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타기, 성인병·비만에 특효
입력 2012.02.29 (07:56)
수정 2012.02.29 (08: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날씨가 풀리면서 겨우내 먼지가 쌓였던 자전거 다시 꺼내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8백만 명이나 될 정도로 자전거 인구가 늘고 있는데요, 오늘은 자전거 타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 타기가 운동효과가 좋다면서요?
<답변>
자전거 타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신체적 부담과 부상 위험이 적고 운동 효과는 큰 이상적인 운동입니다.
지구력 강화와 지방을 태워 살을 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요,
WHO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자전거를 1년 이상 꾸준히 타면 심장병, 당뇨병, 비만 발병 위험이 50% 감소하고, 고혈압 발생위험도 30% 감소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쉬우면서도 재미가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데요,
경치와 속도를 즐길 수 있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운동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은 권할 만한 운동입니다.
<질문>
칼로리 소모도 의외로 많다면서요?
<답변>
자전거는 속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모량이 달리기나 수영보다 더 많습니다.
체중 70㎏인 성인을 기준으로 한 시간 동안 운동을 했을 때 자전거는 780㎉, 달리기는 700㎉, 수영은 500㎉가 소모됩니다.
빨리 걷기는 400㎉ 정도가 소모됩니다.
물론 시속 25킬로미터를 기준으로 한 건데요, 상당히 빨리 달릴 때의 속도죠.
물론 이보다 낮은 속도에서는 칼로리 소모가 떨어지지만, 자전거는 자신의 페이스에 맞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는 관절에 큰 부담을 주지도 않죠?
<답변>
자전거는 관절염 환자도 탈 수 있을 정도로 관절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달리기는 하체에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발목이나 무릎 등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지만, 자전거는 하체 회전운동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고정식 실내 자전거도 권장할 만합니다.
<질문>
최근 자전거 사고가 늘고 있는데요, 부상은 조심해야죠?
<답변>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자전거를 타거나, 페달에 놓인 발의 위치가 나쁠 경우 무릎이나 발목에 통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부상인데요, 골절이 생길 수도 있죠. 가장 큰 문제는 머리 부상입니다.
미국에선 자전거 사고의 75%가 머리부상인데요,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도 중요한데, 10분 정도 상반신보다 하반신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벅지 뒤쪽의 ’가자미근’을 다치기 쉬우므로 이 부분을 꼼꼼히 스트레칭 해줘야 합니다.
<질문>
속도는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답변>
나이에 따라 속도 조절도 중요하다. 40대 이상에선 편하고 안전하게 타는 것이 좋은데요, 시속 15㎞ 정도의 속도면 힘들지 않게 탈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속도로는 1~2시간 타도 관절에 큰 부담이 없습니다.
실내에서 타는 고정식 자전거는 20㎞ 이상의 속도로 30분 이상 타야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있습니다.
관절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시속 25㎞ 이상의 속도도 괜찮은데요, 운동량은 2개월 정도의 시간을 두고 매주 2~3㎞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남성들 같은 경우 자전거를 많이 타면 전립선에 안 좋다는 얘기도 있는데, 맞습니까?
<답변>
자전거를 오래 탈 경우 회음부가 계속 눌리기 때문에 전립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좀 조심하는 게 좋겠죠.
요즘은 회음부에 부담이 덜한 안장이 나와 있으므로 도움이 됩니다.
전립선에 미치는 나쁜 영향보다는 건강에 미치는 좋은 게 더 많으므로 전립선 질환이 없는 사람은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겨우내 먼지가 쌓였던 자전거 다시 꺼내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8백만 명이나 될 정도로 자전거 인구가 늘고 있는데요, 오늘은 자전거 타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 타기가 운동효과가 좋다면서요?
<답변>
자전거 타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신체적 부담과 부상 위험이 적고 운동 효과는 큰 이상적인 운동입니다.
지구력 강화와 지방을 태워 살을 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요,
WHO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자전거를 1년 이상 꾸준히 타면 심장병, 당뇨병, 비만 발병 위험이 50% 감소하고, 고혈압 발생위험도 30% 감소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쉬우면서도 재미가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데요,
경치와 속도를 즐길 수 있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운동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은 권할 만한 운동입니다.
<질문>
칼로리 소모도 의외로 많다면서요?
<답변>
자전거는 속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모량이 달리기나 수영보다 더 많습니다.
체중 70㎏인 성인을 기준으로 한 시간 동안 운동을 했을 때 자전거는 780㎉, 달리기는 700㎉, 수영은 500㎉가 소모됩니다.
빨리 걷기는 400㎉ 정도가 소모됩니다.
