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두희, 미 정보요원

입력 2001.09.04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백범 김 구 선생을 시해한 안두희가 미군 정보요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 김 구 선생의 시해 배후에 미국이 있을 것이라는 의혹이 더욱 짙어지고 있습니다.
유성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해방 후 한반도 통일정부를 만들기 위해 앞장섰던 김 구 선생의 시해범 안두희는 당시 미국 방첩대 요원이었음이 드러났습니다.
김 구 선생이 총탄에 쓰러진 지 25년, 시해범 안두희가 피살된 지 5년 만에 밝혀진 사실입니다.
48년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근무했던 미 정보장교 조지 실리 소령이 백범 시해 사흘 후에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포병 소위였던 안두희가 미 육군 방첩대 CIC의 정보요원으로 있다가 나중에 정식요원으로 활동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박태균(서울대 국제지역원 한국학 교수): 미국의 정보기관이 어떠한 식으로든지 관계가 있었다고 하는 가능성을 좀 밝힐 수 있는 그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기자: 이 보고서는 또 안두희가 백의사라는 극우 반공 테러단체의 특공대원이었고, 이 백의사가 해방 직후 장덕수와 여운형의 암살에도 개입됐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해외 한국사 관련자료들을 조사하다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발견했습니다.
⊙유병두(백범 이해 진상규명위원회): 미 군정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여러 가지 진실이 이번에 제대로 밝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기자: 안두희가 미 방첩대 요원이었음이 드러남에 따라 김 구 선생의 암살에 미국말이 개입했을 것이라는 그 동안의 의혹이 한층 짙어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유성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두희, 미 정보요원
    • 입력 2001-09-04 20:00:00
    뉴스투데이
⊙앵커: 백범 김 구 선생을 시해한 안두희가 미군 정보요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 김 구 선생의 시해 배후에 미국이 있을 것이라는 의혹이 더욱 짙어지고 있습니다. 유성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해방 후 한반도 통일정부를 만들기 위해 앞장섰던 김 구 선생의 시해범 안두희는 당시 미국 방첩대 요원이었음이 드러났습니다. 김 구 선생이 총탄에 쓰러진 지 25년, 시해범 안두희가 피살된 지 5년 만에 밝혀진 사실입니다. 48년 말까지 우리나라에서 근무했던 미 정보장교 조지 실리 소령이 백범 시해 사흘 후에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포병 소위였던 안두희가 미 육군 방첩대 CIC의 정보요원으로 있다가 나중에 정식요원으로 활동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박태균(서울대 국제지역원 한국학 교수): 미국의 정보기관이 어떠한 식으로든지 관계가 있었다고 하는 가능성을 좀 밝힐 수 있는 그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기자: 이 보고서는 또 안두희가 백의사라는 극우 반공 테러단체의 특공대원이었고, 이 백의사가 해방 직후 장덕수와 여운형의 암살에도 개입됐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해외 한국사 관련자료들을 조사하다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발견했습니다. ⊙유병두(백범 이해 진상규명위원회): 미 군정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여러 가지 진실이 이번에 제대로 밝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기자: 안두희가 미 방첩대 요원이었음이 드러남에 따라 김 구 선생의 암살에 미국말이 개입했을 것이라는 그 동안의 의혹이 한층 짙어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유성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