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유럽연합 정상들이 앞으로 방만하게 재정을 운영하는 나라들을 제재하기로 하는 새로운 재정 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위기에 시달리는 유럽이 스스로 공동 감시 체제에 들어간 겁니다.
파리에서 이충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럽연합이 각국의 재정 운영을 공동으로 감시하는 이른바 '신 재정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적자를 GDP의 3%로 제한했던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어기면 제재를 가한다는게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개별 국가의 재정 운영 전반에 개입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유럽 연합 집행위에 준 겁니다.
또 유로존 재정 위기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족쇄를 채운 셈입니다.
<인터뷰> 반롬푀이(EU 상임의장) : "이 협정은 유럽안정기구처럼 보다 책임있는 방향으로 나가는 중요한 단계이며,보다 강력한 연대의 단계이기도 합니다."
전체 EU 회원국 가운데 영국과 체코를 제외한 25개 나라가 참여했습니다.
이로써 EU는 통화 통맹 뿐 아니라, 재정 동맹으로도 나아가는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협약을 주도한 메르켈 독일 총리는 유럽 통합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각국 의회에서 비준을 받아야 하는 과제가 남았습니다.
또 회원국들이 재정 주권의 상당 부분을 EU라는 공동체에 넘기게 돼 제재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충형입니다.
유럽연합 정상들이 앞으로 방만하게 재정을 운영하는 나라들을 제재하기로 하는 새로운 재정 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위기에 시달리는 유럽이 스스로 공동 감시 체제에 들어간 겁니다.
파리에서 이충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럽연합이 각국의 재정 운영을 공동으로 감시하는 이른바 '신 재정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적자를 GDP의 3%로 제한했던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어기면 제재를 가한다는게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개별 국가의 재정 운영 전반에 개입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유럽 연합 집행위에 준 겁니다.
또 유로존 재정 위기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족쇄를 채운 셈입니다.
<인터뷰> 반롬푀이(EU 상임의장) : "이 협정은 유럽안정기구처럼 보다 책임있는 방향으로 나가는 중요한 단계이며,보다 강력한 연대의 단계이기도 합니다."
전체 EU 회원국 가운데 영국과 체코를 제외한 25개 나라가 참여했습니다.
이로써 EU는 통화 통맹 뿐 아니라, 재정 동맹으로도 나아가는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협약을 주도한 메르켈 독일 총리는 유럽 통합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각국 의회에서 비준을 받아야 하는 과제가 남았습니다.
또 회원국들이 재정 주권의 상당 부분을 EU라는 공동체에 넘기게 돼 제재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충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U 25개국 정상, ‘新 재정협약’ 서명
-
- 입력 2012-03-03 07:56:27

<앵커 멘트>
유럽연합 정상들이 앞으로 방만하게 재정을 운영하는 나라들을 제재하기로 하는 새로운 재정 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위기에 시달리는 유럽이 스스로 공동 감시 체제에 들어간 겁니다.
파리에서 이충형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럽연합이 각국의 재정 운영을 공동으로 감시하는 이른바 '신 재정협약'에 서명했습니다.
재정 적자를 GDP의 3%로 제한했던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어기면 제재를 가한다는게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개별 국가의 재정 운영 전반에 개입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유럽 연합 집행위에 준 겁니다.
또 유로존 재정 위기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 족쇄를 채운 셈입니다.
<인터뷰> 반롬푀이(EU 상임의장) : "이 협정은 유럽안정기구처럼 보다 책임있는 방향으로 나가는 중요한 단계이며,보다 강력한 연대의 단계이기도 합니다."
전체 EU 회원국 가운데 영국과 체코를 제외한 25개 나라가 참여했습니다.
이로써 EU는 통화 통맹 뿐 아니라, 재정 동맹으로도 나아가는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협약을 주도한 메르켈 독일 총리는 유럽 통합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각국 의회에서 비준을 받아야 하는 과제가 남았습니다.
또 회원국들이 재정 주권의 상당 부분을 EU라는 공동체에 넘기게 돼 제재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충형입니다.
-
-
이충형 기자 logos@kbs.co.kr
이충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