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무역적자 20억 달러…24개월 만에 적자
입력 2012.02.02 (07:05)
수정 2012.02.02 (15: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3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던 무역수지가 지난달 20억 달러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선박 수출이 크게 줄고 중동 불안정으로 유가가 상승하면서 새해 첫 달 무역이 불안한 출발을 보였습니다.
이재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전체 수출의 10%를 담당하며 무역 1조 달러를 이끈 선박.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 1월 보다 41%나 줄어들며 크게 추락했습니다.
<인터뷰>한장섭(한국조선협회 상근부회장) :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일어나면서 선박 가격이 곤두박질쳤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의도적으로 그때 수주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올해 반영돼 나와서..."
석유 제품과 기계, 자동차 외에 반도체, IT 제품 등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은 6.6% 준 반면 수입은 3.6% 늘어나면서 무역 수지는 20억 달러 가까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년 만에 적자 전환입니다.
특히, 원유 도입량이 줄었는데도 중동 긴장에 가격이 뛰면서 원자재 수입액은 증가했습니다.
<인터뷰>주원(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원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무역 적자가 1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올해 연중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또 유럽 수출이 45%나 줄어 들어, 유럽발 재정위기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의 무역수지도 낙관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인터뷰> 한진현(지식경제부 무역투자실장) : "(EU의) 재정위기로 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돼서 (수출액 감소가)나타나는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단가가 하락해서..."
정부는 내일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수출 증대를 위한 전략 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23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던 무역수지가 지난달 20억 달러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선박 수출이 크게 줄고 중동 불안정으로 유가가 상승하면서 새해 첫 달 무역이 불안한 출발을 보였습니다.
이재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전체 수출의 10%를 담당하며 무역 1조 달러를 이끈 선박.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 1월 보다 41%나 줄어들며 크게 추락했습니다.
<인터뷰>한장섭(한국조선협회 상근부회장) :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일어나면서 선박 가격이 곤두박질쳤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의도적으로 그때 수주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올해 반영돼 나와서..."
석유 제품과 기계, 자동차 외에 반도체, IT 제품 등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은 6.6% 준 반면 수입은 3.6% 늘어나면서 무역 수지는 20억 달러 가까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년 만에 적자 전환입니다.
특히, 원유 도입량이 줄었는데도 중동 긴장에 가격이 뛰면서 원자재 수입액은 증가했습니다.
<인터뷰>주원(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원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무역 적자가 1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올해 연중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또 유럽 수출이 45%나 줄어 들어, 유럽발 재정위기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의 무역수지도 낙관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인터뷰> 한진현(지식경제부 무역투자실장) : "(EU의) 재정위기로 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돼서 (수출액 감소가)나타나는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단가가 하락해서..."
정부는 내일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수출 증대를 위한 전략 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월 무역적자 20억 달러…24개월 만에 적자
-
- 입력 2012-02-02 07:05:29
- 수정2012-02-02 15:01:43

<앵커 멘트>
23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던 무역수지가 지난달 20억 달러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선박 수출이 크게 줄고 중동 불안정으로 유가가 상승하면서 새해 첫 달 무역이 불안한 출발을 보였습니다.
이재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전체 수출의 10%를 담당하며 무역 1조 달러를 이끈 선박.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 1월 보다 41%나 줄어들며 크게 추락했습니다.
<인터뷰>한장섭(한국조선협회 상근부회장) :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일어나면서 선박 가격이 곤두박질쳤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의도적으로 그때 수주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올해 반영돼 나와서..."
석유 제품과 기계, 자동차 외에 반도체, IT 제품 등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은 6.6% 준 반면 수입은 3.6% 늘어나면서 무역 수지는 20억 달러 가까이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2년 만에 적자 전환입니다.
특히, 원유 도입량이 줄었는데도 중동 긴장에 가격이 뛰면서 원자재 수입액은 증가했습니다.
<인터뷰>주원(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원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무역 적자가 1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올해 연중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또 유럽 수출이 45%나 줄어 들어, 유럽발 재정위기가 진정되지 않을 경우 앞으로의 무역수지도 낙관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인터뷰> 한진현(지식경제부 무역투자실장) : "(EU의) 재정위기로 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돼서 (수출액 감소가)나타나는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단가가 하락해서..."
정부는 내일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수출 증대를 위한 전략 마련에 들어갑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
이재환 기자 happyjhl@kbs.co.kr
이재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