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 구리 채굴작업…지하 자원 ‘본격 접수’
입력 2011.09.21 (07:12)
수정 2011.09.21 (07: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에 묻혀 있는 막대한 지하자원에 대한 중국의 선점 전략이 착착 실행에 옮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자본이 투입된 접경 지역의 북한 광산에서는 구리 채굴 작업이 본격 시작됐습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정 매장량 40만 톤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인 양강도 혜산 구리광산.
이곳 북-중 접경 지역 혜산에 설립된 북한과 중국의 공동 벤처 광산 회사가 본격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첫 가동 행사에는 북한의 강민철 채취공업상과 주북한 중국 대사 등이 참석했습니다.
폐광 위기에 놓인 북한 굴지의 광산이 사실상 100% 중국 자본과 기술로 생산을 재개한 것입니다.
<녹취>류홍차이(주북한 중국대사): "오늘 혜산 청년 구리 광산이 다시 채굴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양측은 중국이 구매할 구리광의 규모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철광석에 이어 북한의 구리까지 한해 수천 톤씩 중국으로 넘어갈 전망입니다.
철광의 경우 이미 세 개 이상의 중국 기업이 인프라 투자 등의 형식으로 북한에 들어가 한해 백만 톤 이상을 실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북한의 대중국 수출품 가운데 석탄과 철광 등의 지하자원 비중은 전체의 70%가 훨씬 넘었습니다.
자원 수출을 통한 북한의 외화 의존도는 올해 더욱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북한에 묻혀 있는 막대한 지하자원에 대한 중국의 선점 전략이 착착 실행에 옮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자본이 투입된 접경 지역의 북한 광산에서는 구리 채굴 작업이 본격 시작됐습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정 매장량 40만 톤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인 양강도 혜산 구리광산.
이곳 북-중 접경 지역 혜산에 설립된 북한과 중국의 공동 벤처 광산 회사가 본격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첫 가동 행사에는 북한의 강민철 채취공업상과 주북한 중국 대사 등이 참석했습니다.
폐광 위기에 놓인 북한 굴지의 광산이 사실상 100% 중국 자본과 기술로 생산을 재개한 것입니다.
<녹취>류홍차이(주북한 중국대사): "오늘 혜산 청년 구리 광산이 다시 채굴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양측은 중국이 구매할 구리광의 규모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철광석에 이어 북한의 구리까지 한해 수천 톤씩 중국으로 넘어갈 전망입니다.
철광의 경우 이미 세 개 이상의 중국 기업이 인프라 투자 등의 형식으로 북한에 들어가 한해 백만 톤 이상을 실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북한의 대중국 수출품 가운데 석탄과 철광 등의 지하자원 비중은 전체의 70%가 훨씬 넘었습니다.
자원 수출을 통한 북한의 외화 의존도는 올해 더욱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北 구리 채굴작업…지하 자원 ‘본격 접수’
-
- 입력 2011-09-21 07:12:59
- 수정2011-09-21 07:24:58
<앵커 멘트>
북한에 묻혀 있는 막대한 지하자원에 대한 중국의 선점 전략이 착착 실행에 옮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자본이 투입된 접경 지역의 북한 광산에서는 구리 채굴 작업이 본격 시작됐습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추정 매장량 40만 톤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인 양강도 혜산 구리광산.
이곳 북-중 접경 지역 혜산에 설립된 북한과 중국의 공동 벤처 광산 회사가 본격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첫 가동 행사에는 북한의 강민철 채취공업상과 주북한 중국 대사 등이 참석했습니다.
폐광 위기에 놓인 북한 굴지의 광산이 사실상 100% 중국 자본과 기술로 생산을 재개한 것입니다.
<녹취>류홍차이(주북한 중국대사): "오늘 혜산 청년 구리 광산이 다시 채굴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양측은 중국이 구매할 구리광의 규모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철광석에 이어 북한의 구리까지 한해 수천 톤씩 중국으로 넘어갈 전망입니다.
철광의 경우 이미 세 개 이상의 중국 기업이 인프라 투자 등의 형식으로 북한에 들어가 한해 백만 톤 이상을 실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북한의 대중국 수출품 가운데 석탄과 철광 등의 지하자원 비중은 전체의 70%가 훨씬 넘었습니다.
자원 수출을 통한 북한의 외화 의존도는 올해 더욱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
김주영 기자 kjyoung@kbs.co.kr
김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