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 번 가본 길은 잊어버리지 않고 척척 찾아가는 원리를 아십니까?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에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신경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그 작동 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늘 다니던 거리가 갑자기 낯설게만 느껴지고.
매일 가던 집조차 찾지 못하고 헤맵니다.
<녹취> "서울시 강서구..."
결국 집 주소를 적은 목걸이를 걸고 다니게 됩니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뇌의 기억 중추로 불리는 해마가 손상됐기 때문입니다.
해마에는 장소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고 되살려주는 특수한 신경세포가 존재하는데, 그 작동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인터뷰> 김진현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길을 찾는 장소마다 특별히 활성화되는 세포들이 있어서 그것을 기억하고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거죠."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러닝머신처럼 만들어진 벨트 위를 반복해서 달리게 했습니다.
달리는 동안 뽀족한 가시나 울퉁불퉁한 턱 같은 자극을 경험하자 해마의 장소 세포들이 활성화되며 공간에 대한 기억을 각각 저장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억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공간 정보를 변환해 저장하는 특정 신경세포들이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세바스찬 로이어(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해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기억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와 진단에 도움이 될 겁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해마의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나 간질 등의 뇌질환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한 번 가본 길은 잊어버리지 않고 척척 찾아가는 원리를 아십니까?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에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신경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그 작동 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늘 다니던 거리가 갑자기 낯설게만 느껴지고.
매일 가던 집조차 찾지 못하고 헤맵니다.
<녹취> "서울시 강서구..."
결국 집 주소를 적은 목걸이를 걸고 다니게 됩니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뇌의 기억 중추로 불리는 해마가 손상됐기 때문입니다.
해마에는 장소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고 되살려주는 특수한 신경세포가 존재하는데, 그 작동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인터뷰> 김진현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길을 찾는 장소마다 특별히 활성화되는 세포들이 있어서 그것을 기억하고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거죠."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러닝머신처럼 만들어진 벨트 위를 반복해서 달리게 했습니다.
달리는 동안 뽀족한 가시나 울퉁불퉁한 턱 같은 자극을 경험하자 해마의 장소 세포들이 활성화되며 공간에 대한 기억을 각각 저장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억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공간 정보를 변환해 저장하는 특정 신경세포들이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세바스찬 로이어(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해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기억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와 진단에 도움이 될 겁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해마의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나 간질 등의 뇌질환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길 찾는 뇌의 ‘장소 세포’ 작용 첫 규명
-
- 입력 2012-04-02 21:59:55
<앵커 멘트>
한 번 가본 길은 잊어버리지 않고 척척 찾아가는 원리를 아십니까?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에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신경세포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그 작동 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늘 다니던 거리가 갑자기 낯설게만 느껴지고.
매일 가던 집조차 찾지 못하고 헤맵니다.
<녹취> "서울시 강서구..."
결국 집 주소를 적은 목걸이를 걸고 다니게 됩니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뇌의 기억 중추로 불리는 해마가 손상됐기 때문입니다.
해마에는 장소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고 되살려주는 특수한 신경세포가 존재하는데, 그 작동원리가 밝혀졌습니다.
<인터뷰> 김진현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길을 찾는 장소마다 특별히 활성화되는 세포들이 있어서 그것을 기억하고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거죠."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러닝머신처럼 만들어진 벨트 위를 반복해서 달리게 했습니다.
달리는 동안 뽀족한 가시나 울퉁불퉁한 턱 같은 자극을 경험하자 해마의 장소 세포들이 활성화되며 공간에 대한 기억을 각각 저장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억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공간 정보를 변환해 저장하는 특정 신경세포들이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세바스찬 로이어(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해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기억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와 진단에 도움이 될 겁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해마의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나 간질 등의 뇌질환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