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지혜를 배운다…나노생체공학 주목

입력 2011.10.09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동물의 생체능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기발함에 종종 놀라곤 하는데요.

동물의 행동양식을 인간 삶에 응용한 생체공학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아무 거리낌 없이 벽을 올라가는 '게코 도마뱀',

천장까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비밀은 바로 발바닥에 있습니다.

극히 미세한 섬모가 수십억개나 있어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모방해 만든 인공 발바닥. 물체를 쉽게 붙일 수 있고, 떼고 나면 아무 흔적도 남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창현(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박사과정) : "나노나 마이크로 계층구조가 있게 되면 구조적으로 표면에 반데르발스 포스가 증가하게 되서 접착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접착력은 증가하지만 오염은 안되는 표면이 되서..."

또 의료용 패치로 사용할 경우 기존 접착제는 피부 세포에 손상을 주지만 미세 섬모 패치는 하루종일 붙여도 전혀 붓지 않습니다.

등껍질에 숨어있는 무당벌레의 날개는 펼치면 몸 길이보다 길어집니다.

바로 날개가 접히는 자리에 미세 섬모가 잘 맞물려있어 좁은 공간에 잘 접힙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접착 잠금장치를 개발했더니 작은 소화기를 매달아놔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인터뷰> 서갑양(서울대 교수) : "사실 자연계 시스템 자체가 굉장히 최적화되었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을 하지않습니까 환경에 잘 적응되어있는 그런 노하우를 저희가 그냥 빌려오는 거죠."

이처럼 동물의 생체능력을 활용하는 모사 공학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물의 지혜를 배운다…나노생체공학 주목
    • 입력 2011-10-09 21:54:39
    뉴스 9
<앵커 멘트> 동물의 생체능력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기발함에 종종 놀라곤 하는데요. 동물의 행동양식을 인간 삶에 응용한 생체공학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아무 거리낌 없이 벽을 올라가는 '게코 도마뱀', 천장까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비밀은 바로 발바닥에 있습니다. 극히 미세한 섬모가 수십억개나 있어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모방해 만든 인공 발바닥. 물체를 쉽게 붙일 수 있고, 떼고 나면 아무 흔적도 남지 않습니다. <인터뷰> 방창현(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박사과정) : "나노나 마이크로 계층구조가 있게 되면 구조적으로 표면에 반데르발스 포스가 증가하게 되서 접착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접착력은 증가하지만 오염은 안되는 표면이 되서..." 또 의료용 패치로 사용할 경우 기존 접착제는 피부 세포에 손상을 주지만 미세 섬모 패치는 하루종일 붙여도 전혀 붓지 않습니다. 등껍질에 숨어있는 무당벌레의 날개는 펼치면 몸 길이보다 길어집니다. 바로 날개가 접히는 자리에 미세 섬모가 잘 맞물려있어 좁은 공간에 잘 접힙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접착 잠금장치를 개발했더니 작은 소화기를 매달아놔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인터뷰> 서갑양(서울대 교수) : "사실 자연계 시스템 자체가 굉장히 최적화되었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을 하지않습니까 환경에 잘 적응되어있는 그런 노하우를 저희가 그냥 빌려오는 거죠." 이처럼 동물의 생체능력을 활용하는 모사 공학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