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요즘 동네에서 서점 찾아보기 힘듭니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전자서적의 빠른 보급으로 서점이 해마다 줄고 있는 실정인데요.
급기야 동네 주민들이 서점 지키기에 나선 곳도 있다고 합니다.
하동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소로도 유명한 신촌의 한 중형서점.
최근 이 서점이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이자 주민들이 서점지키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양리리(주민모임 대표) : "30년 전부터 마을 음악회라든가 마을 축제를 지원하면서 지역 주민과 함께 발전해온 곳인데 이런 홍익문고가 없어진단 소식을 듣고..."
서울대 입구에 있는 이 서점도 위기에 빠져 있습니다.
옛 고객들의 후원으로 근근히 버티긴 하지만 매출이 나날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운(서점 대표) : "서점들이 90년대 초반이후에 하나둘씩 다 문을 닫기 시작해서 사실상 현재는 저희 하나 남아있는 그런 상태입니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동네 서점들이 점차 문을 닫고 있습니다.
도서 구매방식의 변화에 도시개발논리까지 더해지면서 버텨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2000년도 들어서면서 동네 서점들은 해마다 줄어 지난 해에는 1700여 곳만이 살아 남았습니다.
<인터뷰> 양수열(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무위원장) : "급격히 하락세죠. 하락세고 그나마 남아있는 1,700개도 시한이 언제일지 모르는 그런 상황입니다."
서점업계는 정부가 도서정가제를 제대로 정착시켜야 동네 서점이 그나마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KBS 뉴스 하동현입니다.
요즘 동네에서 서점 찾아보기 힘듭니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전자서적의 빠른 보급으로 서점이 해마다 줄고 있는 실정인데요.
급기야 동네 주민들이 서점 지키기에 나선 곳도 있다고 합니다.
하동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소로도 유명한 신촌의 한 중형서점.
최근 이 서점이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이자 주민들이 서점지키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양리리(주민모임 대표) : "30년 전부터 마을 음악회라든가 마을 축제를 지원하면서 지역 주민과 함께 발전해온 곳인데 이런 홍익문고가 없어진단 소식을 듣고..."
서울대 입구에 있는 이 서점도 위기에 빠져 있습니다.
옛 고객들의 후원으로 근근히 버티긴 하지만 매출이 나날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운(서점 대표) : "서점들이 90년대 초반이후에 하나둘씩 다 문을 닫기 시작해서 사실상 현재는 저희 하나 남아있는 그런 상태입니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동네 서점들이 점차 문을 닫고 있습니다.
도서 구매방식의 변화에 도시개발논리까지 더해지면서 버텨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2000년도 들어서면서 동네 서점들은 해마다 줄어 지난 해에는 1700여 곳만이 살아 남았습니다.
<인터뷰> 양수열(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무위원장) : "급격히 하락세죠. 하락세고 그나마 남아있는 1,700개도 시한이 언제일지 모르는 그런 상황입니다."
서점업계는 정부가 도서정가제를 제대로 정착시켜야 동네 서점이 그나마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KBS 뉴스 하동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밀려나는 동네 서점…주민들이 지킴이로 나서
-
- 입력 2012-11-26 22:01:17

<앵커 멘트>
요즘 동네에서 서점 찾아보기 힘듭니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한 전자서적의 빠른 보급으로 서점이 해마다 줄고 있는 실정인데요.
급기야 동네 주민들이 서점 지키기에 나선 곳도 있다고 합니다.
하동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의 만남의 장소로도 유명한 신촌의 한 중형서점.
최근 이 서점이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이자 주민들이 서점지키기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양리리(주민모임 대표) : "30년 전부터 마을 음악회라든가 마을 축제를 지원하면서 지역 주민과 함께 발전해온 곳인데 이런 홍익문고가 없어진단 소식을 듣고..."
서울대 입구에 있는 이 서점도 위기에 빠져 있습니다.
옛 고객들의 후원으로 근근히 버티긴 하지만 매출이 나날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운(서점 대표) : "서점들이 90년대 초반이후에 하나둘씩 다 문을 닫기 시작해서 사실상 현재는 저희 하나 남아있는 그런 상태입니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동네 서점들이 점차 문을 닫고 있습니다.
도서 구매방식의 변화에 도시개발논리까지 더해지면서 버텨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2000년도 들어서면서 동네 서점들은 해마다 줄어 지난 해에는 1700여 곳만이 살아 남았습니다.
<인터뷰> 양수열(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무위원장) : "급격히 하락세죠. 하락세고 그나마 남아있는 1,700개도 시한이 언제일지 모르는 그런 상황입니다."
서점업계는 정부가 도서정가제를 제대로 정착시켜야 동네 서점이 그나마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KBS 뉴스 하동현입니다.
-
-
하동현 기자 hdtv@kbs.co.kr
하동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