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전쟁과 남벌로 황폐화 됐던 우리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지난 1960년대부터 대규모 인공림 조성사업이 추진됐는데요.
그런데 이런 인공림이 생물 다양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국립 공원내에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을의 끝자락, 변산반도국립공원은 형형색색의 단풍이 절정을 이뤘습니다.
그런데 산 아랫쪽으로는 단일한 초록빛 숲이 이질적인 풍경을 연출합니다.
40년 전 인공적으로 조성된 리기다소나무 숲입니다.
이런 인공림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빽빽이 심어져 생육상태도 좋지 않습니다.
수령이 40년이 됐는데도 직경이 10센티미터 안팎에 불과하고 크기도 정상적인 소나무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경진(국립공원 생태복원과장) : "인공조림지는 수령이 비슷한 단일 수종으로 이뤄져 있어 생태적으로도 불안정하고 생물 다양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실제로 변산반도의 경우 천연림이 리기다인공림보다 식물 종수가 2.8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처럼 활력이 떨어진 인공림을 자연 숲으로 복원하기 위해 국립공원에서는 처음으로 대대적인 솎아베기가 시작됐습니다.
시범 사업 대상은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인공림 3백여 헥타르로 절반가량의 나무가 베어집니다.
<인터뷰> 박기현(국립공원연구원 박사) : "적절히 간벌을 하게 되면 다양한 식물들이 가입이 되고, 다양한 식물들을 통해 살아가는 각종 동물, 식물, 곤충류들이 적정하게 살 수 있게..."
현재 전국 20개 국립공원 내 인공림 면적은 전체의 4.4%인 만5천여 헥타르로 여의도 면적의 19배나 됩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시범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모든 국립공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전쟁과 남벌로 황폐화 됐던 우리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지난 1960년대부터 대규모 인공림 조성사업이 추진됐는데요.
그런데 이런 인공림이 생물 다양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국립 공원내에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을의 끝자락, 변산반도국립공원은 형형색색의 단풍이 절정을 이뤘습니다.
그런데 산 아랫쪽으로는 단일한 초록빛 숲이 이질적인 풍경을 연출합니다.
40년 전 인공적으로 조성된 리기다소나무 숲입니다.
이런 인공림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빽빽이 심어져 생육상태도 좋지 않습니다.
수령이 40년이 됐는데도 직경이 10센티미터 안팎에 불과하고 크기도 정상적인 소나무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경진(국립공원 생태복원과장) : "인공조림지는 수령이 비슷한 단일 수종으로 이뤄져 있어 생태적으로도 불안정하고 생물 다양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실제로 변산반도의 경우 천연림이 리기다인공림보다 식물 종수가 2.8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처럼 활력이 떨어진 인공림을 자연 숲으로 복원하기 위해 국립공원에서는 처음으로 대대적인 솎아베기가 시작됐습니다.
시범 사업 대상은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인공림 3백여 헥타르로 절반가량의 나무가 베어집니다.
<인터뷰> 박기현(국립공원연구원 박사) : "적절히 간벌을 하게 되면 다양한 식물들이 가입이 되고, 다양한 식물들을 통해 살아가는 각종 동물, 식물, 곤충류들이 적정하게 살 수 있게..."
현재 전국 20개 국립공원 내 인공림 면적은 전체의 4.4%인 만5천여 헥타르로 여의도 면적의 19배나 됩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시범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모든 국립공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연과 인간] 국립공원 숲 생태 바꾼다
-
- 입력 2012-11-11 21:45:44
<앵커 멘트>
전쟁과 남벌로 황폐화 됐던 우리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지난 1960년대부터 대규모 인공림 조성사업이 추진됐는데요.
그런데 이런 인공림이 생물 다양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국립 공원내에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을의 끝자락, 변산반도국립공원은 형형색색의 단풍이 절정을 이뤘습니다.
그런데 산 아랫쪽으로는 단일한 초록빛 숲이 이질적인 풍경을 연출합니다.
40년 전 인공적으로 조성된 리기다소나무 숲입니다.
이런 인공림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빽빽이 심어져 생육상태도 좋지 않습니다.
수령이 40년이 됐는데도 직경이 10센티미터 안팎에 불과하고 크기도 정상적인 소나무의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경진(국립공원 생태복원과장) : "인공조림지는 수령이 비슷한 단일 수종으로 이뤄져 있어 생태적으로도 불안정하고 생물 다양성이 굉장히 떨어집니다."
실제로 변산반도의 경우 천연림이 리기다인공림보다 식물 종수가 2.8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처럼 활력이 떨어진 인공림을 자연 숲으로 복원하기 위해 국립공원에서는 처음으로 대대적인 솎아베기가 시작됐습니다.
시범 사업 대상은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인공림 3백여 헥타르로 절반가량의 나무가 베어집니다.
<인터뷰> 박기현(국립공원연구원 박사) : "적절히 간벌을 하게 되면 다양한 식물들이 가입이 되고, 다양한 식물들을 통해 살아가는 각종 동물, 식물, 곤충류들이 적정하게 살 수 있게..."
현재 전국 20개 국립공원 내 인공림 면적은 전체의 4.4%인 만5천여 헥타르로 여의도 면적의 19배나 됩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시범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숲 생태 개선사업을 모든 국립공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
정홍규 기자 dwarf@kbs.co.kr
정홍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