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생산 가능 인구’ 첫 감소…저출산 여파

입력 2011.06.14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스물다섯 살에서 마흔아홉 살까지의 인구를 우리 경제에 활력을 준다고 해서 "핵심 생산가능 인구"라고 부릅니다.

이 인구 수가 건국이래 처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고성장 시대가 막을 내리고, 저성장 시대가 고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한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80년대 고도성장을 일궈낸 생산현장의 주역은 20대 초반의 여공들이었습니다.

20여 년 뒤, 업종은 바뀌었지만 여공들도 나이가 들어, 중년이 대부분입니다.

회사를 이끌고 나갈 젊은 인재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인터뷰> 정성복(중소기업 연구소 소장) : "젊은 친구들이 산업현장에 들어와가지고 우리 현재 기술을 배우고 그렇게 해서 미래 기술을 짊어지고 나가면 좋은데"

25세부터 49세까지, 경제활동이 왕성한 나이대 인구를 일컫는, 이른바 핵심생산층은 지난해 5년 전보다 36만 7천 명 줄었습니다.

건국 이듬해인 1949년 이후 처음입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소비 부진으로 내수가 얼어붙고 저축률도 하락하면서, 우리 경제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고령화 탓에 늘어가는 복지재정도 부담입니다.

이런 것들이 겹치면 20년간 저성장 덫에 빠진 일본 뒤를 밟을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됩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일본이 장기불황을 겪기시작하는 90년대 초반 수준이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비율) 인구구조 상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면서 신성장동력을 찾는 게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핵심생산 가능 인구’ 첫 감소…저출산 여파
    • 입력 2011-06-14 22:02:58
    뉴스 9
<앵커 멘트> 스물다섯 살에서 마흔아홉 살까지의 인구를 우리 경제에 활력을 준다고 해서 "핵심 생산가능 인구"라고 부릅니다. 이 인구 수가 건국이래 처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고성장 시대가 막을 내리고, 저성장 시대가 고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한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80년대 고도성장을 일궈낸 생산현장의 주역은 20대 초반의 여공들이었습니다. 20여 년 뒤, 업종은 바뀌었지만 여공들도 나이가 들어, 중년이 대부분입니다. 회사를 이끌고 나갈 젊은 인재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인터뷰> 정성복(중소기업 연구소 소장) : "젊은 친구들이 산업현장에 들어와가지고 우리 현재 기술을 배우고 그렇게 해서 미래 기술을 짊어지고 나가면 좋은데" 25세부터 49세까지, 경제활동이 왕성한 나이대 인구를 일컫는, 이른바 핵심생산층은 지난해 5년 전보다 36만 7천 명 줄었습니다. 건국 이듬해인 1949년 이후 처음입니다.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소비 부진으로 내수가 얼어붙고 저축률도 하락하면서, 우리 경제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고령화 탓에 늘어가는 복지재정도 부담입니다. 이런 것들이 겹치면 20년간 저성장 덫에 빠진 일본 뒤를 밟을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됩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일본이 장기불황을 겪기시작하는 90년대 초반 수준이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비율) 인구구조 상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면서 신성장동력을 찾는 게 시급한 현안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