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자원부국”…해외서 자원 영토 넓힌다

입력 2012.01.01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해는 전세계적으로 자원확보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는 우리가 소비하는 석유와 가스의 14% 정도를 우리 힘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 수치가 20%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자원개발을 위해 해외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모습을 이재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밀림 한 가운데 자리잡은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의 노천 광산, 서울시 면적의 거대 광산에서 중장비 3천여 대가 발전용 유연탄을 24시간 캐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연간 생산되는 유연탄은 3천 백만 톤,우리나라가 연간 수입하는 양의 30%에 이릅니다. 한 지역 광산으로는 세계 5번째 규몹니다."

일부는 우리나라에 들여오지만 대부분은 16개 나라로 수출돼 연간 22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달수 (키데코 대표):"한국사람들이 들어와서 자원에 대한 열망,자원에 대한 한, 끝없는 개척.도전정신이 성공요인이 아니었나.."

베트남 남부 붕따우에서 헬기로 2시간.

바다 위에 우뚝 선 해상 가스광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지분 75%에 탐사부터 생산까지 우리 손으로 일궈낸 첫 해외 광구입니다.

<인터뷰>정창석(한국석유공사 베트남 사무소장):"11-2 광구개발을 통해서 대한민국 석유개발 역사가 시작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심 100미터 바다 속의 지층 2,3킬로미터를 파헤친 끝에 하루 3천9백 톤의 천연가스를 뽑아 베트남에 전량 수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자원 개발은 65개 국가에 500곳.

이 가운데 120곳은 이미 자원을 캐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신종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자원개발은 평상시를 대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위기시를 대비해서 하는 것입니다."

갈수록 격화되는 자원확보 전쟁, 국가 운명을 건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재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는 자원부국”…해외서 자원 영토 넓힌다
    • 입력 2012-01-01 22:05:21
    뉴스 9
<앵커 멘트> 올해는 전세계적으로 자원확보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는 우리가 소비하는 석유와 가스의 14% 정도를 우리 힘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올해는 이 수치가 20%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자원개발을 위해 해외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모습을 이재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밀림 한 가운데 자리잡은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의 노천 광산, 서울시 면적의 거대 광산에서 중장비 3천여 대가 발전용 유연탄을 24시간 캐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연간 생산되는 유연탄은 3천 백만 톤,우리나라가 연간 수입하는 양의 30%에 이릅니다. 한 지역 광산으로는 세계 5번째 규몹니다." 일부는 우리나라에 들여오지만 대부분은 16개 나라로 수출돼 연간 22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달수 (키데코 대표):"한국사람들이 들어와서 자원에 대한 열망,자원에 대한 한, 끝없는 개척.도전정신이 성공요인이 아니었나.." 베트남 남부 붕따우에서 헬기로 2시간. 바다 위에 우뚝 선 해상 가스광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지분 75%에 탐사부터 생산까지 우리 손으로 일궈낸 첫 해외 광구입니다. <인터뷰>정창석(한국석유공사 베트남 사무소장):"11-2 광구개발을 통해서 대한민국 석유개발 역사가 시작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심 100미터 바다 속의 지층 2,3킬로미터를 파헤친 끝에 하루 3천9백 톤의 천연가스를 뽑아 베트남에 전량 수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자원 개발은 65개 국가에 500곳. 이 가운데 120곳은 이미 자원을 캐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신종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자원개발은 평상시를 대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위기시를 대비해서 하는 것입니다." 갈수록 격화되는 자원확보 전쟁, 국가 운명을 건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재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