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가 한일간 과거사 논쟁으로 뜨겁습니다.
우리 교민들의 동해표기 청원에 이어 최근에는 일본 교민들이 미 의회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 폐지청원운동에 나서면서 양측간 온라인 청원 전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워싱턴 최규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인터넷 청원 사이트, 위 더 피플입니다.
지난 21일부터 이곳에선 지난 2007년 미 하원이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을 폐지해 달라는 청원운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청원서에는 당시 결의안이 조작에 근거했고 한국이 2차 대전 당시 일본의 행동을 비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는 주장이 담겼습니다.
특히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폭로했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가 나중에 이를 지어낸 얘기라고 고백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백악관의 공식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30일 안에 2만 5천명 이상이 동의해야 하는데 현재 이 청원에는 2천 8백여명이 서명한 상태입니다.
백악관 청원사이트에는 이밖에도 한일 네티즌들이 올린 동해 표기와 위안부 기림비 철거 요구 등 5건의 청원이 올라있습니다.
이들 청원에는 그동안 모두 16만명에 달하는 양국 네티즌이 서명해 백악관 홈페이지가 한일간 온라인 청원 경쟁장이 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가 한일간 과거사 논쟁으로 뜨겁습니다.
우리 교민들의 동해표기 청원에 이어 최근에는 일본 교민들이 미 의회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 폐지청원운동에 나서면서 양측간 온라인 청원 전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워싱턴 최규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인터넷 청원 사이트, 위 더 피플입니다.
지난 21일부터 이곳에선 지난 2007년 미 하원이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을 폐지해 달라는 청원운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청원서에는 당시 결의안이 조작에 근거했고 한국이 2차 대전 당시 일본의 행동을 비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는 주장이 담겼습니다.
특히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폭로했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가 나중에 이를 지어낸 얘기라고 고백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백악관의 공식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30일 안에 2만 5천명 이상이 동의해야 하는데 현재 이 청원에는 2천 8백여명이 서명한 상태입니다.
백악관 청원사이트에는 이밖에도 한일 네티즌들이 올린 동해 표기와 위안부 기림비 철거 요구 등 5건의 청원이 올라있습니다.
이들 청원에는 그동안 모두 16만명에 달하는 양국 네티즌이 서명해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미 한일 교민, 백악관 ‘온라인 청원’ 전쟁
-
- 입력 2012-06-27 08:24:35

<앵커 멘트>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가 한일간 과거사 논쟁으로 뜨겁습니다.
우리 교민들의 동해표기 청원에 이어 최근에는 일본 교민들이 미 의회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 폐지청원운동에 나서면서 양측간 온라인 청원 전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워싱턴 최규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의 인터넷 청원 사이트, 위 더 피플입니다.
지난 21일부터 이곳에선 지난 2007년 미 하원이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을 폐지해 달라는 청원운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청원서에는 당시 결의안이 조작에 근거했고 한국이 2차 대전 당시 일본의 행동을 비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는 주장이 담겼습니다.
특히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폭로했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가 나중에 이를 지어낸 얘기라고 고백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백악관의 공식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30일 안에 2만 5천명 이상이 동의해야 하는데 현재 이 청원에는 2천 8백여명이 서명한 상태입니다.
백악관 청원사이트에는 이밖에도 한일 네티즌들이 올린 동해 표기와 위안부 기림비 철거 요구 등 5건의 청원이 올라있습니다.
이들 청원에는 그동안 모두 16만명에 달하는 양국 네티즌이 서명해 백악관 홈페이지가 한일간 온라인 청원 경쟁장이 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
-
최규식 기자 kyoosik@kbs.co.kr
최규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