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스마트폰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스팸 문자 소액 결제 사기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메시지를 여는 순간 자신도 모르는 사이 1~2만 원의 정보 이용료가 청구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등학생 조모 양은 지난달 스마트폰을 구입한 직후 문자 1통을 받았습니다.
사진이 첨부되거나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길 때 사용하는 MMS,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였습니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MMS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아 메시지를 열었더니 성인물이었고, 지난달 요금 고지서에 정보 이용료로 2만 원이 청구됐습니다.
<녹취> 조 모양(피해자) : "이상한 내용도 있어서 문자를 그냥 지웠는데 돈이 많이 나와서 짜증도 나고 화도 나고, 피해받은 입장에서 빨리 환불해줘야 하는데 안 해줘서 어이도 없고..."
스마트폰은 여러 장의 사진을 한꺼번에 보낼 수 있어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많은 자료를 한 번에 전송해 3천 원 미만의 금액을 동시에, 수차례 결제되도록 하는 것이 스마트폰에서는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3천 원 미만의 소액결제는 개인인증을 하지 않아도 돼 피해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습니다.
스마트폰 소액결제 사기는 지난해부터 크게 늘기 시작해 피해자들이 개설한 인터넷 카페만 10여 개가 넘고 가입 회원 수도 수십만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 양순남(대구 소비자연맹) : "휴대폰 요금고지서를 꼼꼼히 확인을 하시고, 사용하지 않은 요금이 청구가 된다면 휴대폰 결제대행사나 해당 통신사를 통해서 환불이 가능하니까 반드시 보상을 요구하실 수가 있습니다."
경찰과 소비자단체는, 통신사에 소액결제를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스팸 문자 소액 결제 사기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메시지를 여는 순간 자신도 모르는 사이 1~2만 원의 정보 이용료가 청구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등학생 조모 양은 지난달 스마트폰을 구입한 직후 문자 1통을 받았습니다.
사진이 첨부되거나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길 때 사용하는 MMS,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였습니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MMS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아 메시지를 열었더니 성인물이었고, 지난달 요금 고지서에 정보 이용료로 2만 원이 청구됐습니다.
<녹취> 조 모양(피해자) : "이상한 내용도 있어서 문자를 그냥 지웠는데 돈이 많이 나와서 짜증도 나고 화도 나고, 피해받은 입장에서 빨리 환불해줘야 하는데 안 해줘서 어이도 없고..."
스마트폰은 여러 장의 사진을 한꺼번에 보낼 수 있어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많은 자료를 한 번에 전송해 3천 원 미만의 금액을 동시에, 수차례 결제되도록 하는 것이 스마트폰에서는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3천 원 미만의 소액결제는 개인인증을 하지 않아도 돼 피해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습니다.
스마트폰 소액결제 사기는 지난해부터 크게 늘기 시작해 피해자들이 개설한 인터넷 카페만 10여 개가 넘고 가입 회원 수도 수십만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 양순남(대구 소비자연맹) : "휴대폰 요금고지서를 꼼꼼히 확인을 하시고, 사용하지 않은 요금이 청구가 된다면 휴대폰 결제대행사나 해당 통신사를 통해서 환불이 가능하니까 반드시 보상을 요구하실 수가 있습니다."
경찰과 소비자단체는, 통신사에 소액결제를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마트폰 사용자 급증에 스팸문자도 ‘진화’
-
- 입력 2011-08-01 07:05:25

<앵커 멘트>
스마트폰 사용자가 크게 늘면서 스팸 문자 소액 결제 사기 수법도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메시지를 여는 순간 자신도 모르는 사이 1~2만 원의 정보 이용료가 청구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고등학생 조모 양은 지난달 스마트폰을 구입한 직후 문자 1통을 받았습니다.
사진이 첨부되거나 문자 메시지의 길이가 길 때 사용하는 MMS,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였습니다.
스마트폰의 특성상 MMS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아 메시지를 열었더니 성인물이었고, 지난달 요금 고지서에 정보 이용료로 2만 원이 청구됐습니다.
<녹취> 조 모양(피해자) : "이상한 내용도 있어서 문자를 그냥 지웠는데 돈이 많이 나와서 짜증도 나고 화도 나고, 피해받은 입장에서 빨리 환불해줘야 하는데 안 해줘서 어이도 없고..."
스마트폰은 여러 장의 사진을 한꺼번에 보낼 수 있어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많은 자료를 한 번에 전송해 3천 원 미만의 금액을 동시에, 수차례 결제되도록 하는 것이 스마트폰에서는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3천 원 미만의 소액결제는 개인인증을 하지 않아도 돼 피해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습니다.
스마트폰 소액결제 사기는 지난해부터 크게 늘기 시작해 피해자들이 개설한 인터넷 카페만 10여 개가 넘고 가입 회원 수도 수십만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 양순남(대구 소비자연맹) : "휴대폰 요금고지서를 꼼꼼히 확인을 하시고, 사용하지 않은 요금이 청구가 된다면 휴대폰 결제대행사나 해당 통신사를 통해서 환불이 가능하니까 반드시 보상을 요구하실 수가 있습니다."
경찰과 소비자단체는, 통신사에 소액결제를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
-
김재노 기자 delaro@kbs.co.kr
김재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