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가 최대 백억 원의 인센티브까지 제시하면서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학부모와 교원단체는 달갑지 않은 반응입니다.
대전 연결합니다. 양민오 기자,
<질문> 학교 통폐합에 대해 반발 여론이 거세다고요?
<질문> 농촌 살리기 차원에서 귀농이 적극 권장되고 있는데, 학교 통폐합이 귀농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면서요?
<답변>
전교생이 47명인 한 농촌지역의 초등학교를 찾았는데요,
마침 음악 시간이었고, 기타를 멘 선생님이 학생 한 명 한 명을 개인교습하듯 가르쳐 주고 있었습니다.
학생 수가 적어 가능한 일입니다.
<인터뷰> 박현수(청송 초등학교 교사): "큰 학교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활동들, 그리고 체험활동도 인원수가 적다 보니까 이동이 쉽잖아요."
하지만, 이 학교처럼 전교생이 60명이 되지 않는 전국의 농촌학교는 언제 문을 닫을지 모를 처지입니다.
이미 지난 1982년 이후 지금까지 5,500곳이 넘는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여파로 앞으로 10년 동안 학생 25%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규모 학교 정리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학부모들은, 학교가 멀어져 학습권이 침해당한다며 반대 의견이 더 많습니다.
<인터뷰> 박희영(통폐합 대상 학교 학부모): "학교가 통합이 되면 아이들의 통학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부모들은 또 안전에 대해서 걱정하게 될 겁니다."
교원단체도 학급당 학생 수는 줄이면서 교육의 질은 높이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효율성과, 학습권 침해 주장 속에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이 찬. 반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답변>
마냥 줄던 학생 수가 최근 증가세로 돌아선 학교를 찾았습니다.
농어촌 전원학교로 선정돼 지난 3년 동안 자연 속에 첨단 시설을 갖추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덕분입니다.
이 기간 학생은 33명이 늘었고, 이들과 함께 20여 가구가 귀농·귀촌을 선택했습니다.
반대로 난관에 마주친 귀농인도 많습니다.
겨우 농촌에 정착해 아이도 학교에 잘 다니고 있는데 소규모 학교라는 이유로 통폐합 대상에 포함된 것입니다.
<인터뷰> 최종미(귀농인): "만약에 (근처에 학교가) 없었으면 다시 다른 (귀농할) 곳을 알아봤을 것 같아요."
지난해 귀농·귀촌은 사상 최대인 만 5백여 가구.
하지만, 2천 곳에 가까운 학교가 통폐합 위기에 처하는 엇박자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녹취> 채상헌(천안 연암대 귀농 지원센터장): "(농촌)후계 인력의 재생산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젊은층의 유입은 지역농업 유지를 위한 결정적 요인입니다."
농촌사회 위축과, 학교 통폐합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금까지 대전이었습니다.
정부가 최대 백억 원의 인센티브까지 제시하면서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학부모와 교원단체는 달갑지 않은 반응입니다.
대전 연결합니다. 양민오 기자,
<질문> 학교 통폐합에 대해 반발 여론이 거세다고요?
<질문> 농촌 살리기 차원에서 귀농이 적극 권장되고 있는데, 학교 통폐합이 귀농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면서요?
<답변>
전교생이 47명인 한 농촌지역의 초등학교를 찾았는데요,
마침 음악 시간이었고, 기타를 멘 선생님이 학생 한 명 한 명을 개인교습하듯 가르쳐 주고 있었습니다.
학생 수가 적어 가능한 일입니다.
<인터뷰> 박현수(청송 초등학교 교사): "큰 학교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활동들, 그리고 체험활동도 인원수가 적다 보니까 이동이 쉽잖아요."
하지만, 이 학교처럼 전교생이 60명이 되지 않는 전국의 농촌학교는 언제 문을 닫을지 모를 처지입니다.
이미 지난 1982년 이후 지금까지 5,500곳이 넘는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여파로 앞으로 10년 동안 학생 25%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규모 학교 정리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학부모들은, 학교가 멀어져 학습권이 침해당한다며 반대 의견이 더 많습니다.
<인터뷰> 박희영(통폐합 대상 학교 학부모): "학교가 통합이 되면 아이들의 통학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부모들은 또 안전에 대해서 걱정하게 될 겁니다."
