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원인 불명의 중증 폐질환 임산부 가운데 어제 또 한 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질환의 근본적 원인 규명을 위해 관련 학계와 공동으로 대규모 연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부터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폐질환 치료를 받아오던 30대 임산부가 어제 끝내 숨졌습니다.
이로써 최근 원인을 알수 없는 중증 폐질환자 12명 가운데 숨진 사람은 4명으로 늘었습니다.
원인을 몰라 예방법도 없는 이 질환을 본격 규명하기 위해 관련 학회와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양병국(질병관리본부 국장):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발병 원인을 확실하게 규명하는 조사가 되겠습니다."
과거 유사한 질환이 간혹 보고됐지만 전국 규모의 체계적인 조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보건당국은 사례가 수집되는대로 질환의 특성 정의와 함께 환자 검체 분석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원인 규명을 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고윤석(울산대 교수): "감염성의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 있지만 그 가능성도 다 열어 놓고 보고 있거든요. 그 외에 환경적인 독성 물질이나 이런 것이 관여되는지 (조사할 계획입니다.)"
미확인 폐질환의 원인 규명 연구는 최소 1년은 걸릴 것이라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원인 불명의 중증 폐질환 임산부 가운데 어제 또 한 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질환의 근본적 원인 규명을 위해 관련 학계와 공동으로 대규모 연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부터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폐질환 치료를 받아오던 30대 임산부가 어제 끝내 숨졌습니다.
이로써 최근 원인을 알수 없는 중증 폐질환자 12명 가운데 숨진 사람은 4명으로 늘었습니다.
원인을 몰라 예방법도 없는 이 질환을 본격 규명하기 위해 관련 학회와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양병국(질병관리본부 국장):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발병 원인을 확실하게 규명하는 조사가 되겠습니다."
과거 유사한 질환이 간혹 보고됐지만 전국 규모의 체계적인 조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보건당국은 사례가 수집되는대로 질환의 특성 정의와 함께 환자 검체 분석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원인 규명을 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고윤석(울산대 교수): "감염성의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 있지만 그 가능성도 다 열어 놓고 보고 있거든요. 그 외에 환경적인 독성 물질이나 이런 것이 관여되는지 (조사할 계획입니다.)"
미확인 폐질환의 원인 규명 연구는 최소 1년은 걸릴 것이라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폐질환 산모 또 사망…정부 원인 규명 본격 착수
-
- 입력 2011-06-15 07:05:10

<앵커 멘트>
원인 불명의 중증 폐질환 임산부 가운데 어제 또 한 명이 숨졌습니다.
보건당국은 이 질환의 근본적 원인 규명을 위해 관련 학계와 공동으로 대규모 연구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부터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폐질환 치료를 받아오던 30대 임산부가 어제 끝내 숨졌습니다.
이로써 최근 원인을 알수 없는 중증 폐질환자 12명 가운데 숨진 사람은 4명으로 늘었습니다.
원인을 몰라 예방법도 없는 이 질환을 본격 규명하기 위해 관련 학회와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인터뷰> 양병국(질병관리본부 국장):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발병 원인을 확실하게 규명하는 조사가 되겠습니다."
과거 유사한 질환이 간혹 보고됐지만 전국 규모의 체계적인 조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보건당국은 사례가 수집되는대로 질환의 특성 정의와 함께 환자 검체 분석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원인 규명을 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고윤석(울산대 교수): "감염성의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 있지만 그 가능성도 다 열어 놓고 보고 있거든요. 그 외에 환경적인 독성 물질이나 이런 것이 관여되는지 (조사할 계획입니다.)"
미확인 폐질환의 원인 규명 연구는 최소 1년은 걸릴 것이라고 보건당국은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