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북·러 회담, 한반도에 도움 되길
입력 2011.08.23 (07:23)
수정 2011.08.29 (1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창근 해설위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대외행보가 바쁩니다. 이번에 9년만에 러시아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방러는 지난 5월 중국 방문 이후 3개월 만입니다. 불편한 몸으로 김위원장이 왜 이번엔 러시아를 찾았을까요?
중국방문만으로 부족해 러시아를 통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있는 듯 합니다. 지난번 중국방문에선 원하는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 다 얻지 못한 경제지원과 협력을 러시아를 통해 얻어 내려는 듯 합니다. 내년에 강성대국 건설을 공언한 김위원장에게 지금 가장 급한 것은 경제문젭니다. 인민들이 배를 굶주리는 데 강성대국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예전에 어려웠을 때 김일성이 그랬듯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등거리외교를 흉내 낸 듯합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은 두나라의 이해가 서로 맞습니다. 러시아는 그동안 물량공세를 펴는 중국에 밀려 한반도 문제에서 뒤쳐져 있었습니다. 이 영향력을 이번에 복원하는 기회로 삼으려 할 것입니다. 북한으로선 러시아 접근으로 중국을 자극해 더 큰 지원을 얻을수 있다고 볼 것입니다. 북미대화에서도 러시아의 역할이 있다고 나름 판단하고 있습니다. 곧 있게 될 정상회담에서는 시베리아 개발 문제와 6자회담 관련 등 여러 현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북에 무엇을 제공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김 위원장은 일단 러시아 제안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남북러 가스관 연결 등은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업은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될 뿐 아니라 한반도 긴장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국과 대화를 튼 데 이어 소원했던 러시아와도 관계 복원을 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에게 권합니다. 왜 쉽고 편한 길을 놔두고 어렵게 일을 합니까?한국을 통하면 됩니다. 우리정부의 제안을 받으세요. 우리정부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북한은 국제적 외교공간을 넓혀가는데 우리는 정체된 면이 있습니다. 우리외교도 빠르게 변하는 주변정세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대외행보가 바쁩니다. 이번에 9년만에 러시아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방러는 지난 5월 중국 방문 이후 3개월 만입니다. 불편한 몸으로 김위원장이 왜 이번엔 러시아를 찾았을까요?
중국방문만으로 부족해 러시아를 통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있는 듯 합니다. 지난번 중국방문에선 원하는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 다 얻지 못한 경제지원과 협력을 러시아를 통해 얻어 내려는 듯 합니다. 내년에 강성대국 건설을 공언한 김위원장에게 지금 가장 급한 것은 경제문젭니다. 인민들이 배를 굶주리는 데 강성대국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예전에 어려웠을 때 김일성이 그랬듯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등거리외교를 흉내 낸 듯합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은 두나라의 이해가 서로 맞습니다. 러시아는 그동안 물량공세를 펴는 중국에 밀려 한반도 문제에서 뒤쳐져 있었습니다. 이 영향력을 이번에 복원하는 기회로 삼으려 할 것입니다. 북한으로선 러시아 접근으로 중국을 자극해 더 큰 지원을 얻을수 있다고 볼 것입니다. 북미대화에서도 러시아의 역할이 있다고 나름 판단하고 있습니다. 곧 있게 될 정상회담에서는 시베리아 개발 문제와 6자회담 관련 등 여러 현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북에 무엇을 제공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김 위원장은 일단 러시아 제안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남북러 가스관 연결 등은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업은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될 뿐 아니라 한반도 긴장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국과 대화를 튼 데 이어 소원했던 러시아와도 관계 복원을 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에게 권합니다. 왜 쉽고 편한 길을 놔두고 어렵게 일을 합니까?한국을 통하면 됩니다. 우리정부의 제안을 받으세요. 우리정부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북한은 국제적 외교공간을 넓혀가는데 우리는 정체된 면이 있습니다. 우리외교도 빠르게 변하는 주변정세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북·러 회담, 한반도에 도움 되길
-
- 입력 2011-08-23 07:23:47
- 수정2011-08-29 11:49:16

[최창근 해설위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대외행보가 바쁩니다. 이번에 9년만에 러시아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방러는 지난 5월 중국 방문 이후 3개월 만입니다. 불편한 몸으로 김위원장이 왜 이번엔 러시아를 찾았을까요?
