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설치
입력 2012.09.03 (21:49)
수정 2012.09.03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표적인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걸러내는 시설이 국내에서 처음 인천에 들어섰습니다.
공정에서 나온 부산물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옹진군에 있는 화력발전소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굴뚝에서 많은 양의 가스가 배출됩니다.
특히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1년에 2천만 톤이나 공기 중에 날아갑니다.
<인터뷰> 박성제(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 환경관리파트장) : "이산화탄소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발전소 등 대형 장치산업에 이산화탄소 저감 상용 설비가 설치된 것은 현재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설치돼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하루 8만㎥의 배출 가스가 나오는 인천환경공단.
이곳에선 쓰레기 소각 뒤 발생하는 가스는 모두 대형 탱크로 모아집니다.
탱크 속에선 건축과 공업용 재료인 소석회를 주 원료로 쓴 약제가 가스와 뒤섞이면서 이산화탄소를 걸러냅니다.
이 과정에서 8.73%였던 이산화탄소 포함 비율은 0.04%로 낮아졌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원통 모양의 반응기 2대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이 시설을 하루 24시간 가동했을 때 10톤이 모아집니다.
특히 공정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은 발전소의 탈황제, 비료 등에도 다양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환(대우건설 환경에너지연구팀 수석연구원) : "산업용 보일러, 소각 시설, 기타 바이오 가스 정제 등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원료화하는 모든 공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올해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는 872만 톤.
새롭게 선보인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확대 적용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대표적인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걸러내는 시설이 국내에서 처음 인천에 들어섰습니다.
공정에서 나온 부산물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옹진군에 있는 화력발전소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굴뚝에서 많은 양의 가스가 배출됩니다.
특히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1년에 2천만 톤이나 공기 중에 날아갑니다.
<인터뷰> 박성제(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 환경관리파트장) : "이산화탄소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발전소 등 대형 장치산업에 이산화탄소 저감 상용 설비가 설치된 것은 현재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설치돼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하루 8만㎥의 배출 가스가 나오는 인천환경공단.
이곳에선 쓰레기 소각 뒤 발생하는 가스는 모두 대형 탱크로 모아집니다.
탱크 속에선 건축과 공업용 재료인 소석회를 주 원료로 쓴 약제가 가스와 뒤섞이면서 이산화탄소를 걸러냅니다.
이 과정에서 8.73%였던 이산화탄소 포함 비율은 0.04%로 낮아졌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원통 모양의 반응기 2대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이 시설을 하루 24시간 가동했을 때 10톤이 모아집니다.
특히 공정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은 발전소의 탈황제, 비료 등에도 다양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환(대우건설 환경에너지연구팀 수석연구원) : "산업용 보일러, 소각 시설, 기타 바이오 가스 정제 등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원료화하는 모든 공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올해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는 872만 톤.
새롭게 선보인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확대 적용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첫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설치
-
- 입력 2012-09-03 21:49:01
- 수정2012-09-03 22:00:16
<앵커 멘트>
대표적인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걸러내는 시설이 국내에서 처음 인천에 들어섰습니다.
공정에서 나온 부산물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옹진군에 있는 화력발전소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굴뚝에서 많은 양의 가스가 배출됩니다.
특히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1년에 2천만 톤이나 공기 중에 날아갑니다.
<인터뷰> 박성제(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 환경관리파트장) : "이산화탄소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발전소 등 대형 장치산업에 이산화탄소 저감 상용 설비가 설치된 것은 현재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설치돼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하루 8만㎥의 배출 가스가 나오는 인천환경공단.
이곳에선 쓰레기 소각 뒤 발생하는 가스는 모두 대형 탱크로 모아집니다.
탱크 속에선 건축과 공업용 재료인 소석회를 주 원료로 쓴 약제가 가스와 뒤섞이면서 이산화탄소를 걸러냅니다.
이 과정에서 8.73%였던 이산화탄소 포함 비율은 0.04%로 낮아졌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원통 모양의 반응기 2대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이 시설을 하루 24시간 가동했을 때 10톤이 모아집니다.
특히 공정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은 발전소의 탈황제, 비료 등에도 다양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병환(대우건설 환경에너지연구팀 수석연구원) : "산업용 보일러, 소각 시설, 기타 바이오 가스 정제 등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원료화하는 모든 공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올해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는 872만 톤.
새롭게 선보인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가 확대 적용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