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충전] 불황은 없다! 알뜰 반짝 시장
입력 2012.08.07 (09:14)
수정 2012.08.07 (1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알뜰족들이 자주 찾는다는 반짝 시장을 아시나요?
아침에만, 혹은 일주일에 한번만 말그대로 반짝 열렸다 접는 시장인데요.
날이면 날마다 오는 시장이 아니니까 일부러 시간맞춰 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그 수고가 결코 아깝지 않다죠?
네, 신선하고 좋은 상품을 훨씬 저렴하게, 또 덤까지 얹어 가져갈수 있다는데요
정아연 기자, 어디서 열리는지 오늘 살짝 공개해주신다고요
<리포트>
반짝 시장들은요
사람들이 없는 시간에 주차장 공터나 공원 한쪽을 활용해 열리는 거라서 더 저렴할 수밖에 없다는데요,
여기에 믿고 살 수 있는 질 좋은 물건에 흥정하는 재미, 또 이색 볼거리까지 있어 더 인깁니다.
알뜰 주부들이 가볼만한 반짝시장들 소개합니다.
날도 밝지 않은 이른 새벽.
좌판이 하나 둘 펼쳐지는 이곳은 대구 달성공원인데요.
<녹취> “이른 시간에 공원에는 무슨 일이세요?”
<녹취> “장사하러 왔지요.”
<녹취> “너무 이른 시간 아닌가요?”
<녹취> “아니야, 늦게 오면 자리가 없지.”
2000년부터 시작된 달성공원
반짝 시장은 약 250명의 상인들이 매일 새벽 모이는데요.
<녹취> "다들 잠잘 때 늦게 일어나서 언제 돈 벌어요? “
오전 7시가 넘어서고 날이 밝자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루는데요.
<녹취> “수박 사요, 수박. 축구 4강 출전 기념이다. 만원씩. 만원씩 시원하게 드립니다.”
시원한 가격 만원에 판매하는 수박!
그 맛 안 보면 서운하겠죠.
<녹취> “맛이 어때요?”
<녹취> “맛있어요.”
도깨비 시장만의 또 다른 매력!
<녹취> “남방 저런 건 삼천 원 바지도 삼천 원. 신발도 오백 원, 팬티도 천원 수건도 오백 원.“
좋은 물건을 값싸게 파는 곳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찾는 사람도 많다고.
오전 9시까지 열리는 반짝 시장이지만 번듯한 시장 못지않습니다.
<녹취> “천원만 깎아주소.”
<녹취> “천원 빼주면 안 되는데. 이거 드시고 건강하세요.”
싼 가격에 좌판 앞은 사람들로 붐비는데요.
그만큼 상인들 주머니는 두둑해 지는데요.
<녹취>“이런 데 나와서 사람 사는 구경도 하고 맛도 보고. 이게 사람 사는 맛이지 다른 게 있나?“
차가 한두 대 빠져나가는 주차장.
이곳이 매일 새벽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데요.
원주 천 주차장 자리에 농민들이 직접 기른 농산물을 새벽 8시까지 판매하는 반짝 시장이 열리는 건데요.
<녹취> "요새 하우스 안이 얼마나 뜨거운지 병이 났어요. 고추 따느라고요."
<인터뷰> 이성섭(주차장 새벽시장 운영 회장) : "소규모로 생산하는 농민들은 판로가 없잖아요. 그분들이 시장 길거리에서 노점상을 하다가 강 둔치에서 장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 분들이 한 분 두 분 모여서 시작한 것이 주차장 시장이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지역 농민이 직접 생산한 각종 농산물을 신선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어 믿고 찾는 사람들이많은데요.
<녹취>“다른 곳은 두부를 대량으로 생산하니까 콩이 국산인지 수입인지 모르니까요. 이 아저씨가 직접 만든 두부니까 믿는 거죠.“
일부러 새벽시장을 찾는 이유.
또 있는데요.
<녹취> “덤도 더 드릴게. 이런데 나오면 그런 게 재밌잖아.”
<녹취> “이런 맛에 오죠. 새벽시장에.”
<녹취> “돈 좀 보여줘요. 이만큼 (벌었어요.) 만 원짜리는 (주머니에) 들어있고요. 손주 용돈 주는 재미로 하는 거죠. 돈 주니까 다 좋아해요.“
날이 밝으면 농민들은 내일 팔 신선한 먹을거리를 준비하러 떠나는데요.
<녹취> “다 파셨어요?”
