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내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인 서천 금강하구와 서산 천수만을 찾는 철새들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천 마리 가창오리떼의 군무가 어스름한 저녁 하늘을 수놓습니다.
그러나 개체 수는 지난해보다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하늘을 새까맣게 뒤덮을 정도였던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올해 천수만과 금강하구 일원을 찾은 가창오리떼는 4-5만 마리로 지난해의 1/3도 되지 않습니다.
쇠기러기와 청둥오리 같은 다른 겨울철새들도 2009년 이후 개체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아(전북 전주시) : "철새 보러 자주 오는데, 예전만큼 많지 않으니까 좀 아쉽네요."
4대강 사업에 따른 서식지 변화, 지구온난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전문가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먹이 부족입니다.
농민들이 철새의 먹이가 되는 볏짚을 너도나도 소 사료용으로 내다 팔면서 먹이가 사라졌다는 겁니다.
<인터뷰> 전홍태(조류생태전시관 해설사) : "기계로 짚단을 말면서 그 안에 농경지에 떨어져 있던 낟곡들이 전부 이 안으로 들어가면서 이 농경지 안에는 낟곡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자치단체에서 먹이주기 사업 등을 펼치고 있지만 예산이 넉넉지 않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 등 서식지 파괴로 서해안의 명물 겨울철새가 자칫 사라질 우려마저 낳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국내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인 서천 금강하구와 서산 천수만을 찾는 철새들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천 마리 가창오리떼의 군무가 어스름한 저녁 하늘을 수놓습니다.
그러나 개체 수는 지난해보다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하늘을 새까맣게 뒤덮을 정도였던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올해 천수만과 금강하구 일원을 찾은 가창오리떼는 4-5만 마리로 지난해의 1/3도 되지 않습니다.
쇠기러기와 청둥오리 같은 다른 겨울철새들도 2009년 이후 개체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아(전북 전주시) : "철새 보러 자주 오는데, 예전만큼 많지 않으니까 좀 아쉽네요."
4대강 사업에 따른 서식지 변화, 지구온난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전문가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먹이 부족입니다.
농민들이 철새의 먹이가 되는 볏짚을 너도나도 소 사료용으로 내다 팔면서 먹이가 사라졌다는 겁니다.
<인터뷰> 전홍태(조류생태전시관 해설사) : "기계로 짚단을 말면서 그 안에 농경지에 떨어져 있던 낟곡들이 전부 이 안으로 들어가면서 이 농경지 안에는 낟곡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자치단체에서 먹이주기 사업 등을 펼치고 있지만 예산이 넉넉지 않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 등 서식지 파괴로 서해안의 명물 겨울철새가 자칫 사라질 우려마저 낳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새 개체 수 급감…“먹이 부족 탓”
-
- 입력 2011-12-19 08:01:58

<앵커 멘트>
국내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인 서천 금강하구와 서산 천수만을 찾는 철새들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천 마리 가창오리떼의 군무가 어스름한 저녁 하늘을 수놓습니다.
그러나 개체 수는 지난해보다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하늘을 새까맣게 뒤덮을 정도였던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올해 천수만과 금강하구 일원을 찾은 가창오리떼는 4-5만 마리로 지난해의 1/3도 되지 않습니다.
쇠기러기와 청둥오리 같은 다른 겨울철새들도 2009년 이후 개체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경아(전북 전주시) : "철새 보러 자주 오는데, 예전만큼 많지 않으니까 좀 아쉽네요."
4대강 사업에 따른 서식지 변화, 지구온난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전문가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먹이 부족입니다.
농민들이 철새의 먹이가 되는 볏짚을 너도나도 소 사료용으로 내다 팔면서 먹이가 사라졌다는 겁니다.
<인터뷰> 전홍태(조류생태전시관 해설사) : "기계로 짚단을 말면서 그 안에 농경지에 떨어져 있던 낟곡들이 전부 이 안으로 들어가면서 이 농경지 안에는 낟곡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자치단체에서 먹이주기 사업 등을 펼치고 있지만 예산이 넉넉지 않아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먹이 부족 등 서식지 파괴로 서해안의 명물 겨울철새가 자칫 사라질 우려마저 낳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