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씽씽 달리는 차들 때문에 도로에서 혼자 자전거 타는 건 왠지 겁이 나죠. 하지만 '뭉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박석호 기자가 시범 운행될 이른바 '자전거 버스'를 소개합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 아차산역을 출발해 시청으로 향하는 자전거 출근길.
10여 대가 대열을 이루니, 혼자 다닐 때보다 안전하고 편합니다.
<인터뷰> 홍종덕 : "어떻게 얘기하면, 위협이 좀 덜한 것 같습니다. 차량들의 위협이."
자전거 대열을 하나의 차량으로 인정해 달라는 뜻을 담아 자전거 버스라고 불립니다.
버스 정류장처럼, 새로운 일행이 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자전거 정류장도 준비됐습니다.
이런 자전거 버스제는 올해 말까지 시청과 고속버스터미널, 여의도를 종점으로 하는 6개 코스로 확대 운영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임동국(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 : "자동차와 자전거가 차도상에서 서로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했습니다."
문제는 자전거가 차로 분류돼 엄연히 도로를 주행할 권리가 있지만, 자전거 2대 이상이 나란히 달리는 건 현행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때문에 서울시는 한 달에 한 번만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하고,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뒤 법령 개정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자전거가 두 바퀴로 달린다는 뜻에서 서울시는 매달 22일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씽씽 달리는 차들 때문에 도로에서 혼자 자전거 타는 건 왠지 겁이 나죠. 하지만 '뭉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박석호 기자가 시범 운행될 이른바 '자전거 버스'를 소개합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 아차산역을 출발해 시청으로 향하는 자전거 출근길.
10여 대가 대열을 이루니, 혼자 다닐 때보다 안전하고 편합니다.
<인터뷰> 홍종덕 : "어떻게 얘기하면, 위협이 좀 덜한 것 같습니다. 차량들의 위협이."
자전거 대열을 하나의 차량으로 인정해 달라는 뜻을 담아 자전거 버스라고 불립니다.
버스 정류장처럼, 새로운 일행이 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자전거 정류장도 준비됐습니다.
이런 자전거 버스제는 올해 말까지 시청과 고속버스터미널, 여의도를 종점으로 하는 6개 코스로 확대 운영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임동국(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 : "자동차와 자전거가 차도상에서 서로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했습니다."
문제는 자전거가 차로 분류돼 엄연히 도로를 주행할 권리가 있지만, 자전거 2대 이상이 나란히 달리는 건 현행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때문에 서울시는 한 달에 한 번만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하고,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뒤 법령 개정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자전거가 두 바퀴로 달린다는 뜻에서 서울시는 매달 22일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전거 버스’ 씽씽…매달 22일 시범 운영
-
- 입력 2011-06-08 22:04:33

<앵커 멘트>
씽씽 달리는 차들 때문에 도로에서 혼자 자전거 타는 건 왠지 겁이 나죠. 하지만 '뭉치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박석호 기자가 시범 운행될 이른바 '자전거 버스'를 소개합니다.
<리포트>
서울 광진구 아차산역을 출발해 시청으로 향하는 자전거 출근길.
10여 대가 대열을 이루니, 혼자 다닐 때보다 안전하고 편합니다.
<인터뷰> 홍종덕 : "어떻게 얘기하면, 위협이 좀 덜한 것 같습니다. 차량들의 위협이."
자전거 대열을 하나의 차량으로 인정해 달라는 뜻을 담아 자전거 버스라고 불립니다.
버스 정류장처럼, 새로운 일행이 대열에 합류할 수 있도록 자전거 정류장도 준비됐습니다.
이런 자전거 버스제는 올해 말까지 시청과 고속버스터미널, 여의도를 종점으로 하는 6개 코스로 확대 운영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임동국(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 : "자동차와 자전거가 차도상에서 서로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취지에서 출발했습니다."
문제는 자전거가 차로 분류돼 엄연히 도로를 주행할 권리가 있지만, 자전거 2대 이상이 나란히 달리는 건 현행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때문에 서울시는 한 달에 한 번만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하고,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뒤 법령 개정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자전거가 두 바퀴로 달린다는 뜻에서 서울시는 매달 22일 자전거 버스제를 시범 운영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