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국 전쟁 당시, 학업을 중단하고 전쟁터로 나가야 했던 10대의 학도병들을 기억하십니까,
이들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전쟁 60여 년 만에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한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총 한 번 잡아보지 않은 앳된 10대 소년 71명.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포항 여중 전투'에서, 밀려오는 북한군과 치열한 사투를 벌입니다.
올해 82살인 이천수 할아버지도 낙동강 전투에 참전했을 땐, 전쟁이 뭔지 몰랐던 고등학교 2학년이었습니다.
어느새 흘러버린 60여 년의 세월,
그러나 어린 친구들과 함께 생사를 넘나들었던 그 참혹한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기만 합니다.
<인터뷰>이천수(82살/ 6·25 참전): "그때는 아버지, 어머니가 가장 보고 싶고, 형제가 그립고,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니까, 그때는. 그저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힘들었죠.)"
이 노병과 함께 같은 학교를 다니다 참전한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10대의 꿈을 뒤로하고 앞날을 가늠할 길 없는 전쟁터로 나선 선배들,
그들의 호국 정신이 후배들의 마음속 깊이 새겨집니다.
<인터뷰> 송지은(전북 전주 신흥중학교 3학년): "제 나이 때 선배님들이 참전하셨다는 걸 듣고 정말 놀랐고, 후배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존경스러워요."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진과 그 유품도 전시돼 나라를 지키다 숨져간 이들의 뜻을 기렸습니다.
<인터뷰> 정한기(육군 35사단장): "유공자 분들에게는 자긍심을 드리고, 학생들은 애국심이라든가 호국정신을 다시 한번 일깨울 수 있는 그런 좋은 행사가 되고 있습니다.
전쟁의 참화 속에 나라를 위해 몸바친 학도병들의 애국정신이 명패 깊이 아로새겨져 있습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한국 전쟁 당시, 학업을 중단하고 전쟁터로 나가야 했던 10대의 학도병들을 기억하십니까,
이들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전쟁 60여 년 만에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한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총 한 번 잡아보지 않은 앳된 10대 소년 71명.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포항 여중 전투'에서, 밀려오는 북한군과 치열한 사투를 벌입니다.
올해 82살인 이천수 할아버지도 낙동강 전투에 참전했을 땐, 전쟁이 뭔지 몰랐던 고등학교 2학년이었습니다.
어느새 흘러버린 60여 년의 세월,
그러나 어린 친구들과 함께 생사를 넘나들었던 그 참혹한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기만 합니다.
<인터뷰>이천수(82살/ 6·25 참전): "그때는 아버지, 어머니가 가장 보고 싶고, 형제가 그립고,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니까, 그때는. 그저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힘들었죠.)"
이 노병과 함께 같은 학교를 다니다 참전한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10대의 꿈을 뒤로하고 앞날을 가늠할 길 없는 전쟁터로 나선 선배들,
그들의 호국 정신이 후배들의 마음속 깊이 새겨집니다.
<인터뷰> 송지은(전북 전주 신흥중학교 3학년): "제 나이 때 선배님들이 참전하셨다는 걸 듣고 정말 놀랐고, 후배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존경스러워요."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진과 그 유품도 전시돼 나라를 지키다 숨져간 이들의 뜻을 기렸습니다.
<인터뷰> 정한기(육군 35사단장): "유공자 분들에게는 자긍심을 드리고, 학생들은 애국심이라든가 호국정신을 다시 한번 일깨울 수 있는 그런 좋은 행사가 되고 있습니다.
전쟁의 참화 속에 나라를 위해 몸바친 학도병들의 애국정신이 명패 깊이 아로새겨져 있습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참전 학도병들 한자리에
-
- 입력 2012-06-20 07:04:34

<앵커 멘트>
한국 전쟁 당시, 학업을 중단하고 전쟁터로 나가야 했던 10대의 학도병들을 기억하십니까,
이들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전쟁 60여 년 만에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한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총 한 번 잡아보지 않은 앳된 10대 소년 71명.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포항 여중 전투'에서, 밀려오는 북한군과 치열한 사투를 벌입니다.
올해 82살인 이천수 할아버지도 낙동강 전투에 참전했을 땐, 전쟁이 뭔지 몰랐던 고등학교 2학년이었습니다.
어느새 흘러버린 60여 년의 세월,
그러나 어린 친구들과 함께 생사를 넘나들었던 그 참혹한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기만 합니다.
<인터뷰>이천수(82살/ 6·25 참전): "그때는 아버지, 어머니가 가장 보고 싶고, 형제가 그립고,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니까, 그때는. 그저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힘들었죠.)"
이 노병과 함께 같은 학교를 다니다 참전한 학도병, 71명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가 모교에 전달됐습니다.
10대의 꿈을 뒤로하고 앞날을 가늠할 길 없는 전쟁터로 나선 선배들,
그들의 호국 정신이 후배들의 마음속 깊이 새겨집니다.
<인터뷰> 송지은(전북 전주 신흥중학교 3학년): "제 나이 때 선배님들이 참전하셨다는 걸 듣고 정말 놀랐고, 후배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존경스러워요."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진과 그 유품도 전시돼 나라를 지키다 숨져간 이들의 뜻을 기렸습니다.
<인터뷰> 정한기(육군 35사단장): "유공자 분들에게는 자긍심을 드리고, 학생들은 애국심이라든가 호국정신을 다시 한번 일깨울 수 있는 그런 좋은 행사가 되고 있습니다.
전쟁의 참화 속에 나라를 위해 몸바친 학도병들의 애국정신이 명패 깊이 아로새겨져 있습니다.
KBS 뉴스 한주연입니다.
-
-
한주연 기자 jyhan31@kbs.co.kr
한주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