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최장 기간의 피랍…앞으로의 과제는?

입력 2012.12.01 (21:01) 수정 2012.12.01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시아와 유럽을 최단 항로로 잇는 소말리아 북부 지역의 아덴만은 해마다 2만여 척의 배가 오가는 바닷길의 요충지입니다.

이들을 노린 해적들의 출몰도 빈번한데요.

지금까지 우리 선원만 9차례나 납치됐습니다.

이번 제미니호의 19개월 간의 피랍은 한국인 선원으로는 최장 기간을 가록하게 됐는데, 왜 이렇게 오래 붙잡혀 있었는지, 재발방지책은 없는지 서지영 기자가 심층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월 피랍 6일 만에 군사작전으로 선원 21명이 모두 구출된 삼호 주얼리호,

당시 청해부대 최영함은 '아덴만 여명' 작전을 통해 소말리아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습니다.

그로부터 3개월 뒤 해적들은 한국인 선원 4명을 태운 '제미니호'를 또다시 납치합니다.

해적들은 선원들의 몸값에 더해 숨진 해적들에 대한 보상과, 생포 해적의 맞교환까지 요구했습니다.

<녹취> '제미니호' 선원 납치 해적: "한국인 특공대가 동료들을 죽였으니 우리에게 보상해야 합니다. 한국 정부가 침묵한다면 인질들은 계속 잡혀있을 겁니다."

7개월 만의 협상 끝에 지난해 11월 외국인 선원 21명은 풀려났지만 한국인 선원들만 또다시 붙잡혔습니다.

해적들이 협상금만 챙기고 한국인 선원 4명만 인질로 잡은 채 추가 몸값을 요구하며 도망간 겁니다.

억류 장소가 소말리아 내륙이어서 우리 해군의 구출작전도 힘들었고 지리한 협상 줄다리기가 이어지면서 가족들의 고통도 커져 갔습니다.

<녹취> 이지선(제미니호 피랍 선원 가족): "제가 대학생이 된 후에 아버지 얼굴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유럽연합 등 국제 사회의 해적 소탕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해적들은 인질 맞교환 요구를 철회하고 비현실적이었던 몸값도 낮추면서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국제사회 공조 속에 해적 피랍 사건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해적들은 이미 납치한 선원들의 몸값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선원 피난처' 설치에 관한 법의 조속한 시행과 무장요원 탑승 의무화 방안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최장 기간의 피랍…앞으로의 과제는?
    • 입력 2012-12-01 21:51:57
    • 수정2012-12-01 21:52:27
    뉴스 9
<앵커 멘트> 아시아와 유럽을 최단 항로로 잇는 소말리아 북부 지역의 아덴만은 해마다 2만여 척의 배가 오가는 바닷길의 요충지입니다. 이들을 노린 해적들의 출몰도 빈번한데요. 지금까지 우리 선원만 9차례나 납치됐습니다. 이번 제미니호의 19개월 간의 피랍은 한국인 선원으로는 최장 기간을 가록하게 됐는데, 왜 이렇게 오래 붙잡혀 있었는지, 재발방지책은 없는지 서지영 기자가 심층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월 피랍 6일 만에 군사작전으로 선원 21명이 모두 구출된 삼호 주얼리호, 당시 청해부대 최영함은 '아덴만 여명' 작전을 통해 소말리아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했습니다. 그로부터 3개월 뒤 해적들은 한국인 선원 4명을 태운 '제미니호'를 또다시 납치합니다. 해적들은 선원들의 몸값에 더해 숨진 해적들에 대한 보상과, 생포 해적의 맞교환까지 요구했습니다. <녹취> '제미니호' 선원 납치 해적: "한국인 특공대가 동료들을 죽였으니 우리에게 보상해야 합니다. 한국 정부가 침묵한다면 인질들은 계속 잡혀있을 겁니다." 7개월 만의 협상 끝에 지난해 11월 외국인 선원 21명은 풀려났지만 한국인 선원들만 또다시 붙잡혔습니다. 해적들이 협상금만 챙기고 한국인 선원 4명만 인질로 잡은 채 추가 몸값을 요구하며 도망간 겁니다. 억류 장소가 소말리아 내륙이어서 우리 해군의 구출작전도 힘들었고 지리한 협상 줄다리기가 이어지면서 가족들의 고통도 커져 갔습니다. <녹취> 이지선(제미니호 피랍 선원 가족): "제가 대학생이 된 후에 아버지 얼굴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유럽연합 등 국제 사회의 해적 소탕 움직임이 본격화되자, 해적들은 인질 맞교환 요구를 철회하고 비현실적이었던 몸값도 낮추면서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국제사회 공조 속에 해적 피랍 사건은 줄어드는 추세지만 해적들은 이미 납치한 선원들의 몸값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선원 피난처' 설치에 관한 법의 조속한 시행과 무장요원 탑승 의무화 방안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