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이른 더위, 쪽방촌 주민·노숙인 더 위험

입력 2012.05.23 (22:00) 수정 2012.05.24 (1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기온이 30도에 육박하지만 ’덥다’고 말하기도 죄송스런 분들이 있습니다.



쪽방촌 주민들, 또 노숙인들에겐 다가오는 여름은 잔인한 계절입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때 이른 더위는 쪽방 촌에 먼저 찾아옵니다.



열심히 부채질을 하고, 선풍기도 켜 보지만, 창문 하나 없는 좁은 방에는 금세 열기가 들어찹니다.



<인터뷰> 최온례(80세) : "여기는 씻을 데도 만만치 않네. 큰일 났네, 여름.. 그치? (씻을 데가 마땅치 않아요?) 응, 그렇다고 목욕 갈 수도 없고..."



여름철 쪽방의 평균 온도는 바깥 대기온도보다 4도가량 높습니다.



단열과 통풍이 잘 안 돼 평균 습도도 75%에 달합니다.



쪽방 촌에 사는 노인 대부분이 만성 질환자인 탓에, 더위에 쉽게 지치고 일사병 위험도 큽니다.



<인터뷰> 박일덕(85세) : "더워가지고 지내려면 힘들겠다고. 방에만 있어서 한발짝도 목발 짚고 다니지도 못하고..."



노숙인들에게도 더위는 심각한 위험입니다.



자동차 배기가스와 자외선이 반응해 오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오존은 천식이나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 발병률을 높입니다.



물을 자주 마셔야 하는데, 목이 마르다고 느낀다면 이미 탈수가 진행됐다는 얘기입니다.



<인터뷰> 노용균(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갈증이 생기지 않더라도 노인분들은 하루에 7~8잔 이상의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여름에 기온이 1도 올라가면 사망률은 16%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정부는 내일부터 전국 450여 개 의료기관을 통해 폭염 감시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때이른 더위, 쪽방촌 주민·노숙인 더 위험
    • 입력 2012-05-23 22:00:21
    • 수정2012-05-24 16:51:08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 기온이 30도에 육박하지만 ’덥다’고 말하기도 죄송스런 분들이 있습니다.

쪽방촌 주민들, 또 노숙인들에겐 다가오는 여름은 잔인한 계절입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때 이른 더위는 쪽방 촌에 먼저 찾아옵니다.

열심히 부채질을 하고, 선풍기도 켜 보지만, 창문 하나 없는 좁은 방에는 금세 열기가 들어찹니다.

<인터뷰> 최온례(80세) : "여기는 씻을 데도 만만치 않네. 큰일 났네, 여름.. 그치? (씻을 데가 마땅치 않아요?) 응, 그렇다고 목욕 갈 수도 없고..."

여름철 쪽방의 평균 온도는 바깥 대기온도보다 4도가량 높습니다.

단열과 통풍이 잘 안 돼 평균 습도도 75%에 달합니다.

쪽방 촌에 사는 노인 대부분이 만성 질환자인 탓에, 더위에 쉽게 지치고 일사병 위험도 큽니다.

<인터뷰> 박일덕(85세) : "더워가지고 지내려면 힘들겠다고. 방에만 있어서 한발짝도 목발 짚고 다니지도 못하고..."

노숙인들에게도 더위는 심각한 위험입니다.

자동차 배기가스와 자외선이 반응해 오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오존은 천식이나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 발병률을 높입니다.

물을 자주 마셔야 하는데, 목이 마르다고 느낀다면 이미 탈수가 진행됐다는 얘기입니다.

<인터뷰> 노용균(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갈증이 생기지 않더라도 노인분들은 하루에 7~8잔 이상의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여름에 기온이 1도 올라가면 사망률은 16%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정부는 내일부터 전국 450여 개 의료기관을 통해 폭염 감시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