중국방문만으로 부족해 러시아를 통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있는 듯 합니다. 지난번 중국방문에선 원하는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 다 얻지 못한 경제지원과 협력을 러시아를 통해 얻어 내려는 듯 합니다. 내년에 강성대국 건설을 공언한 김위원장에게 지금 가장 급한 것은 경제문젭니다. 인민들이 배를 굶주리는 데 강성대국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예전에 어려웠을 때 김일성이 그랬듯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등거리외교를 흉내 낸 듯합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은 두나라의 이해가 서로 맞습니다. 러시아는 그동안 물량공세를 펴는 중국에 밀려 한반도 문제에서 뒤쳐져 있었습니다. 이 영향력을 이번에 복원하는 기회로 삼으려 할 것입니다. 북한으로선 러시아 접근으로 중국을 자극해 더 큰 지원을 얻을수 있다고 볼 것입니다. 북미대화에서도 러시아의 역할이 있다고 나름 판단하고 있습니다. 곧 있게 될 정상회담에서는 시베리아 개발 문제와 6자회담 관련 등 여러 현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북에 무엇을 제공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김 위원장은 일단 러시아 제안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남북러 가스관 연결 등은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업은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될 뿐 아니라 한반도 긴장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국과 대화를 튼 데 이어 소원했던 러시아와도 관계 복원을 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에게 권합니다. 왜 쉽고 편한 길을 놔두고 어렵게 일을 합니까?한국을 통하면 됩니다. 우리정부의 제안을 받으세요. 우리정부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북한은 국제적 외교공간을 넓혀가는데 우리는 정체된 면이 있습니다. 우리외교도 빠르게 변하는 주변정세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대외행보가 바쁩니다. 이번에 9년만에 러시아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방러는 지난 5월 중국 방문 이후 3개월 만입니다. 불편한 몸으로 김위원장이 왜 이번엔 러시아를 찾았을까요?
중국방문만으로 부족해 러시아를 통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있는 듯 합니다. 지난번 중국방문에선 원하는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 다 얻지 못한 경제지원과 협력을 러시아를 통해 얻어 내려는 듯 합니다. 내년에 강성대국 건설을 공언한 김위원장에게 지금 가장 급한 것은 경제문젭니다. 인민들이 배를 굶주리는 데 강성대국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예전에 어려웠을 때 김일성이 그랬듯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등거리외교를 흉내 낸 듯합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은 두나라의 이해가 서로 맞습니다. 러시아는 그동안 물량공세를 펴는 중국에 밀려 한반도 문제에서 뒤쳐져 있었습니다. 이 영향력을 이번에 복원하는 기회로 삼으려 할 것입니다. 북한으로선 러시아 접근으로 중국을 자극해 더 큰 지원을 얻을수 있다고 볼 것입니다. 북미대화에서도 러시아의 역할이 있다고 나름 판단하고 있습니다. 곧 있게 될 정상회담에서는 시베리아 개발 문제와 6자회담 관련 등 여러 현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북에 무엇을 제공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김 위원장은 일단 러시아 제안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남북러 가스관 연결 등은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사업은 남북한 모두에게 이익이 될 뿐 아니라 한반도 긴장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북한은 최근 미국과 대화를 튼 데 이어 소원했던 러시아와도 관계 복원을 하고 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에게 권합니다. 왜 쉽고 편한 길을 놔두고 어렵게 일을 합니까?한국을 통하면 됩니다. 우리정부의 제안을 받으세요. 우리정부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북한은 국제적 외교공간을 넓혀가는데 우리는 정체된 면이 있습니다. 우리외교도 빠르게 변하는 주변정세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