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물 신약 논쟁 ‘후끈’…한의사 집단 휴진·집회
입력 2012.10.24 (22:03)
수정 2012.10.25 (09: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쑥이나 콩같은 재료로 만든 이른바 천연물 신약을 놓고 논쟁이 뜨겁습니다.
한의사 수천 명이 오늘 진료를 거부한 채 대규모 집회를 열었는데요.
어떤 사정이 있는 건지 모은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천여 명의 한의사들이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복지부 국정감사 마지막 날,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서입니다.
한의사들은 정부가 제약산업 육성을 빌미로, 자신들이 처방해 오던 한약을 이름만 '천연물 신약'으로 바꿔 멋대로 허가해줬다고 주장했습니다.
게다가 이 약들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정작 한의사들은 처방하지 못한다며, 정책 폐기를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안재규(한의사 비상대책위원회장) : "독립 한의약법을 제정하고, 그걸 관장할 수 있는 한의학청을 만들어서 정말 제대로 한의학을 발전시켜 달라는 얘기죠."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서 수도권 지역 한의원 5천여 곳이 오전에 일제히 휴진했습니다.
현재 시판 중인 천연물 신약은 쑥이 든 위염 치료제, 황련 등으로 만든 진해거담제, 검은콩, 방풍 등으로 만든 관절염 치료제를 비롯해 모두 7종입니다.
한의사들의 반발에 대해 의사들은 모든 약이 사실상 천연물에서 유래한 거라고 일축합니다.
<인터뷰> 송형곤(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약으로 만들었을 때는 저희가 처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6개월째 검토 중이라는 말뿐,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 임채민(보건복지부 장관) : "천연물 신약 연구 개발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저희 부 소관이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한 번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약 선진국을 목표로 6천억 원이 투입된 '천연물 신약' 사업, 지금도 60종이 개발 중에 있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쑥이나 콩같은 재료로 만든 이른바 천연물 신약을 놓고 논쟁이 뜨겁습니다.
한의사 수천 명이 오늘 진료를 거부한 채 대규모 집회를 열었는데요.
어떤 사정이 있는 건지 모은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천여 명의 한의사들이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복지부 국정감사 마지막 날,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서입니다.
한의사들은 정부가 제약산업 육성을 빌미로, 자신들이 처방해 오던 한약을 이름만 '천연물 신약'으로 바꿔 멋대로 허가해줬다고 주장했습니다.
게다가 이 약들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정작 한의사들은 처방하지 못한다며, 정책 폐기를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안재규(한의사 비상대책위원회장) : "독립 한의약법을 제정하고, 그걸 관장할 수 있는 한의학청을 만들어서 정말 제대로 한의학을 발전시켜 달라는 얘기죠."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서 수도권 지역 한의원 5천여 곳이 오전에 일제히 휴진했습니다.
현재 시판 중인 천연물 신약은 쑥이 든 위염 치료제, 황련 등으로 만든 진해거담제, 검은콩, 방풍 등으로 만든 관절염 치료제를 비롯해 모두 7종입니다.
한의사들의 반발에 대해 의사들은 모든 약이 사실상 천연물에서 유래한 거라고 일축합니다.
<인터뷰> 송형곤(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약으로 만들었을 때는 저희가 처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6개월째 검토 중이라는 말뿐,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 임채민(보건복지부 장관) : "천연물 신약 연구 개발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저희 부 소관이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한 번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약 선진국을 목표로 6천억 원이 투입된 '천연물 신약' 사업, 지금도 60종이 개발 중에 있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연물 신약 논쟁 ‘후끈’…한의사 집단 휴진·집회
-
- 입력 2012-10-24 22:03:36
- 수정2012-10-25 09:40:23
<앵커 멘트>
쑥이나 콩같은 재료로 만든 이른바 천연물 신약을 놓고 논쟁이 뜨겁습니다.
한의사 수천 명이 오늘 진료를 거부한 채 대규모 집회를 열었는데요.
어떤 사정이 있는 건지 모은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천여 명의 한의사들이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
복지부 국정감사 마지막 날,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서입니다.
한의사들은 정부가 제약산업 육성을 빌미로, 자신들이 처방해 오던 한약을 이름만 '천연물 신약'으로 바꿔 멋대로 허가해줬다고 주장했습니다.
게다가 이 약들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정작 한의사들은 처방하지 못한다며, 정책 폐기를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안재규(한의사 비상대책위원회장) : "독립 한의약법을 제정하고, 그걸 관장할 수 있는 한의학청을 만들어서 정말 제대로 한의학을 발전시켜 달라는 얘기죠."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서 수도권 지역 한의원 5천여 곳이 오전에 일제히 휴진했습니다.
현재 시판 중인 천연물 신약은 쑥이 든 위염 치료제, 황련 등으로 만든 진해거담제, 검은콩, 방풍 등으로 만든 관절염 치료제를 비롯해 모두 7종입니다.
한의사들의 반발에 대해 의사들은 모든 약이 사실상 천연물에서 유래한 거라고 일축합니다.
<인터뷰> 송형곤(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약으로 만들었을 때는 저희가 처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6개월째 검토 중이라는 말뿐,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 임채민(보건복지부 장관) : "천연물 신약 연구 개발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저희 부 소관이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한 번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약 선진국을 목표로 6천억 원이 투입된 '천연물 신약' 사업, 지금도 60종이 개발 중에 있습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