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쟁점된 ‘NLL 논란’의 진실은?
입력 2012.10.19 (08:01)
수정 2012.10.19 (1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논란의 핵심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담겼다는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와 진위 여부입니다.
대선쟁점이 된 NLL 논란, 대선후보 진실검증단의 금철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멋대로 그은 선이니까,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2007년 10월 3일 남북정상회담 이틀째, 노무현-김정일 단독 회담에서 문제의 발언이 나왔다고 정문헌 의원은 주장합니다.
발표된 회담 시각은 2시 45분부터 4시 25분까지.
비밀 단독회담도, NLL 발언도 일절 없었다는 게 참석자들의 공통된 주장입니다.
<인터뷰> 이재정 (前 통일부 장관): "정상회담 기간 중이나 후에 정문헌 의원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야기를 노 대통령이 한번도 한 바 없습니다."
당시 정상회담 전 과정을 조명균 통일비서관이 녹음했다고 배석자들은 말합니다.
녹음 상태가 안좋아 회담 뒤 녹음 내용과 참석자들의 기록을 조합해 대화록이 작성됐다고 합니다.
증언에 따르면 대화록은 김만복 전 원장이 최종정리했고,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을 거쳐,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됐습니다.
1급 비밀로 분류된 대화록은 두 부가 만들어져, 한 부는 대통령 기록보관소에, 또 한 부는 국정원에 넘겨졌습니다.
<인터뷰> 김만복 (前 국정원장): "이건 1급 비밀로 분류해 놨거든요. 1급비밀을 (정 의원)자기가 어떻게 봐요. 그건 법 위반이죠."
정문헌 의원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 통일비서관 시절 그 대화록 내용을 파악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입니다.
<인터뷰>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대화록 다른 버전 없나?") 없다. 어떻게 다른버전 있나"
남북정상회담 1달여 뒤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 노 대통령 발언 중 일부는 정 의원의 언급과 유사합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릴 때 땅 따먹기하고 할 때 괜히 아무 이해관꼐도 없이 땅에 줄 그어놓고 니 땅 내 땅 막 싸우고 그러지요."
하지만,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에서 NLL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떻든 NLL 건드리지 않고 왔습니다."
정상회담 한달 반뒤 열린 남북 국방장관 회담.
김장수 당시 국방장관은 북측이 노 대통령을 인용하며 NLL 변경을 요구하는 공세를 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장수 (前 국방 장관): "대화록이 있다면 대화록에 내용이 나왔다면 그 대화를 근거로 나한테 한 것인지...한국 언론을 수집해 인지하고 이야기한 것인지 분명치 않아요."
김 장관은 재임 당시 노 대통령의 NLL에 대한 돌출 발언으로 곤혹스럽기도 했지만, 남북국방장관회담을 앞두고선 NLL을 수호하겠다는 자신의 뜻을 존중해 소신껏 하고 오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담겼다는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와 진위 여부입니다.
대선쟁점이 된 NLL 논란, 대선후보 진실검증단의 금철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멋대로 그은 선이니까,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2007년 10월 3일 남북정상회담 이틀째, 노무현-김정일 단독 회담에서 문제의 발언이 나왔다고 정문헌 의원은 주장합니다.
발표된 회담 시각은 2시 45분부터 4시 25분까지.
비밀 단독회담도, NLL 발언도 일절 없었다는 게 참석자들의 공통된 주장입니다.
<인터뷰> 이재정 (前 통일부 장관): "정상회담 기간 중이나 후에 정문헌 의원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야기를 노 대통령이 한번도 한 바 없습니다."
당시 정상회담 전 과정을 조명균 통일비서관이 녹음했다고 배석자들은 말합니다.
녹음 상태가 안좋아 회담 뒤 녹음 내용과 참석자들의 기록을 조합해 대화록이 작성됐다고 합니다.
증언에 따르면 대화록은 김만복 전 원장이 최종정리했고,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을 거쳐,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됐습니다.
1급 비밀로 분류된 대화록은 두 부가 만들어져, 한 부는 대통령 기록보관소에, 또 한 부는 국정원에 넘겨졌습니다.
<인터뷰> 김만복 (前 국정원장): "이건 1급 비밀로 분류해 놨거든요. 1급비밀을 (정 의원)자기가 어떻게 봐요. 그건 법 위반이죠."
