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족집게처럼 예측했던 미국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지금 유럽에 닥친 재정위기에 대해선 어떤 해법을 내놨을까요?
김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2년 전에 예측해 세계적 명성을 얻은 뉴욕대 루비니 교수.
<인터뷰> 루비니 교수(2008년 9월) : "모기지의 위기 또는 신용위기는 이미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모델의 마지막 과정, 금융위기를 향해 치닫고 있는 중입니다."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현재의 유럽발 경제위기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루비니(미국 뉴욕대 교수) : "미국과 유럽발 경기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더블딥(경기재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루비니 교수가 제시하는 위기해법의 핵심은 글로벌 리더십.
2008년 리먼 사태 때는 한국이 주도한 G20 공조가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리먼 사태 이후 금융위기 때는 재정확대와 금융개혁 측면에서 한국의 주도로 진전이 이뤄졌습니다."
반면 지금 유럽은 말만 앞세우고 결단을 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지금은 G20가 아니라 G0가 된 것 같습니다. 리더십이 없기 때문입니다"
루비니 교수는 2조 유로를 조성해 그리스 등을 지원해야 문제가 풀릴수 있다며 유로존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족집게처럼 예측했던 미국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지금 유럽에 닥친 재정위기에 대해선 어떤 해법을 내놨을까요?
김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2년 전에 예측해 세계적 명성을 얻은 뉴욕대 루비니 교수.
<인터뷰> 루비니 교수(2008년 9월) : "모기지의 위기 또는 신용위기는 이미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모델의 마지막 과정, 금융위기를 향해 치닫고 있는 중입니다."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현재의 유럽발 경제위기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루비니(미국 뉴욕대 교수) : "미국과 유럽발 경기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더블딥(경기재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루비니 교수가 제시하는 위기해법의 핵심은 글로벌 리더십.
2008년 리먼 사태 때는 한국이 주도한 G20 공조가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리먼 사태 이후 금융위기 때는 재정확대와 금융개혁 측면에서 한국의 주도로 진전이 이뤄졌습니다."
반면 지금 유럽은 말만 앞세우고 결단을 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지금은 G20가 아니라 G0가 된 것 같습니다. 리더십이 없기 때문입니다"
루비니 교수는 2조 유로를 조성해 그리스 등을 지원해야 문제가 풀릴수 있다며 유로존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위기 예측 ‘족집게 도사’ 루비니 교수 방한
-
- 입력 2011-10-13 21:59:34

<앵커 멘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족집게처럼 예측했던 미국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지금 유럽에 닥친 재정위기에 대해선 어떤 해법을 내놨을까요?
김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2년 전에 예측해 세계적 명성을 얻은 뉴욕대 루비니 교수.
<인터뷰> 루비니 교수(2008년 9월) : "모기지의 위기 또는 신용위기는 이미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모델의 마지막 과정, 금융위기를 향해 치닫고 있는 중입니다."
루비니 교수가 한국을 찾았습니다.
현재의 유럽발 경제위기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루비니(미국 뉴욕대 교수) : "미국과 유럽발 경기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더블딥(경기재침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습니다."
루비니 교수가 제시하는 위기해법의 핵심은 글로벌 리더십.
2008년 리먼 사태 때는 한국이 주도한 G20 공조가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리먼 사태 이후 금융위기 때는 재정확대와 금융개혁 측면에서 한국의 주도로 진전이 이뤄졌습니다."
반면 지금 유럽은 말만 앞세우고 결단을 피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터뷰> 루비니(교수) : "지금은 G20가 아니라 G0가 된 것 같습니다. 리더십이 없기 때문입니다"
루비니 교수는 2조 유로를 조성해 그리스 등을 지원해야 문제가 풀릴수 있다며 유로존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
김준호 기자 jhk88@kbs.co.kr
김준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