<녹취>“다 팔았어요. 기분 최고죠.”
그런가 하면 서울 한복판.
한국 속의 리틀 마닐라로 통하는 필리핀 반짝 시장이 열리는데요.
서툰 한국말이지만 목청껏 물건 홍보도 해보는데요.
<녹취>“손님 여러분들 싸게 드릴게요.”
바나나 튀김부터 이색적인 음식들도 가득!
고향의 맛을 느끼고 싶어 찾는 필리핀 사람은 물론 이색적인 분위기에 한국 사람들에게도 인기!
필리핀 사람들에게는 그리운 고향을 느낄 수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는 필리핀 장터는 매주 일요일에 열리는데요.
필리핀에서 직접 가져온 채소부터 생선까지 없는 게 없는데요.
<녹취>“한 번도 해외여행을 가본 적이 없는데 이렇게 와보니까 신기하고요. 꼭 해외 한번 나가보고 싶고 필리핀 한번 가보고 싶어요.“
제철 맞은 농산물부터 생필품.
이색적인 볼거리와 활기 가득한 반짝 시장.
가족이나 연인들끼리 찾아봐도 좋을 명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요즘 알뜰족들이 자주 찾는다는 반짝 시장을 아시나요?
아침에만, 혹은 일주일에 한번만 말그대로 반짝 열렸다 접는 시장인데요.
날이면 날마다 오는 시장이 아니니까 일부러 시간맞춰 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그 수고가 결코 아깝지 않다죠?
네, 신선하고 좋은 상품을 훨씬 저렴하게, 또 덤까지 얹어 가져갈수 있다는데요
정아연 기자, 어디서 열리는지 오늘 살짝 공개해주신다고요
<리포트>
반짝 시장들은요
사람들이 없는 시간에 주차장 공터나 공원 한쪽을 활용해 열리는 거라서 더 저렴할 수밖에 없다는데요,
여기에 믿고 살 수 있는 질 좋은 물건에 흥정하는 재미, 또 이색 볼거리까지 있어 더 인깁니다.
알뜰 주부들이 가볼만한 반짝시장들 소개합니다.
날도 밝지 않은 이른 새벽.
좌판이 하나 둘 펼쳐지는 이곳은 대구 달성공원인데요.
<녹취> “이른 시간에 공원에는 무슨 일이세요?”
<녹취> “장사하러 왔지요.”
<녹취> “너무 이른 시간 아닌가요?”
<녹취> “아니야, 늦게 오면 자리가 없지.”
2000년부터 시작된 달성공원
반짝 시장은 약 250명의 상인들이 매일 새벽 모이는데요.
<녹취> "다들 잠잘 때 늦게 일어나서 언제 돈 벌어요? “
오전 7시가 넘어서고 날이 밝자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루는데요.
<녹취> “수박 사요, 수박. 축구 4강 출전 기념이다. 만원씩. 만원씩 시원하게 드립니다.”
시원한 가격 만원에 판매하는 수박!
그 맛 안 보면 서운하겠죠.
<녹취> “맛이 어때요?”
<녹취> “맛있어요.”
도깨비 시장만의 또 다른 매력!
<녹취> “남방 저런 건 삼천 원 바지도 삼천 원. 신발도 오백 원, 팬티도 천원 수건도 오백 원.“
좋은 물건을 값싸게 파는 곳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찾는 사람도 많다고.
오전 9시까지 열리는 반짝 시장이지만 번듯한 시장 못지않습니다.
<녹취> “천원만 깎아주소.”
<녹취> “천원 빼주면 안 되는데. 이거 드시고 건강하세요.”
싼 가격에 좌판 앞은 사람들로 붐비는데요.
그만큼 상인들 주머니는 두둑해 지는데요.
<녹취>“이런 데 나와서 사람 사는 구경도 하고 맛도 보고. 이게 사람 사는 맛이지 다른 게 있나?“
차가 한두 대 빠져나가는 주차장.
이곳이 매일 새벽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데요.
원주 천 주차장 자리에 농민들이 직접 기른 농산물을 새벽 8시까지 판매하는 반짝 시장이 열리는 건데요.
<녹취> "요새 하우스 안이 얼마나 뜨거운지 병이 났어요. 고추 따느라고요."
<인터뷰> 이성섭(주차장 새벽시장 운영 회장) : "소규모로 생산하는 농민들은 판로가 없잖아요. 그분들이 시장 길거리에서 노점상을 하다가 강 둔치에서 장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 분들이 한 분 두 분 모여서 시작한 것이 주차장 시장이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지역 농민이 직접 생산한 각종 농산물을 신선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어 믿고 찾는 사람들이많은데요.
