물 아래에서 고농도의 오염수가 발견된 것이 그 근거라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덧붙였습니다.
1,2,3호기 모두 멜트다운돼 격납용기에 구멍이 뚫렸다면 지금까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격납용기에 물을 채워 내부를 식힌 뒤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다는 계획을 지난달 제시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김대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제뉴스] 칸 총재 보석신청 기각 外
-
- 입력 2011-05-17 13:39:27

<앵커 멘트>
성 범죄 혐의를 받고 있는 칸 IMF 총재, 오늘 법원에서 무죄를 주장했는데, 보석 신청이 기각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 프랑스 여성이 과거 칸 총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해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 임장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늘 뉴욕주 법원에 출두한 칸 총재는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를 모두 부인했습니다.
칸 총재의 변호인은 칸 총재가 수사를 받기 위해 뉴욕에 남아있을 것이라며 보석을 신청했지만, 기각당했습니다.
법원은 칸 총재가 보석으로 풀려날 경우 프랑스로 도망갈 우려가 있다는 검찰의 주장을 받아들여, 배심원 심리가 있을 때까지 칸 총재를 구금하도록 결정했습니다.
<녹취> 멜리사 잭슨(뉴욕 주 법원 판사) : "칸 총재가 출국을 위해 JFK 공항에 갔다는 사실 때문에 도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오늘 진행된 법원 심리에서 검찰은 칸 총재를 상대로 1급 성폭행과 불법 구금 등 7건의 혐의를 제기했습니다.
1급 성폭행의 경우 최고 징역 25년 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칸 총재에 대한 다음 심리 일정은 오는 금요일로 정해졌는데, 변호인들이 그의 알리바이를 입증할 준비를 마쳤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호텔 직원이 성 범죄를 당했다고 주장한 시각에 칸 총재는 딸과 함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물증과 증인도 있다는 변호인들의 주장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 프랑스 여성 작가가 8년 전 칸을 인터뷰하기 위해 그의 아파트에 갔다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프랑스에서는 칸 총재가 미 중앙정보국이나 사르코지 대통령 측의 덫에 걸려들었다는 음모론이 인터넷을 통해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임장원입니다.
ICC, 카다피 체포 영장 청구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 원수에 대해서 국제형사재판소 ICC 검찰이 반인륜 범죄 혐의로 체포 영장을 청구했습니다.
모레노 오캄포 ICC 수석 검사는 헤이그 본부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카디피와 함께 그의 차남과 군 정보국장 세 명에 대해서 체포 영장을 청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오캄포 검사는 카다피가 비무장한 시민에 대해 발포할 것을 명령하고 군과 저격수를 동원해 시민들을 살해했고 시민 활동가들을 체포해 고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한미 FTA와 TAA연계
<앵커 멘트>
한미 FTA의 미 의회 비준 과정에서 무역조정지원 제도 즉 TAA 연장 문제가 새로운 걸림돌로 등장했습니다.
백악관이 사실상 연계 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왔습니다.
워싱턴의 홍기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진 스펄링 국가경제회의 의장은 오늘, TAA, 즉 무역조정지원제도 연장이 의회와 합의되지 않으면 한국과 파나마, 콜럼비아 FTA 이행법안을 의회에 제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핵심참모가 FTA 비준안 제출과 TAA 연장 문제의 연계방침을 공개적으로 들고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스펄링 의장은 그러나 TAA 연장 문제는 의회 지도부와의 논의를 통해 합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낙관적으로 전망했습니다.
무역조정지원제도,TAA는 외국 기업과의 경쟁 과정에서 실직한 노동자에게 연방정부 차원의 재교육과 지원 혜택을 주는 것으로, 공화당의 반대로 지난 2월 종료됐습니다.
백악관이 TAA 연장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은 FTA 비준에 더 적극적인 공화당을 압박하기 위한 것입니다.
공화당의 일부 의원이 TAA 연장에 부정적이긴 하지만 사실상 FTA 보완대책인만큼 공화당도 재정적자를 이유로 연장을 끝까지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홍기섭입니다.
일 2,3호기도 멜트다운? 복구 차질 우려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1호기에 이어 2호기와 3호기에서도 연료봉이 녹아내리는 이른바 '멜트다운'이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김대홍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총괄하고 있는 호소노 총리 보좌관은 어제 기자회견에서 1호기뿐만 아니라 2호기와 3호기에 대해서도 멜트다운 된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호소노(일본 총리보좌관) : "2호기 3호기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났다고 생각됩니다."
호소노 보좌관은 그 근거로 격납용기에 냉각수를 주입하지 못한 시간이 2호기와 3호기 역시 6시간이 넘어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일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2호기와 3호기도 멜트다운된 것으로 보인다며 비슷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3월 하순 2호기 터빈 건물 아래에서 고농도의 오염수가 발견된 것이 그 근거라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덧붙였습니다.
1,2,3호기 모두 멜트다운돼 격납용기에 구멍이 뚫렸다면 지금까지의 원전복구 작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격납용기에 물을 채워 내부를 식힌 뒤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다는 계획을 지난달 제시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김대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