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면 성적 ‘쑥쑥’…공간은 태부족?
입력 2012.06.28 (08:07)
수정 2012.06.28 (08: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운동을 하면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학생들, 운동하려 해도, 공간이 너무 부족합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전 8시. 수업시작 전인데도 학교 운동장이 벌써 시끌 벅적합니다.
매일 40분은 운동시간.
땀을 흘리고 나면 하루의 시작부터 다릅니다.
<인터뷰> 정원재(중학생) : "운동을 하는게 더 좋은것 같아요 (어떤 점이요?)1교시가 더 집중이 잘돼요."
실제로 미국의 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선, 수업 전 한시간동안 체육을 한 학생들의 성적 향상도가 체육을 하지 않은 학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이 뇌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존레이티(하바드대 임상정신과 교수) : "몸을 빨리 움직이면, 앉아있을때보다,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어서, 학생들이 더 잘배울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학교 운동공간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 학교는 세로가 30미터도 안되고 가로는 67미터로 백미터 달리기도 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민유정·김민재(신남중) : "체력 단력 시설이 부족해요. (체육관) 그런 거 좀 있으면 좋겠어요."
전국 초중고 만 천여 곳 가운데 전용 또는 강당 겸용 체육관이 없는 곳이 40%, 적정 규모의 인조잔디 운동장은 11% 의 학교만 갖췄습니다.
<인터뷰> 최의창(서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 : "생활체육 프로그램과 연계해 생활체육 관련 시설을 활용해야 합니다."
예전보다 청소년의 체격은 커졌지만 체력은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는 성적을 중시하는 제도의 문제도 있지만, 열악한 시설 탓도 큽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운동을 하면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학생들, 운동하려 해도, 공간이 너무 부족합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전 8시. 수업시작 전인데도 학교 운동장이 벌써 시끌 벅적합니다.
매일 40분은 운동시간.
땀을 흘리고 나면 하루의 시작부터 다릅니다.
<인터뷰> 정원재(중학생) : "운동을 하는게 더 좋은것 같아요 (어떤 점이요?)1교시가 더 집중이 잘돼요."
실제로 미국의 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선, 수업 전 한시간동안 체육을 한 학생들의 성적 향상도가 체육을 하지 않은 학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이 뇌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존레이티(하바드대 임상정신과 교수) : "몸을 빨리 움직이면, 앉아있을때보다,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어서, 학생들이 더 잘배울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학교 운동공간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 학교는 세로가 30미터도 안되고 가로는 67미터로 백미터 달리기도 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민유정·김민재(신남중) : "체력 단력 시설이 부족해요. (체육관) 그런 거 좀 있으면 좋겠어요."
전국 초중고 만 천여 곳 가운데 전용 또는 강당 겸용 체육관이 없는 곳이 40%, 적정 규모의 인조잔디 운동장은 11% 의 학교만 갖췄습니다.
<인터뷰> 최의창(서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 : "생활체육 프로그램과 연계해 생활체육 관련 시설을 활용해야 합니다."
예전보다 청소년의 체격은 커졌지만 체력은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는 성적을 중시하는 제도의 문제도 있지만, 열악한 시설 탓도 큽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운동하면 성적 ‘쑥쑥’…공간은 태부족?
-
- 입력 2012-06-28 08:07:36
- 수정2012-06-28 08:49:48

<앵커 멘트>
운동을 하면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학생들, 운동하려 해도, 공간이 너무 부족합니다.
구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전 8시. 수업시작 전인데도 학교 운동장이 벌써 시끌 벅적합니다.
매일 40분은 운동시간.
땀을 흘리고 나면 하루의 시작부터 다릅니다.
<인터뷰> 정원재(중학생) : "운동을 하는게 더 좋은것 같아요 (어떤 점이요?)1교시가 더 집중이 잘돼요."
실제로 미국의 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선, 수업 전 한시간동안 체육을 한 학생들의 성적 향상도가 체육을 하지 않은 학생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이 뇌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존레이티(하바드대 임상정신과 교수) : "몸을 빨리 움직이면, 앉아있을때보다,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어서, 학생들이 더 잘배울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학교 운동공간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 학교는 세로가 30미터도 안되고 가로는 67미터로 백미터 달리기도 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민유정·김민재(신남중) : "체력 단력 시설이 부족해요. (체육관) 그런 거 좀 있으면 좋겠어요."
전국 초중고 만 천여 곳 가운데 전용 또는 강당 겸용 체육관이 없는 곳이 40%, 적정 규모의 인조잔디 운동장은 11% 의 학교만 갖췄습니다.
<인터뷰> 최의창(서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 : "생활체육 프로그램과 연계해 생활체육 관련 시설을 활용해야 합니다."
예전보다 청소년의 체격은 커졌지만 체력은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는 성적을 중시하는 제도의 문제도 있지만, 열악한 시설 탓도 큽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
구영희 기자 younghee@kbs.co.kr
구영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