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제수용 수산물 고공행진…어획량 부족
입력 2011.08.23 (12:59)
수정 2011.08.23 (15: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추석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차례상에 오르는 수산물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이른 추석으로 휴가철 수요가 겹친데다 어획량마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재교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지역 추석 차례상에 빠짐없이 오르는 문어입니다.
죽도 시장에서 거래되는 문어 1킬로그램 가격은 3만 원선.
작년에 비해 50% 오른 가격입니다.
<인터뷰>양용자(죽도시장 상인): "많이 올랐죠. 요새 들어서 잡히는 게 없으니까."
조기와 돔, 참가자미 등 다른 제수용품 역시 지난해보다 2,30% 올랐습니다.
어획량이 부족하면서 도매상인은 물량확보마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터뷰>김규법(수산물 도매상): "어획량이 줄다 보니 추석 앞두고 물량확보가 힘든 실정."
돔베기와 명태 등은 지난해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해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비싸긴 마찬가집니다.
특히 올해 추석이 예년보다 한 달가량 이르다 보니, 수산물 수요가 많은 휴가철과 겹치면서 이같은 가격 오름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은 벌써 걱정입니다.
<인터뷰>임지은(포항시 상대동): "비싸도 어쩔 수 없이 써야하는데.."
어획량 감소에다 이른 추석으로 수산물 가격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추석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차례상에 오르는 수산물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이른 추석으로 휴가철 수요가 겹친데다 어획량마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재교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지역 추석 차례상에 빠짐없이 오르는 문어입니다.
죽도 시장에서 거래되는 문어 1킬로그램 가격은 3만 원선.
작년에 비해 50% 오른 가격입니다.
<인터뷰>양용자(죽도시장 상인): "많이 올랐죠. 요새 들어서 잡히는 게 없으니까."
조기와 돔, 참가자미 등 다른 제수용품 역시 지난해보다 2,30% 올랐습니다.
어획량이 부족하면서 도매상인은 물량확보마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터뷰>김규법(수산물 도매상): "어획량이 줄다 보니 추석 앞두고 물량확보가 힘든 실정."
돔베기와 명태 등은 지난해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해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비싸긴 마찬가집니다.
특히 올해 추석이 예년보다 한 달가량 이르다 보니, 수산물 수요가 많은 휴가철과 겹치면서 이같은 가격 오름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은 벌써 걱정입니다.
<인터뷰>임지은(포항시 상대동): "비싸도 어쩔 수 없이 써야하는데.."
어획량 감소에다 이른 추석으로 수산물 가격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추석 제수용 수산물 고공행진…어획량 부족
-
- 입력 2011-08-23 12:59:57
- 수정2011-08-23 15:20:57

<앵커 멘트>
추석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차례상에 오르는 수산물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이른 추석으로 휴가철 수요가 겹친데다 어획량마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재교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북지역 추석 차례상에 빠짐없이 오르는 문어입니다.
죽도 시장에서 거래되는 문어 1킬로그램 가격은 3만 원선.
작년에 비해 50% 오른 가격입니다.
<인터뷰>양용자(죽도시장 상인): "많이 올랐죠. 요새 들어서 잡히는 게 없으니까."
조기와 돔, 참가자미 등 다른 제수용품 역시 지난해보다 2,30% 올랐습니다.
어획량이 부족하면서 도매상인은 물량확보마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터뷰>김규법(수산물 도매상): "어획량이 줄다 보니 추석 앞두고 물량확보가 힘든 실정."
돔베기와 명태 등은 지난해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해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비싸긴 마찬가집니다.
특히 올해 추석이 예년보다 한 달가량 이르다 보니, 수산물 수요가 많은 휴가철과 겹치면서 이같은 가격 오름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들은 벌써 걱정입니다.
<인터뷰>임지은(포항시 상대동): "비싸도 어쩔 수 없이 써야하는데.."
어획량 감소에다 이른 추석으로 수산물 가격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
-
이재교 기자 sky77@kbs.co.kr
이재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