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서울역 노숙 금지…외면 받는 ‘쉼터’
입력 2011.08.22 (22:05)
수정 2011.08.23 (1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부터 서울역 대합실에서 노숙 행위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시민들의 불만을 반영한 조처지만 노숙인들은 대책없는 퇴거는 부당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열차 이용객이 많은 낮 시간, 대합실 한 가운데 술판이 벌어졌습니다.
화장실에선 몸을 씻는가 하면.
세면대 위에서 잠을 청하기도 합니다.
<녹취> "손님 일어나세요. 여기서 주무시면 안되요."
시민들의 불만에 서울역이 오늘부터 역내 노숙 행위를 전면 금지시켰습니다.
<인터뷰>김옥분(충남 논산시) : "보기 안좋죠. 위협적이고"
시행 첫날, 잠을 자려는 노숙인들과 코레일 직원 사이 실랑이도 벌어졌지만 큰 마찰은 없었습니다.
<녹취> "이미 40일 전부터 충분히 계도를 했는데요. (누가요? 저는 모르겠는데요.)"
코레일 측은 낮에도 노숙인들이 역사에서 잠을 자지 못 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녹취>서울역 노숙인: "서울역에서 아무리 못자게 해도 대한민국 국민이면 (마음대로 할 수 있어야지)"
<녹취> "강제퇴거 방침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강제 퇴거 조치에 대해 노숙인 단체들은 항의했습니다.
무조건 거리로 내몰기만 해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최예륜(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 "거리 노숙 상태에 빠진 이들에게 제대로 된 주거 지원과 일자리 지원, 의료 지원 등 여러가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노숙인 관련 단체들은 오늘밤 서울역 앞에서 문화제를 연 뒤 밤샘 농성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서울지역 노숙인 수는 서울역에 2백 70여 명, 영등포역 인근에 백 20여 명 등 모두 <천 백여 명>입니다.
현재 서울지역 보호시설의 노숙인 수용가능 인원은 3천여명, 하지만 이곳엔 현재 2천 2백여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갈곳이 있는데도 노숙인들은 왜 정처없이 거리를 헤매고 있는 걸까요?
최건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지역 39개 노숙인 쉼터는 현재 8백여 명을 더 수용할 수 있지만 비어있습니다.
구속받기 싫어하는 노숙인들이 잠만 재워주는 상담센터를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2백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 상담센터는 매일 밤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돕니다.
<인터뷰>이정규(팀장/다시서기상담보호센터) : "아무래도 노숙인 쉼터보다는 규제나 규율이 좀 덜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노숙인들의 특성을 배려해 서울시는 응급 구호방과 노숙인 자유카페를 마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서울역 인근 여관에 마련된 응급 구호방입니다. 이 방에서 음주자와 위급환자 등 노숙인 4명이 함께 묵게 됩니다.
하지만 음주자도 24시간 이용 가능한 노숙인 자유 카페는 아직 부지 선정도 못했습니다.
퇴거조치에 앞서 코레일과 서울시간의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까닭입니다.
<인터뷰>이우룡(서울시 자활정책팀장) : "그런 것들이 다 완비되고 난 뒤에 그런 조치가 이뤄지면 저희가 준비하기도 훨씬 낫고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인터뷰>박종승(서울역장) : "이제는 노숙인의 안전과 재활을 위해서도 특단의 조치를 서울시에서는 취해야하겠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노숙인 실태 파악과 함께 노숙인들의 특성을 감안한 수용시설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오늘부터 서울역 대합실에서 노숙 행위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시민들의 불만을 반영한 조처지만 노숙인들은 대책없는 퇴거는 부당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열차 이용객이 많은 낮 시간, 대합실 한 가운데 술판이 벌어졌습니다.
화장실에선 몸을 씻는가 하면.
세면대 위에서 잠을 청하기도 합니다.
<녹취> "손님 일어나세요. 여기서 주무시면 안되요."
시민들의 불만에 서울역이 오늘부터 역내 노숙 행위를 전면 금지시켰습니다.
<인터뷰>김옥분(충남 논산시) : "보기 안좋죠. 위협적이고"
시행 첫날, 잠을 자려는 노숙인들과 코레일 직원 사이 실랑이도 벌어졌지만 큰 마찰은 없었습니다.
<녹취> "이미 40일 전부터 충분히 계도를 했는데요. (누가요? 저는 모르겠는데요.)"
코레일 측은 낮에도 노숙인들이 역사에서 잠을 자지 못 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녹취>서울역 노숙인: "서울역에서 아무리 못자게 해도 대한민국 국민이면 (마음대로 할 수 있어야지)"
<녹취> "강제퇴거 방침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강제 퇴거 조치에 대해 노숙인 단체들은 항의했습니다.
무조건 거리로 내몰기만 해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최예륜(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 "거리 노숙 상태에 빠진 이들에게 제대로 된 주거 지원과 일자리 지원, 의료 지원 등 여러가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노숙인 관련 단체들은 오늘밤 서울역 앞에서 문화제를 연 뒤 밤샘 농성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서울지역 노숙인 수는 서울역에 2백 70여 명, 영등포역 인근에 백 20여 명 등 모두 <천 백여 명>입니다.