정문헌 의원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 통일비서관 시절 그 대화록 내용을 파악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입니다.
<인터뷰>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대화록 다른 버전 없나?") 없다. 어떻게 다른버전 있나"
남북정상회담 1달여 뒤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 노 대통령 발언 중 일부는 정 의원의 언급과 유사합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릴 때 땅 따먹기하고 할 때 괜히 아무 이해관꼐도 없이 땅에 줄 그어놓고 니 땅 내 땅 막 싸우고 그러지요."
하지만,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에서 NLL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떻든 NLL 건드리지 않고 왔습니다."
정상회담 한달 반뒤 열린 남북 국방장관 회담.
김장수 당시 국방장관은 북측이 노 대통령을 인용하며 NLL 변경을 요구하는 공세를 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장수 (前 국방 장관): "대화록이 있다면 대화록에 내용이 나왔다면 그 대화를 근거로 나한테 한 것인지...한국 언론을 수집해 인지하고 이야기한 것인지 분명치 않아요."
김 장관은 재임 당시 노 대통령의 NLL에 대한 돌출 발언으로 곤혹스럽기도 했지만, 남북국방장관회담을 앞두고선 NLL을 수호하겠다는 자신의 뜻을 존중해 소신껏 하고 오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선 쟁점된 ‘NLL 논란’의 진실은?
-
- 입력 2012-10-19 08:01:32
- 수정2012-10-19 11:17:32
<앵커 멘트>
이번 논란의 핵심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담겼다는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와 진위 여부입니다.
대선쟁점이 된 NLL 논란, 대선후보 진실검증단의 금철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녹취>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미국이 땅따먹기 하려고 제멋대로 그은 선이니까,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2007년 10월 3일 남북정상회담 이틀째, 노무현-김정일 단독 회담에서 문제의 발언이 나왔다고 정문헌 의원은 주장합니다.
발표된 회담 시각은 2시 45분부터 4시 25분까지.
비밀 단독회담도, NLL 발언도 일절 없었다는 게 참석자들의 공통된 주장입니다.
<인터뷰> 이재정 (前 통일부 장관): "정상회담 기간 중이나 후에 정문헌 의원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야기를 노 대통령이 한번도 한 바 없습니다."
당시 정상회담 전 과정을 조명균 통일비서관이 녹음했다고 배석자들은 말합니다.
녹음 상태가 안좋아 회담 뒤 녹음 내용과 참석자들의 기록을 조합해 대화록이 작성됐다고 합니다.
증언에 따르면 대화록은 김만복 전 원장이 최종정리했고,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을 거쳐,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됐습니다.
1급 비밀로 분류된 대화록은 두 부가 만들어져, 한 부는 대통령 기록보관소에, 또 한 부는 국정원에 넘겨졌습니다.
<인터뷰> 김만복 (前 국정원장): "이건 1급 비밀로 분류해 놨거든요. 1급비밀을 (정 의원)자기가 어떻게 봐요. 그건 법 위반이죠."
정문헌 의원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 통일비서관 시절 그 대화록 내용을 파악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입니다.
<인터뷰>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 "(대화록 다른 버전 없나?") 없다. 어떻게 다른버전 있나"
남북정상회담 1달여 뒤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 노 대통령 발언 중 일부는 정 의원의 언급과 유사합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릴 때 땅 따먹기하고 할 때 괜히 아무 이해관꼐도 없이 땅에 줄 그어놓고 니 땅 내 땅 막 싸우고 그러지요."
하지만,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에서 NLL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노무현 (前 대통령): "어떻든 NLL 건드리지 않고 왔습니다."
정상회담 한달 반뒤 열린 남북 국방장관 회담.
김장수 당시 국방장관은 북측이 노 대통령을 인용하며 NLL 변경을 요구하는 공세를 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장수 (前 국방 장관): "대화록이 있다면 대화록에 내용이 나왔다면 그 대화를 근거로 나한테 한 것인지...한국 언론을 수집해 인지하고 이야기한 것인지 분명치 않아요."
김 장관은 재임 당시 노 대통령의 NLL에 대한 돌출 발언으로 곤혹스럽기도 했지만, 남북국방장관회담을 앞두고선 NLL을 수호하겠다는 자신의 뜻을 존중해 소신껏 하고 오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
-
금철영 기자 cykum@kbs.co.kr
금철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제 18대 대통령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