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범죄 예방· 대처 교육 허술…실효성 의문

입력 2012.09.22 (07:54) 수정 2012.09.22 (16: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늘면서 성폭력 예방과 대처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우리 교육 현장의 성범죄 관련 교육은 아직도 허술하기만 합니다.

김수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생들이 상상 속 성폭행범의 얼굴을 직접 그려보고, 사례별로 성폭력 대처법을 꼼꼼히 배웁니다.

이러한 성범죄 관련 의무교육 시간은 교육부 규정상 1 년에 겨우 10 시간.

이 가운데 성폭력 예방교육은 고작 2 시간뿐입니다.

<인터뷰> 이정화(김해 칠산초등학교 교사) : "성폭력 예방교육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부족합니다."

교육 내용도 허술합니다.

`성적 자기 결정권'이나 `성범죄 직전 `싫다'고 말하기' 등 이론에 그치는 수준입니다.

전북 전주의 한 중학교에서는 성폭행 대처법으로 '미친 척하고 도망가라'는 황당한 방법을 적어 가정 통신문으로 보내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수업시간이나 예산문제를 이유로 이렇게 넓은 강당에서 대규모로 교육을 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전교생을 모아 놓고 형식적으로 한 차례 교육을 실시하다 보니, 진지한 성교육이나 솔직한 고민 상담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중학생 : "집중도 안 되고 그래서 실제로 그런 상황이 발생해도 대처 못할 것 같아요."

전문가들은 교육시간을 늘리고, 소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사례들을 가르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선희(창원성폭력상담소 소장) : "사례가 많이 있기 때문에 그런 쪽으로 학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게 더 필요하지 않을까."

성범죄 수법이 날로 지능화되는 만큼 실효성있는 맞춤형 예방 교육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범죄 예방· 대처 교육 허술…실효성 의문
    • 입력 2012-09-22 07:54:16
    • 수정2012-09-22 16:21:59
    뉴스광장
<앵커 멘트>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늘면서 성폭력 예방과 대처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우리 교육 현장의 성범죄 관련 교육은 아직도 허술하기만 합니다. 김수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생들이 상상 속 성폭행범의 얼굴을 직접 그려보고, 사례별로 성폭력 대처법을 꼼꼼히 배웁니다. 이러한 성범죄 관련 의무교육 시간은 교육부 규정상 1 년에 겨우 10 시간. 이 가운데 성폭력 예방교육은 고작 2 시간뿐입니다. <인터뷰> 이정화(김해 칠산초등학교 교사) : "성폭력 예방교육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부족합니다." 교육 내용도 허술합니다. `성적 자기 결정권'이나 `성범죄 직전 `싫다'고 말하기' 등 이론에 그치는 수준입니다. 전북 전주의 한 중학교에서는 성폭행 대처법으로 '미친 척하고 도망가라'는 황당한 방법을 적어 가정 통신문으로 보내기도 했습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수업시간이나 예산문제를 이유로 이렇게 넓은 강당에서 대규모로 교육을 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전교생을 모아 놓고 형식적으로 한 차례 교육을 실시하다 보니, 진지한 성교육이나 솔직한 고민 상담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중학생 : "집중도 안 되고 그래서 실제로 그런 상황이 발생해도 대처 못할 것 같아요." 전문가들은 교육시간을 늘리고, 소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사례들을 가르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선희(창원성폭력상담소 소장) : "사례가 많이 있기 때문에 그런 쪽으로 학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게 더 필요하지 않을까." 성범죄 수법이 날로 지능화되는 만큼 실효성있는 맞춤형 예방 교육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