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암이 무서운 이유는 암 세포가 끊임없이 증식해서 정상 세포를 죽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를 만들고 증식시키는 조절 '스위치'를 찾아내 앞으로 분자 수준에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세포가 암 세포로 바뀔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과학계에는 '베타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이 핵 속에서 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베타카테닌이 어떻게 암 유전자에 붙는지 몰랐는데 국내 연구진이 그 비밀을 풀었습니다.
연세대 의대팀의 연구 결과 '스모'라는 단백질이 있으면 베타카테닌을 포함한 4가지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뤄 암 세포를 증식시키고 있었습니다.
바로 스모 단백질이 암을 만드는 '스위치' 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입니다.
실제로 대장암에 걸린 쥐에게 스모 단백질 신호가 켜지게 하자 암 세포가 늘어나고 종양도 커졌습니다.
반대로 신호를 줄이자 암세포와 종양이 눈에 띄게 작아졌습니다.
앞으로 스모 단백질을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인터뷰>윤호근(연세대 의대 교수): "새로운 베타카테닌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분자 단위에서 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몰레큘러 셀'에 실렸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암이 무서운 이유는 암 세포가 끊임없이 증식해서 정상 세포를 죽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를 만들고 증식시키는 조절 '스위치'를 찾아내 앞으로 분자 수준에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세포가 암 세포로 바뀔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과학계에는 '베타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이 핵 속에서 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베타카테닌이 어떻게 암 유전자에 붙는지 몰랐는데 국내 연구진이 그 비밀을 풀었습니다.
연세대 의대팀의 연구 결과 '스모'라는 단백질이 있으면 베타카테닌을 포함한 4가지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뤄 암 세포를 증식시키고 있었습니다.
바로 스모 단백질이 암을 만드는 '스위치' 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입니다.
실제로 대장암에 걸린 쥐에게 스모 단백질 신호가 켜지게 하자 암 세포가 늘어나고 종양도 커졌습니다.
반대로 신호를 줄이자 암세포와 종양이 눈에 띄게 작아졌습니다.
앞으로 스모 단백질을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인터뷰>윤호근(연세대 의대 교수): "새로운 베타카테닌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분자 단위에서 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몰레큘러 셀'에 실렸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암세포 생성·증식 조절 ‘스위치’ 발견
-
- 입력 2011-07-25 07:06:43
<앵커 멘트>
암이 무서운 이유는 암 세포가 끊임없이 증식해서 정상 세포를 죽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를 만들고 증식시키는 조절 '스위치'를 찾아내 앞으로 분자 수준에서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세포가 암 세포로 바뀔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과학계에는 '베타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이 핵 속에서 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베타카테닌이 어떻게 암 유전자에 붙는지 몰랐는데 국내 연구진이 그 비밀을 풀었습니다.
연세대 의대팀의 연구 결과 '스모'라는 단백질이 있으면 베타카테닌을 포함한 4가지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뤄 암 세포를 증식시키고 있었습니다.
바로 스모 단백질이 암을 만드는 '스위치' 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입니다.
실제로 대장암에 걸린 쥐에게 스모 단백질 신호가 켜지게 하자 암 세포가 늘어나고 종양도 커졌습니다.
반대로 신호를 줄이자 암세포와 종양이 눈에 띄게 작아졌습니다.
앞으로 스모 단백질을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인터뷰>윤호근(연세대 의대 교수): "새로운 베타카테닌 복합체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분자 단위에서 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몰레큘러 셀'에 실렸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
이은정 기자 ejlee@kbs.co.kr
이은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