교원단체도 학급당 학생 수는 줄이면서 교육의 질은 높이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효율성과, 학습권 침해 주장 속에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이 찬. 반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답변>
마냥 줄던 학생 수가 최근 증가세로 돌아선 학교를 찾았습니다.
농어촌 전원학교로 선정돼 지난 3년 동안 자연 속에 첨단 시설을 갖추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덕분입니다.
이 기간 학생은 33명이 늘었고, 이들과 함께 20여 가구가 귀농·귀촌을 선택했습니다.
반대로 난관에 마주친 귀농인도 많습니다.
겨우 농촌에 정착해 아이도 학교에 잘 다니고 있는데 소규모 학교라는 이유로 통폐합 대상에 포함된 것입니다.
<인터뷰> 최종미(귀농인): "만약에 (근처에 학교가) 없었으면 다시 다른 (귀농할) 곳을 알아봤을 것 같아요."
지난해 귀농·귀촌은 사상 최대인 만 5백여 가구.
하지만, 2천 곳에 가까운 학교가 통폐합 위기에 처하는 엇박자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녹취> 채상헌(천안 연암대 귀농 지원센터장): "(농촌)후계 인력의 재생산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젊은층의 유입은 지역농업 유지를 위한 결정적 요인입니다."
농촌사회 위축과, 학교 통폐합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금까지 대전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농촌 학교 통폐합 논란
-
- 입력 2012-06-15 23:37:51
<앵커 멘트>
정부가 최대 백억 원의 인센티브까지 제시하면서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학부모와 교원단체는 달갑지 않은 반응입니다.
대전 연결합니다. 양민오 기자,
<질문> 학교 통폐합에 대해 반발 여론이 거세다고요?
<질문> 농촌 살리기 차원에서 귀농이 적극 권장되고 있는데, 학교 통폐합이 귀농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면서요?
<답변>
전교생이 47명인 한 농촌지역의 초등학교를 찾았는데요,
마침 음악 시간이었고, 기타를 멘 선생님이 학생 한 명 한 명을 개인교습하듯 가르쳐 주고 있었습니다.
학생 수가 적어 가능한 일입니다.
<인터뷰> 박현수(청송 초등학교 교사): "큰 학교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활동들, 그리고 체험활동도 인원수가 적다 보니까 이동이 쉽잖아요."
하지만, 이 학교처럼 전교생이 60명이 되지 않는 전국의 농촌학교는 언제 문을 닫을지 모를 처지입니다.
이미 지난 1982년 이후 지금까지 5,500곳이 넘는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정부는, 저출산 여파로 앞으로 10년 동안 학생 25%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규모 학교 정리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학부모들은, 학교가 멀어져 학습권이 침해당한다며 반대 의견이 더 많습니다.
<인터뷰> 박희영(통폐합 대상 학교 학부모): "학교가 통합이 되면 아이들의 통학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부모들은 또 안전에 대해서 걱정하게 될 겁니다."
교원단체도 학급당 학생 수는 줄이면서 교육의 질은 높이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효율성과, 학습권 침해 주장 속에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이 찬. 반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답변>
마냥 줄던 학생 수가 최근 증가세로 돌아선 학교를 찾았습니다.
농어촌 전원학교로 선정돼 지난 3년 동안 자연 속에 첨단 시설을 갖추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덕분입니다.
이 기간 학생은 33명이 늘었고, 이들과 함께 20여 가구가 귀농·귀촌을 선택했습니다.
반대로 난관에 마주친 귀농인도 많습니다.
겨우 농촌에 정착해 아이도 학교에 잘 다니고 있는데 소규모 학교라는 이유로 통폐합 대상에 포함된 것입니다.
<인터뷰> 최종미(귀농인): "만약에 (근처에 학교가) 없었으면 다시 다른 (귀농할) 곳을 알아봤을 것 같아요."
지난해 귀농·귀촌은 사상 최대인 만 5백여 가구.
하지만, 2천 곳에 가까운 학교가 통폐합 위기에 처하는 엇박자가 연출되고 있습니다.
<녹취> 채상헌(천안 연암대 귀농 지원센터장): "(농촌)후계 인력의 재생산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젊은층의 유입은 지역농업 유지를 위한 결정적 요인입니다."
농촌사회 위축과, 학교 통폐합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금까지 대전이었습니다.
-
-
양민오 기자 yangmino@kbs.co.kr
양민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