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방어논란, 강경파 득세할 듯

입력 2001.09.1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또 이번 테러사건은 그 동안 부시행정부가 추진해 온 미사일 방어체제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뉴욕과 워싱턴의 동시 테러는 부시 행정부가 추진 중인 미사일 방어체제에 치명타를 입혔습니다.
8년 전 이후 미국의 최대 위협이 되고 있는 테러행위에 대해 요격미사일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는 주장이 현실로 나타난 것입니다.
그 동안 미사일 방어체제는 소위 불량국가들로부터의 장거리 미사일 공격은 막을 수 있겠지만 국제적인 테러행위에 대해서는 힘을 쓸 수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번 테러는 미 연방수사국 FBI나 CIA 등 정보 당국이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런 주장이 더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사일 방어체제보다는 테러를 저지른 단체나 국가가 철저한 보복을 당한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더 강력한 억제책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부시행정부 내 강경파들은 이 같은 지지를 등에 업고 초강경책을 쓸 가능성도 있습니다.
⊙애쉬 크로포트(미 법무장관): 미국의 안보와 자유가 공격을 당했습니다.
우리는 이런 행동에 대해 용서하지 않을 겁니다.
⊙기자: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테러 척결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힘입어 부시행정부가 배후세력을 끝까지 찾아 보복할 가능성이 높고 미 본토에 대한 방어를 위해 강경파들이 더욱 목소리를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KBS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사일 방어논란, 강경파 득세할 듯
    • 입력 2001-09-1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또 이번 테러사건은 그 동안 부시행정부가 추진해 온 미사일 방어체제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뉴욕과 워싱턴의 동시 테러는 부시 행정부가 추진 중인 미사일 방어체제에 치명타를 입혔습니다. 8년 전 이후 미국의 최대 위협이 되고 있는 테러행위에 대해 요격미사일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는 주장이 현실로 나타난 것입니다. 그 동안 미사일 방어체제는 소위 불량국가들로부터의 장거리 미사일 공격은 막을 수 있겠지만 국제적인 테러행위에 대해서는 힘을 쓸 수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번 테러는 미 연방수사국 FBI나 CIA 등 정보 당국이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런 주장이 더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사일 방어체제보다는 테러를 저지른 단체나 국가가 철저한 보복을 당한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 더 강력한 억제책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부시행정부 내 강경파들은 이 같은 지지를 등에 업고 초강경책을 쓸 가능성도 있습니다. ⊙애쉬 크로포트(미 법무장관): 미국의 안보와 자유가 공격을 당했습니다. 우리는 이런 행동에 대해 용서하지 않을 겁니다. ⊙기자: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테러 척결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힘입어 부시행정부가 배후세력을 끝까지 찾아 보복할 가능성이 높고 미 본토에 대한 방어를 위해 강경파들이 더욱 목소리를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KBS뉴스 김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