<녹취>“다른 곳은 두부를 대량으로 생산하니까 콩이 국산인지 수입인지 모르니까요. 이 아저씨가 직접 만든 두부니까 믿는 거죠.“
일부러 새벽시장을 찾는 이유.
또 있는데요.
<녹취> “덤도 더 드릴게. 이런데 나오면 그런 게 재밌잖아.”
<녹취> “이런 맛에 오죠. 새벽시장에.”
<녹취> “돈 좀 보여줘요. 이만큼 (벌었어요.) 만 원짜리는 (주머니에) 들어있고요. 손주 용돈 주는 재미로 하는 거죠. 돈 주니까 다 좋아해요.“
날이 밝으면 농민들은 내일 팔 신선한 먹을거리를 준비하러 떠나는데요.
<녹취> “다 파셨어요?”
<녹취>“다 팔았어요. 기분 최고죠.”
그런가 하면 서울 한복판.
한국 속의 리틀 마닐라로 통하는 필리핀 반짝 시장이 열리는데요.
서툰 한국말이지만 목청껏 물건 홍보도 해보는데요.
<녹취>“손님 여러분들 싸게 드릴게요.”
바나나 튀김부터 이색적인 음식들도 가득!
고향의 맛을 느끼고 싶어 찾는 필리핀 사람은 물론 이색적인 분위기에 한국 사람들에게도 인기!
필리핀 사람들에게는 그리운 고향을 느낄 수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는 필리핀 장터는 매주 일요일에 열리는데요.
필리핀에서 직접 가져온 채소부터 생선까지 없는 게 없는데요.
<녹취>“한 번도 해외여행을 가본 적이 없는데 이렇게 와보니까 신기하고요. 꼭 해외 한번 나가보고 싶고 필리핀 한번 가보고 싶어요.“
제철 맞은 농산물부터 생필품.
이색적인 볼거리와 활기 가득한 반짝 시장.
가족이나 연인들끼리 찾아봐도 좋을 명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활력충전] 불황은 없다! 알뜰 반짝 시장
-
- 입력 2012-08-07 09:14:23
- 수정2012-08-07 13:52:06

<앵커 멘트>
요즘 알뜰족들이 자주 찾는다는 반짝 시장을 아시나요?
아침에만, 혹은 일주일에 한번만 말그대로 반짝 열렸다 접는 시장인데요.
날이면 날마다 오는 시장이 아니니까 일부러 시간맞춰 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그 수고가 결코 아깝지 않다죠?
네, 신선하고 좋은 상품을 훨씬 저렴하게, 또 덤까지 얹어 가져갈수 있다는데요
정아연 기자, 어디서 열리는지 오늘 살짝 공개해주신다고요
<리포트>
반짝 시장들은요
사람들이 없는 시간에 주차장 공터나 공원 한쪽을 활용해 열리는 거라서 더 저렴할 수밖에 없다는데요,
여기에 믿고 살 수 있는 질 좋은 물건에 흥정하는 재미, 또 이색 볼거리까지 있어 더 인깁니다.
알뜰 주부들이 가볼만한 반짝시장들 소개합니다.
날도 밝지 않은 이른 새벽.
좌판이 하나 둘 펼쳐지는 이곳은 대구 달성공원인데요.
<녹취> “이른 시간에 공원에는 무슨 일이세요?”
<녹취> “장사하러 왔지요.”
<녹취> “너무 이른 시간 아닌가요?”
<녹취> “아니야, 늦게 오면 자리가 없지.”
2000년부터 시작된 달성공원
반짝 시장은 약 250명의 상인들이 매일 새벽 모이는데요.
<녹취> "다들 잠잘 때 늦게 일어나서 언제 돈 벌어요? “
오전 7시가 넘어서고 날이 밝자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루는데요.
<녹취> “수박 사요, 수박. 축구 4강 출전 기념이다. 만원씩. 만원씩 시원하게 드립니다.”
시원한 가격 만원에 판매하는 수박!
그 맛 안 보면 서운하겠죠.
<녹취> “맛이 어때요?”
<녹취> “맛있어요.”
도깨비 시장만의 또 다른 매력!
