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성공
입력 2012.11.30 (07:55)
수정 2012.11.30 (16: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바퀴없이 레일 위에 떠서 도심을 달리는 자기 부상 열차를 아십니까?
소음과 분진이 적어 차세대 교통 수단으로 꼽히는데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이해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레일 위를 시원스레 질주하는 열차.
바퀴가 없는데도 최고 시속 110킬로미터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비밀은 전자석의 힘!
선로에 8밀리미터 높이로 떠서 이동하는 자기 부상 열찹니다.
<인터뷰> 신병천(한국기계연구원 자기부상열차 사업단장) : "바람이 불거나 사람이 많이 타거나 적게 타거나 8밀리를 유지하는게 가장 중요한 기술입니다."
바퀴가 없다보니 소음이 60데시벨 이하로 일반 열차보다 15데시벨 이상 낮습니다.
분진과 진동도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차민선(시운전 차량 탑승객) : "덜컹거릴 줄 알고 탔는데 전혀 그런거 없어서 아주 편했습니다."
시범노선 구간은 인천공항에서 배후 도시까지 6개 역에 6.1킬로미터입니다.
자기 부상 열차는 시운전을 거쳐 내년 8월 일반인들이 탈 수 있도록 정식 개통될 예정입니다.
도심형의 상용화는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쨉니다.
<인터뷰> 권도엽(국토해양부 장관) : "관리비가 기존 경전철보다 30프로 이상 절감되고 또 건설비도 대폭 절감될 수 있도록 판단되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대단히 좋은 시스템입니다"
차세대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꼽히면서 독일과 미국 등도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철도와 호환이 안 돼 연계성이 부족한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바퀴없이 레일 위에 떠서 도심을 달리는 자기 부상 열차를 아십니까?
소음과 분진이 적어 차세대 교통 수단으로 꼽히는데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이해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레일 위를 시원스레 질주하는 열차.
바퀴가 없는데도 최고 시속 110킬로미터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비밀은 전자석의 힘!
선로에 8밀리미터 높이로 떠서 이동하는 자기 부상 열찹니다.
<인터뷰> 신병천(한국기계연구원 자기부상열차 사업단장) : "바람이 불거나 사람이 많이 타거나 적게 타거나 8밀리를 유지하는게 가장 중요한 기술입니다."
바퀴가 없다보니 소음이 60데시벨 이하로 일반 열차보다 15데시벨 이상 낮습니다.
분진과 진동도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차민선(시운전 차량 탑승객) : "덜컹거릴 줄 알고 탔는데 전혀 그런거 없어서 아주 편했습니다."
시범노선 구간은 인천공항에서 배후 도시까지 6개 역에 6.1킬로미터입니다.
자기 부상 열차는 시운전을 거쳐 내년 8월 일반인들이 탈 수 있도록 정식 개통될 예정입니다.
도심형의 상용화는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쨉니다.
<인터뷰> 권도엽(국토해양부 장관) : "관리비가 기존 경전철보다 30프로 이상 절감되고 또 건설비도 대폭 절감될 수 있도록 판단되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대단히 좋은 시스템입니다"
차세대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꼽히면서 독일과 미국 등도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철도와 호환이 안 돼 연계성이 부족한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성공
-
- 입력 2012-11-30 07:55:43
- 수정2012-11-30 16:28:07

<앵커 멘트>
바퀴없이 레일 위에 떠서 도심을 달리는 자기 부상 열차를 아십니까?
소음과 분진이 적어 차세대 교통 수단으로 꼽히는데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이해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레일 위를 시원스레 질주하는 열차.
바퀴가 없는데도 최고 시속 110킬로미터까지 달릴 수 있습니다.
비밀은 전자석의 힘!
선로에 8밀리미터 높이로 떠서 이동하는 자기 부상 열찹니다.
<인터뷰> 신병천(한국기계연구원 자기부상열차 사업단장) : "바람이 불거나 사람이 많이 타거나 적게 타거나 8밀리를 유지하는게 가장 중요한 기술입니다."
바퀴가 없다보니 소음이 60데시벨 이하로 일반 열차보다 15데시벨 이상 낮습니다.
분진과 진동도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차민선(시운전 차량 탑승객) : "덜컹거릴 줄 알고 탔는데 전혀 그런거 없어서 아주 편했습니다."
시범노선 구간은 인천공항에서 배후 도시까지 6개 역에 6.1킬로미터입니다.
자기 부상 열차는 시운전을 거쳐 내년 8월 일반인들이 탈 수 있도록 정식 개통될 예정입니다.
도심형의 상용화는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쨉니다.
<인터뷰> 권도엽(국토해양부 장관) : "관리비가 기존 경전철보다 30프로 이상 절감되고 또 건설비도 대폭 절감될 수 있도록 판단되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대단히 좋은 시스템입니다"
차세대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꼽히면서 독일과 미국 등도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철도와 호환이 안 돼 연계성이 부족한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
-
이해연 기자 haeyon@kbs.co.kr
이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