물론 시속 25킬로미터를 기준으로 한 건데요, 상당히 빨리 달릴 때의 속도죠.
물론 이보다 낮은 속도에서는 칼로리 소모가 떨어지지만, 자전거는 자신의 페이스에 맞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는 관절에 큰 부담을 주지도 않죠?
<답변>
자전거는 관절염 환자도 탈 수 있을 정도로 관절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달리기는 하체에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발목이나 무릎 등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지만, 자전거는 하체 회전운동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고정식 실내 자전거도 권장할 만합니다.
<질문>
최근 자전거 사고가 늘고 있는데요, 부상은 조심해야죠?
<답변>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자전거를 타거나, 페달에 놓인 발의 위치가 나쁠 경우 무릎이나 발목에 통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부상인데요, 골절이 생길 수도 있죠. 가장 큰 문제는 머리 부상입니다.
미국에선 자전거 사고의 75%가 머리부상인데요,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도 중요한데, 10분 정도 상반신보다 하반신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벅지 뒤쪽의 ’가자미근’을 다치기 쉬우므로 이 부분을 꼼꼼히 스트레칭 해줘야 합니다.
<질문>
속도는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답변>
나이에 따라 속도 조절도 중요하다. 40대 이상에선 편하고 안전하게 타는 것이 좋은데요, 시속 15㎞ 정도의 속도면 힘들지 않게 탈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속도로는 1~2시간 타도 관절에 큰 부담이 없습니다.
실내에서 타는 고정식 자전거는 20㎞ 이상의 속도로 30분 이상 타야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있습니다.
관절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시속 25㎞ 이상의 속도도 괜찮은데요, 운동량은 2개월 정도의 시간을 두고 매주 2~3㎞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남성들 같은 경우 자전거를 많이 타면 전립선에 안 좋다는 얘기도 있는데, 맞습니까?
<답변>
자전거를 오래 탈 경우 회음부가 계속 눌리기 때문에 전립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좀 조심하는 게 좋겠죠.
요즘은 회음부에 부담이 덜한 안장이 나와 있으므로 도움이 됩니다.
전립선에 미치는 나쁜 영향보다는 건강에 미치는 좋은 게 더 많으므로 전립선 질환이 없는 사람은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전거 타기, 성인병·비만에 특효
-
- 입력 2012-02-29 07:56:20
- 수정2012-02-29 08:46:44

<앵커 멘트>
날씨가 풀리면서 겨우내 먼지가 쌓였던 자전거 다시 꺼내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8백만 명이나 될 정도로 자전거 인구가 늘고 있는데요, 오늘은 자전거 타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 타기가 운동효과가 좋다면서요?
<답변>
자전거 타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신체적 부담과 부상 위험이 적고 운동 효과는 큰 이상적인 운동입니다.
지구력 강화와 지방을 태워 살을 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요,
WHO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자전거를 1년 이상 꾸준히 타면 심장병, 당뇨병, 비만 발병 위험이 50% 감소하고, 고혈압 발생위험도 30% 감소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쉬우면서도 재미가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데요,
경치와 속도를 즐길 수 있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운동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은 권할 만한 운동입니다.
<질문>
칼로리 소모도 의외로 많다면서요?
<답변>
자전거는 속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모량이 달리기나 수영보다 더 많습니다.
체중 70㎏인 성인을 기준으로 한 시간 동안 운동을 했을 때 자전거는 780㎉, 달리기는 700㎉, 수영은 500㎉가 소모됩니다.
빨리 걷기는 400㎉ 정도가 소모됩니다.
물론 시속 25킬로미터를 기준으로 한 건데요, 상당히 빨리 달릴 때의 속도죠.
물론 이보다 낮은 속도에서는 칼로리 소모가 떨어지지만, 자전거는 자신의 페이스에 맞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는 관절에 큰 부담을 주지도 않죠?
<답변>
자전거는 관절염 환자도 탈 수 있을 정도로 관절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달리기는 하체에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발목이나 무릎 등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지만, 자전거는 하체 회전운동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고정식 실내 자전거도 권장할 만합니다.
<질문>
최근 자전거 사고가 늘고 있는데요, 부상은 조심해야죠?
<답변>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자전거를 타거나, 페달에 놓인 발의 위치가 나쁠 경우 무릎이나 발목에 통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부상인데요, 골절이 생길 수도 있죠. 가장 큰 문제는 머리 부상입니다.
미국에선 자전거 사고의 75%가 머리부상인데요,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도 중요한데, 10분 정도 상반신보다 하반신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벅지 뒤쪽의 ’가자미근’을 다치기 쉬우므로 이 부분을 꼼꼼히 스트레칭 해줘야 합니다.