<녹취> “남방 저런 건 삼천 원 바지도 삼천 원. 신발도 오백 원, 팬티도 천원 수건도 오백 원.“
좋은 물건을 값싸게 파는 곳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찾는 사람도 많다고.
오전 9시까지 열리는 반짝 시장이지만 번듯한 시장 못지않습니다.
<녹취> “천원만 깎아주소.”
<녹취> “천원 빼주면 안 되는데. 이거 드시고 건강하세요.”
싼 가격에 좌판 앞은 사람들로 붐비는데요.
그만큼 상인들 주머니는 두둑해 지는데요.
<녹취>“이런 데 나와서 사람 사는 구경도 하고 맛도 보고. 이게 사람 사는 맛이지 다른 게 있나?“
차가 한두 대 빠져나가는 주차장.
이곳이 매일 새벽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데요.
원주 천 주차장 자리에 농민들이 직접 기른 농산물을 새벽 8시까지 판매하는 반짝 시장이 열리는 건데요.
<녹취> "요새 하우스 안이 얼마나 뜨거운지 병이 났어요. 고추 따느라고요."
<인터뷰> 이성섭(주차장 새벽시장 운영 회장) : "소규모로 생산하는 농민들은 판로가 없잖아요. 그분들이 시장 길거리에서 노점상을 하다가 강 둔치에서 장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 분들이 한 분 두 분 모여서 시작한 것이 주차장 시장이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지역 농민이 직접 생산한 각종 농산물을 신선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어 믿고 찾는 사람들이많은데요.
<녹취>“다른 곳은 두부를 대량으로 생산하니까 콩이 국산인지 수입인지 모르니까요. 이 아저씨가 직접 만든 두부니까 믿는 거죠.“
일부러 새벽시장을 찾는 이유.
또 있는데요.
<녹취> “덤도 더 드릴게. 이런데 나오면 그런 게 재밌잖아.”
<녹취> “이런 맛에 오죠. 새벽시장에.”
<녹취> “돈 좀 보여줘요. 이만큼 (벌었어요.) 만 원짜리는 (주머니에) 들어있고요. 손주 용돈 주는 재미로 하는 거죠. 돈 주니까 다 좋아해요.“
날이 밝으면 농민들은 내일 팔 신선한 먹을거리를 준비하러 떠나는데요.
<녹취> “다 파셨어요?”
<녹취>“다 팔았어요. 기분 최고죠.”
그런가 하면 서울 한복판.
한국 속의 리틀 마닐라로 통하는 필리핀 반짝 시장이 열리는데요.
서툰 한국말이지만 목청껏 물건 홍보도 해보는데요.
<녹취>“손님 여러분들 싸게 드릴게요.”
바나나 튀김부터 이색적인 음식들도 가득!
고향의 맛을 느끼고 싶어 찾는 필리핀 사람은 물론 이색적인 분위기에 한국 사람들에게도 인기!
필리핀 사람들에게는 그리운 고향을 느낄 수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는 필리핀 장터는 매주 일요일에 열리는데요.
필리핀에서 직접 가져온 채소부터 생선까지 없는 게 없는데요.
<녹취>“한 번도 해외여행을 가본 적이 없는데 이렇게 와보니까 신기하고요. 꼭 해외 한번 나가보고 싶고 필리핀 한번 가보고 싶어요.“
제철 맞은 농산물부터 생필품.
이색적인 볼거리와 활기 가득한 반짝 시장.
가족이나 연인들끼리 찾아봐도 좋을 명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요즘 알뜰족들이 자주 찾는다는 반짝 시장을 아시나요?
아침에만, 혹은 일주일에 한번만 말그대로 반짝 열렸다 접는 시장인데요.
날이면 날마다 오는 시장이 아니니까 일부러 시간맞춰 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그 수고가 결코 아깝지 않다죠?
네, 신선하고 좋은 상품을 훨씬 저렴하게, 또 덤까지 얹어 가져갈수 있다는데요
정아연 기자, 어디서 열리는지 오늘 살짝 공개해주신다고요
<리포트>
반짝 시장들은요
사람들이 없는 시간에 주차장 공터나 공원 한쪽을 활용해 열리는 거라서 더 저렴할 수밖에 없다는데요,
여기에 믿고 살 수 있는 질 좋은 물건에 흥정하는 재미, 또 이색 볼거리까지 있어 더 인깁니다.
알뜰 주부들이 가볼만한 반짝시장들 소개합니다.
날도 밝지 않은 이른 새벽.
좌판이 하나 둘 펼쳐지는 이곳은 대구 달성공원인데요.
