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직업교육 척척…장애인 학교기업 성과

입력 2012.06.28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실습을 하려면 산업현장으로 가야겠죠, 그런데 학교에 공장을 차리고 공부와 직업교육을 함께 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인천의 한 장애인학교 이야기인데요, 학생들은 공부와 직업교육을 함께 할수 있어 좋고, 기업도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장애인 학교. 교실 안에서 조립작업이 한창입니다.

숙련공들 사이에서 나이 어린 학생들이 열심히 일을 배웁니다.

<녹취> "수직으로 세워서...그렇지"

옆 교실에는 종이가방 공장이 들어 서 있습니다.

민간기업의 공장을 학교에 유치한 이른바 '학교 기업'입니다.

<인터뷰> 문민수(인천 미추홀학교 학생) : "처음엔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는데, 계속 하다보니까 적응이 됐어요"

숙련공에게 기술을 배우고 학교의 보살핌도 받을 수 있어 학생들에겐 최적의 실습장소입니다.

기업은 공장 임대료를 아끼고, 학생들의 꼼꼼한 덕택에 제품의 품질을 높였습니다.

<인터뷰> 김종훈(종이가방 제조회사 사장) : "외주를 주었을때는 스크래치 등 불량률이 높았는데 그런것들이 많이 줄어들었어요. 그래서 품질이 월등히 높아진 측면이 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의 작업능력과 가능성을 꼼꼼하게 확인해 진학지도에 활용합니다.

<인터뷰> 박인호(미추홀학교 교장) : "학생들이 업체에서 실습을 하고 후속조치로 그 업체에 취업까지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어서 좋습니다"

장애학생들은 학교기업에서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사회인으로서 당당한 첫 걸음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부·직업교육 척척…장애인 학교기업 성과
    • 입력 2012-06-28 21:50:25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실습을 하려면 산업현장으로 가야겠죠, 그런데 학교에 공장을 차리고 공부와 직업교육을 함께 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인천의 한 장애인학교 이야기인데요, 학생들은 공부와 직업교육을 함께 할수 있어 좋고, 기업도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송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장애인 학교. 교실 안에서 조립작업이 한창입니다. 숙련공들 사이에서 나이 어린 학생들이 열심히 일을 배웁니다. <녹취> "수직으로 세워서...그렇지" 옆 교실에는 종이가방 공장이 들어 서 있습니다. 민간기업의 공장을 학교에 유치한 이른바 '학교 기업'입니다. <인터뷰> 문민수(인천 미추홀학교 학생) : "처음엔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몰랐는데, 계속 하다보니까 적응이 됐어요" 숙련공에게 기술을 배우고 학교의 보살핌도 받을 수 있어 학생들에겐 최적의 실습장소입니다. 기업은 공장 임대료를 아끼고, 학생들의 꼼꼼한 덕택에 제품의 품질을 높였습니다. <인터뷰> 김종훈(종이가방 제조회사 사장) : "외주를 주었을때는 스크래치 등 불량률이 높았는데 그런것들이 많이 줄어들었어요. 그래서 품질이 월등히 높아진 측면이 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의 작업능력과 가능성을 꼼꼼하게 확인해 진학지도에 활용합니다. <인터뷰> 박인호(미추홀학교 교장) : "학생들이 업체에서 실습을 하고 후속조치로 그 업체에 취업까지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어서 좋습니다" 장애학생들은 학교기업에서 얻은 자신감을 토대로 사회인으로서 당당한 첫 걸음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