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4분의 1 단절 위기

입력 2012.08.07 (07: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한민국 최고의 광대로 불린 고 공옥진 선생의 1인 창무극은 전수자가 없어 명맥이 끊겼습니다.

많은 무형문화재들의 사정이 이와 비슷해,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놓인 경우가 4분의 1 가까이 되고 있습니다.

이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등산 자락의 허름한 건물, 조기종 소목장이 전통가구를 만드는 작업실입니다.

못 없이 짜맞춤만으로 한국의 미를 만들어냅니다.

아직은 작품을 만들고는 있지만, 앞으로가 문젭니다.

전수자가 나타나지 않아섭니다.

<인터뷰>조기종(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 "현장에 가서 일을 시켜보면 힘들거든요 너무. 힘들어서 버티지 못하고 가버릴 때 정말 아쉬움이 있고..."

중요무형문화재의 경우 기능 보유자가 없는 종목이 제주민요, 명주짜기, 소반장 등 6개고, 보유자는 있어도 전수조교가 없는 종목이 23가지로 전승이 위협받는 중요무형문화재가 전체의 23%에 달합니다.

이렇게 된데는 경제적인 요인이 큽니다.

주말이면 10만명이 찾는 인사동의 홍보관엔 인간문화재의 작품이 하나도 없고 전용 판매장을 찾기도 어렵습니다.

기능 보유자들이 자생력을 갖추고 활동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인터뷰> 정명채(서울시 무형문화재 나전장) : "장인선생님들 작품이 유통돼서 작품 활동이 활발하게 될 수 있는 정책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인터뷰> 임장혁(중앙대 민속학과 교수) : "많은 사람들이 무형문화재를 감상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보급 정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

전통예술의 혼이 전승되기 위해서는 무형문화유산을 생활 속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승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형문화재 4분의 1 단절 위기
    • 입력 2012-08-07 07:08:4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대한민국 최고의 광대로 불린 고 공옥진 선생의 1인 창무극은 전수자가 없어 명맥이 끊겼습니다. 많은 무형문화재들의 사정이 이와 비슷해, 전승이 단절될 위기에 놓인 경우가 4분의 1 가까이 되고 있습니다. 이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등산 자락의 허름한 건물, 조기종 소목장이 전통가구를 만드는 작업실입니다. 못 없이 짜맞춤만으로 한국의 미를 만들어냅니다. 아직은 작품을 만들고는 있지만, 앞으로가 문젭니다. 전수자가 나타나지 않아섭니다. <인터뷰>조기종(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 "현장에 가서 일을 시켜보면 힘들거든요 너무. 힘들어서 버티지 못하고 가버릴 때 정말 아쉬움이 있고..." 중요무형문화재의 경우 기능 보유자가 없는 종목이 제주민요, 명주짜기, 소반장 등 6개고, 보유자는 있어도 전수조교가 없는 종목이 23가지로 전승이 위협받는 중요무형문화재가 전체의 23%에 달합니다. 이렇게 된데는 경제적인 요인이 큽니다. 주말이면 10만명이 찾는 인사동의 홍보관엔 인간문화재의 작품이 하나도 없고 전용 판매장을 찾기도 어렵습니다. 기능 보유자들이 자생력을 갖추고 활동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인터뷰> 정명채(서울시 무형문화재 나전장) : "장인선생님들 작품이 유통돼서 작품 활동이 활발하게 될 수 있는 정책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인터뷰> 임장혁(중앙대 민속학과 교수) : "많은 사람들이 무형문화재를 감상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보급 정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 전통예술의 혼이 전승되기 위해서는 무형문화유산을 생활 속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승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