<녹취> “이른 시간에 공원에는 무슨 일이세요?”
<녹취> “장사하러 왔지요.”
<녹취> “너무 이른 시간 아닌가요?”
<녹취> “아니야, 늦게 오면 자리가 없지.”
2000년부터 시작된 달성공원
반짝 시장은 약 250명의 상인들이 매일 새벽 모이는데요.
<녹취> "다들 잠잘 때 늦게 일어나서 언제 돈 벌어요? “
오전 7시가 넘어서고 날이 밝자 손님들로 북새통을 이루는데요.
<녹취> “수박 사요, 수박. 축구 4강 출전 기념이다. 만원씩. 만원씩 시원하게 드립니다.”
시원한 가격 만원에 판매하는 수박!
그 맛 안 보면 서운하겠죠.
<녹취> “맛이 어때요?”
<녹취> “맛있어요.”
도깨비 시장만의 또 다른 매력!
<녹취> “남방 저런 건 삼천 원 바지도 삼천 원. 신발도 오백 원, 팬티도 천원 수건도 오백 원.“
좋은 물건을 값싸게 파는 곳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찾는 사람도 많다고.
오전 9시까지 열리는 반짝 시장이지만 번듯한 시장 못지않습니다.
<녹취> “천원만 깎아주소.”
<녹취> “천원 빼주면 안 되는데. 이거 드시고 건강하세요.”
싼 가격에 좌판 앞은 사람들로 붐비는데요.
그만큼 상인들 주머니는 두둑해 지는데요.
<녹취>“이런 데 나와서 사람 사는 구경도 하고 맛도 보고. 이게 사람 사는 맛이지 다른 게 있나?“
차가 한두 대 빠져나가는 주차장.
이곳이 매일 새벽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데요.
원주 천 주차장 자리에 농민들이 직접 기른 농산물을 새벽 8시까지 판매하는 반짝 시장이 열리는 건데요.
<녹취> "요새 하우스 안이 얼마나 뜨거운지 병이 났어요. 고추 따느라고요."
<인터뷰> 이성섭(주차장 새벽시장 운영 회장) : "소규모로 생산하는 농민들은 판로가 없잖아요. 그분들이 시장 길거리에서 노점상을 하다가 강 둔치에서 장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 분들이 한 분 두 분 모여서 시작한 것이 주차장 시장이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지역 농민이 직접 생산한 각종 농산물을 신선하고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어 믿고 찾는 사람들이많은데요.
<녹취>“다른 곳은 두부를 대량으로 생산하니까 콩이 국산인지 수입인지 모르니까요. 이 아저씨가 직접 만든 두부니까 믿는 거죠.“
일부러 새벽시장을 찾는 이유.
또 있는데요.
<녹취> “덤도 더 드릴게. 이런데 나오면 그런 게 재밌잖아.”
<녹취> “이런 맛에 오죠. 새벽시장에.”
<녹취> “돈 좀 보여줘요. 이만큼 (벌었어요.) 만 원짜리는 (주머니에) 들어있고요. 손주 용돈 주는 재미로 하는 거죠. 돈 주니까 다 좋아해요.“
날이 밝으면 농민들은 내일 팔 신선한 먹을거리를 준비하러 떠나는데요.
<녹취> “다 파셨어요?”
<녹취>“다 팔았어요. 기분 최고죠.”
그런가 하면 서울 한복판.
한국 속의 리틀 마닐라로 통하는 필리핀 반짝 시장이 열리는데요.
서툰 한국말이지만 목청껏 물건 홍보도 해보는데요.
<녹취>“손님 여러분들 싸게 드릴게요.”
바나나 튀김부터 이색적인 음식들도 가득!
고향의 맛을 느끼고 싶어 찾는 필리핀 사람은 물론 이색적인 분위기에 한국 사람들에게도 인기!
필리핀 사람들에게는 그리운 고향을 느낄 수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는 필리핀 장터는 매주 일요일에 열리는데요.
필리핀에서 직접 가져온 채소부터 생선까지 없는 게 없는데요.
<녹취>“한 번도 해외여행을 가본 적이 없는데 이렇게 와보니까 신기하고요. 꼭 해외 한번 나가보고 싶고 필리핀 한번 가보고 싶어요.“
제철 맞은 농산물부터 생필품.
이색적인 볼거리와 활기 가득한 반짝 시장.
가족이나 연인들끼리 찾아봐도 좋을 명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