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한과 만들기’ 체험교실 인기
입력 2011.09.06 (07:01)
수정 2011.09.06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추석 명절을 앞두고 우리의 전통 과자인 한과 만들기체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한과 박물관도 전통 교육 기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연 발효 과정을 거친 유과를 만드는 체험 학습 시간, 한과를 조청에 담갔다가 쌀 튀밥 가루를 묻히는 어린 요리사들의 표정이 사뭇 진지합니다.
<인터뷰>권희주(7살) : "과자를 만들어서 먹으니까 맛있었어요."
어린이들은 한과의 한 종류인 다식을 먹기 위해서 녹차를 우려내는 다도를 함께 배웁니다.
<녹취> "차를 우려 마실 수 있는 다관이라고 합니다. 자 함께 다관."
유치원생부터 어른까지 이곳을 찾는 교육생은 한해 평균 8만여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이미영(교육 담당자) : "순수 우리 농산물을 이용해 만드는 전통을 계승해 만들어보고 가져갈 수도 있도록..."
전통 기술을 전수하는 정규 교육과정도 인기입니다.
이 같은 자체 교육 시설에서는 한과 명인에게 배우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과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크게 9가지, 삼국유사 등 우리 고문헌에 기록된 제조 역사는 천4백 년이 넘습니다.
경기도와 향토 기업이 세운 박물관이 한과의 전통을 널리 알리는 교육기관으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우리의 전통 과자인 한과 만들기체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한과 박물관도 전통 교육 기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연 발효 과정을 거친 유과를 만드는 체험 학습 시간, 한과를 조청에 담갔다가 쌀 튀밥 가루를 묻히는 어린 요리사들의 표정이 사뭇 진지합니다.
<인터뷰>권희주(7살) : "과자를 만들어서 먹으니까 맛있었어요."
어린이들은 한과의 한 종류인 다식을 먹기 위해서 녹차를 우려내는 다도를 함께 배웁니다.
<녹취> "차를 우려 마실 수 있는 다관이라고 합니다. 자 함께 다관."
유치원생부터 어른까지 이곳을 찾는 교육생은 한해 평균 8만여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이미영(교육 담당자) : "순수 우리 농산물을 이용해 만드는 전통을 계승해 만들어보고 가져갈 수도 있도록..."
전통 기술을 전수하는 정규 교육과정도 인기입니다.
이 같은 자체 교육 시설에서는 한과 명인에게 배우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과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크게 9가지, 삼국유사 등 우리 고문헌에 기록된 제조 역사는 천4백 년이 넘습니다.
경기도와 향토 기업이 세운 박물관이 한과의 전통을 널리 알리는 교육기관으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통 한과 만들기’ 체험교실 인기
-
- 입력 2011-09-06 07:01:12
- 수정2011-09-06 08:16:14
<앵커 멘트>
추석 명절을 앞두고 우리의 전통 과자인 한과 만들기체험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한과 박물관도 전통 교육 기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천연 발효 과정을 거친 유과를 만드는 체험 학습 시간, 한과를 조청에 담갔다가 쌀 튀밥 가루를 묻히는 어린 요리사들의 표정이 사뭇 진지합니다.
<인터뷰>권희주(7살) : "과자를 만들어서 먹으니까 맛있었어요."
어린이들은 한과의 한 종류인 다식을 먹기 위해서 녹차를 우려내는 다도를 함께 배웁니다.
<녹취> "차를 우려 마실 수 있는 다관이라고 합니다. 자 함께 다관."
유치원생부터 어른까지 이곳을 찾는 교육생은 한해 평균 8만여 명에 이릅니다.
<인터뷰>이미영(교육 담당자) : "순수 우리 농산물을 이용해 만드는 전통을 계승해 만들어보고 가져갈 수도 있도록..."
전통 기술을 전수하는 정규 교육과정도 인기입니다.
이 같은 자체 교육 시설에서는 한과 명인에게 배우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과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크게 9가지, 삼국유사 등 우리 고문헌에 기록된 제조 역사는 천4백 년이 넘습니다.
경기도와 향토 기업이 세운 박물관이 한과의 전통을 널리 알리는 교육기관으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
-
김종수 기자 sweeper@kbs.co.kr
김종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