현재 서울지역 보호시설의 노숙인 수용가능 인원은 3천여명, 하지만 이곳엔 현재 2천 2백여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갈곳이 있는데도 노숙인들은 왜 정처없이 거리를 헤매고 있는 걸까요?
최건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지역 39개 노숙인 쉼터는 현재 8백여 명을 더 수용할 수 있지만 비어있습니다.
구속받기 싫어하는 노숙인들이 잠만 재워주는 상담센터를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2백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 상담센터는 매일 밤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돕니다.
<인터뷰>이정규(팀장/다시서기상담보호센터) : "아무래도 노숙인 쉼터보다는 규제나 규율이 좀 덜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노숙인들의 특성을 배려해 서울시는 응급 구호방과 노숙인 자유카페를 마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서울역 인근 여관에 마련된 응급 구호방입니다. 이 방에서 음주자와 위급환자 등 노숙인 4명이 함께 묵게 됩니다.
하지만 음주자도 24시간 이용 가능한 노숙인 자유 카페는 아직 부지 선정도 못했습니다.
퇴거조치에 앞서 코레일과 서울시간의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까닭입니다.
<인터뷰>이우룡(서울시 자활정책팀장) : "그런 것들이 다 완비되고 난 뒤에 그런 조치가 이뤄지면 저희가 준비하기도 훨씬 낫고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인터뷰>박종승(서울역장) : "이제는 노숙인의 안전과 재활을 위해서도 특단의 조치를 서울시에서는 취해야하겠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노숙인 실태 파악과 함께 노숙인들의 특성을 감안한 수용시설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서울역 노숙 금지…외면 받는 ‘쉼터’
-
- 입력 2011-08-22 22:05:31
- 수정2011-08-23 10:47:33
<앵커 멘트>
오늘부터 서울역 대합실에서 노숙 행위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시민들의 불만을 반영한 조처지만 노숙인들은 대책없는 퇴거는 부당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윤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열차 이용객이 많은 낮 시간, 대합실 한 가운데 술판이 벌어졌습니다.
화장실에선 몸을 씻는가 하면.
세면대 위에서 잠을 청하기도 합니다.
<녹취> "손님 일어나세요. 여기서 주무시면 안되요."
시민들의 불만에 서울역이 오늘부터 역내 노숙 행위를 전면 금지시켰습니다.
<인터뷰>김옥분(충남 논산시) : "보기 안좋죠. 위협적이고"
시행 첫날, 잠을 자려는 노숙인들과 코레일 직원 사이 실랑이도 벌어졌지만 큰 마찰은 없었습니다.
<녹취> "이미 40일 전부터 충분히 계도를 했는데요. (누가요? 저는 모르겠는데요.)"
코레일 측은 낮에도 노숙인들이 역사에서 잠을 자지 못 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녹취>서울역 노숙인: "서울역에서 아무리 못자게 해도 대한민국 국민이면 (마음대로 할 수 있어야지)"
<녹취> "강제퇴거 방침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강제 퇴거 조치에 대해 노숙인 단체들은 항의했습니다.
무조건 거리로 내몰기만 해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최예륜(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 "거리 노숙 상태에 빠진 이들에게 제대로 된 주거 지원과 일자리 지원, 의료 지원 등 여러가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노숙인 관련 단체들은 오늘밤 서울역 앞에서 문화제를 연 뒤 밤샘 농성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서울지역 노숙인 수는 서울역에 2백 70여 명, 영등포역 인근에 백 20여 명 등 모두 <천 백여 명>입니다.
현재 서울지역 보호시설의 노숙인 수용가능 인원은 3천여명, 하지만 이곳엔 현재 2천 2백여명이 머물고 있습니다.
갈곳이 있는데도 노숙인들은 왜 정처없이 거리를 헤매고 있는 걸까요?
최건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지역 39개 노숙인 쉼터는 현재 8백여 명을 더 수용할 수 있지만 비어있습니다.
구속받기 싫어하는 노숙인들이 잠만 재워주는 상담센터를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2백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이 상담센터는 매일 밤 빈자리를 찾기 힘들 정돕니다.
<인터뷰>이정규(팀장/다시서기상담보호센터) : "아무래도 노숙인 쉼터보다는 규제나 규율이 좀 덜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노숙인들의 특성을 배려해 서울시는 응급 구호방과 노숙인 자유카페를 마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서울역 인근 여관에 마련된 응급 구호방입니다. 이 방에서 음주자와 위급환자 등 노숙인 4명이 함께 묵게 됩니다.
하지만 음주자도 24시간 이용 가능한 노숙인 자유 카페는 아직 부지 선정도 못했습니다.
퇴거조치에 앞서 코레일과 서울시간의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까닭입니다.
<인터뷰>이우룡(서울시 자활정책팀장) : "그런 것들이 다 완비되고 난 뒤에 그런 조치가 이뤄지면 저희가 준비하기도 훨씬 낫고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인터뷰>박종승(서울역장) : "이제는 노숙인의 안전과 재활을 위해서도 특단의 조치를 서울시에서는 취해야하겠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노숙인 실태 파악과 함께 노숙인들의 특성을 감안한 수용시설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
-
윤지연 기자 aeon@kbs.co.kr
윤지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