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재료

입력 2001.09.04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요즘 미국에서는 스마트 재료에 관한 연구가 한창입니다.
철이나 플라스틱 같은 것들이 스스로 느끼고, 기억하고 고치는 것입니다.
이 플라스틱은 피도 흘리고 상처도 생기는 살아 있는 플라스틱입니다.
이것을 만든 일리노 대학 연구팀은 스스로 손상된 부분을 고치는 자생력 있는 플라스틱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철사는 열만 닿으면 곧게 펴집니다.
미 항공우주국에서는 이 철사를 이용해 새의 날개처럼 유연한 비행기의 날개를 만들려고 합니다.
이외에도 아예 비행기 전체에 센서를 부착해 비행기가 스스로 연비를 절약하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게 하는 연구까지 진행중입니다.
KBS뉴스 박기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마트 재료
    • 입력 2001-09-04 20:00:00
    뉴스투데이
⊙기자: 요즘 미국에서는 스마트 재료에 관한 연구가 한창입니다. 철이나 플라스틱 같은 것들이 스스로 느끼고, 기억하고 고치는 것입니다. 이 플라스틱은 피도 흘리고 상처도 생기는 살아 있는 플라스틱입니다. 이것을 만든 일리노 대학 연구팀은 스스로 손상된 부분을 고치는 자생력 있는 플라스틱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철사는 열만 닿으면 곧게 펴집니다. 미 항공우주국에서는 이 철사를 이용해 새의 날개처럼 유연한 비행기의 날개를 만들려고 합니다. 이외에도 아예 비행기 전체에 센서를 부착해 비행기가 스스로 연비를 절약하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게 하는 연구까지 진행중입니다. KBS뉴스 박기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