<질문>
속도는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답변>
나이에 따라 속도 조절도 중요하다. 40대 이상에선 편하고 안전하게 타는 것이 좋은데요, 시속 15㎞ 정도의 속도면 힘들지 않게 탈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속도로는 1~2시간 타도 관절에 큰 부담이 없습니다.
실내에서 타는 고정식 자전거는 20㎞ 이상의 속도로 30분 이상 타야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있습니다.
관절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시속 25㎞ 이상의 속도도 괜찮은데요, 운동량은 2개월 정도의 시간을 두고 매주 2~3㎞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남성들 같은 경우 자전거를 많이 타면 전립선에 안 좋다는 얘기도 있는데, 맞습니까?
<답변>
자전거를 오래 탈 경우 회음부가 계속 눌리기 때문에 전립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좀 조심하는 게 좋겠죠.
요즘은 회음부에 부담이 덜한 안장이 나와 있으므로 도움이 됩니다.
전립선에 미치는 나쁜 영향보다는 건강에 미치는 좋은 게 더 많으므로 전립선 질환이 없는 사람은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풀리면서 겨우내 먼지가 쌓였던 자전거 다시 꺼내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8백만 명이나 될 정도로 자전거 인구가 늘고 있는데요, 오늘은 자전거 타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 타기가 운동효과가 좋다면서요?
<답변>
자전거 타기는 다른 운동에 비해 신체적 부담과 부상 위험이 적고 운동 효과는 큰 이상적인 운동입니다.
지구력 강화와 지방을 태워 살을 빼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데요,
WHO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자전거를 1년 이상 꾸준히 타면 심장병, 당뇨병, 비만 발병 위험이 50% 감소하고, 고혈압 발생위험도 30% 감소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쉬우면서도 재미가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데요,
경치와 속도를 즐길 수 있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운동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은 권할 만한 운동입니다.
<질문>
칼로리 소모도 의외로 많다면서요?
<답변>
자전거는 속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모량이 달리기나 수영보다 더 많습니다.
체중 70㎏인 성인을 기준으로 한 시간 동안 운동을 했을 때 자전거는 780㎉, 달리기는 700㎉, 수영은 500㎉가 소모됩니다.
빨리 걷기는 400㎉ 정도가 소모됩니다.
물론 시속 25킬로미터를 기준으로 한 건데요, 상당히 빨리 달릴 때의 속도죠.
물론 이보다 낮은 속도에서는 칼로리 소모가 떨어지지만, 자전거는 자신의 페이스에 맞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질문>
자전거는 관절에 큰 부담을 주지도 않죠?
<답변>
자전거는 관절염 환자도 탈 수 있을 정도로 관절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달리기는 하체에 가해지는 충격 때문에 발목이나 무릎 등에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지만, 자전거는 하체 회전운동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고정식 실내 자전거도 권장할 만합니다.
<질문>
최근 자전거 사고가 늘고 있는데요, 부상은 조심해야죠?
<답변>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자전거를 타거나, 페달에 놓인 발의 위치가 나쁠 경우 무릎이나 발목에 통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부상인데요, 골절이 생길 수도 있죠. 가장 큰 문제는 머리 부상입니다.
미국에선 자전거 사고의 75%가 머리부상인데요, 대부분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전거를 타기 전 스트레칭도 중요한데, 10분 정도 상반신보다 하반신을 스트레칭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벅지 뒤쪽의 ’가자미근’을 다치기 쉬우므로 이 부분을 꼼꼼히 스트레칭 해줘야 합니다.
<질문>
속도는 어느 정도가 좋습니까?
<답변>
나이에 따라 속도 조절도 중요하다. 40대 이상에선 편하고 안전하게 타는 것이 좋은데요, 시속 15㎞ 정도의 속도면 힘들지 않게 탈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속도로는 1~2시간 타도 관절에 큰 부담이 없습니다.
실내에서 타는 고정식 자전거는 20㎞ 이상의 속도로 30분 이상 타야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있습니다.
관절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시속 25㎞ 이상의 속도도 괜찮은데요, 운동량은 2개월 정도의 시간을 두고 매주 2~3㎞씩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남성들 같은 경우 자전거를 많이 타면 전립선에 안 좋다는 얘기도 있는데, 맞습니까?
<답변>
자전거를 오래 탈 경우 회음부가 계속 눌리기 때문에 전립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사람은 좀 조심하는 게 좋겠죠.
요즘은 회음부에 부담이 덜한 안장이 나와 있으므로 도움이 됩니다.
전립선에 미치는 나쁜 영향보다는 건강에 미치는 좋은 게 더 많으므로 전립선 질환이 없는 사람은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