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경제] 절차 복잡 ‘리콜’ 소비자 외면

입력 2012.12.05 (06:43) 수정 2012.12.05 (07: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에서도 자동차 등 각종 공산품의 리콜이 늘고는 있지만, 과정이 복잡하다보니 소비자들이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의 만족도도 낮았습니다.

윤영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5월 차량의 브레이크 이상을 발견한 이 씨,

몇 달 뒤에야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차량 리콜 소비자): "그 때까지 연락을 받았던 거는 없던 것 같고 제가 직접 인터넷에 찾아 보고 제가 확인을 해서 연락을 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 소비자의 65%가 가장 강력하게 리콜을 실시해야하는 품목으로 자동차를 꼽았습니다.

리콜이 가장 안되는 제품도 자동차로 나타났고 만족도 역시 가장 낮았습니다.

전체 대상자 가운데 34%는 리콜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리콜 과정이 복잡하다는 이유가 30퍼센트로 가장 많았고, 귀찮아서와 정보를 늦게 접해서 순이었습니다.

리콜 관련 법들의 용어나 규제 수준도 제각각이어서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최은실(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위해정보팀 부장): "소비자들이 알기 쉬운 '리콜'로 용어를 통일하고 사업자단체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리콜해주는 업무 매뉴얼이 필요합니다."

또 리콜의 본래 목적인 위해 방지를 위해 리콜 정보가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한 통합 리콜 정보 사이트가 필요하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절차 복잡 ‘리콜’ 소비자 외면
    • 입력 2012-12-05 06:45:56
    • 수정2012-12-05 07:11:12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국내에서도 자동차 등 각종 공산품의 리콜이 늘고는 있지만, 과정이 복잡하다보니 소비자들이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의 만족도도 낮았습니다. 윤영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5월 차량의 브레이크 이상을 발견한 이 씨, 몇 달 뒤에야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차량 리콜 소비자): "그 때까지 연락을 받았던 거는 없던 것 같고 제가 직접 인터넷에 찾아 보고 제가 확인을 해서 연락을 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 소비자의 65%가 가장 강력하게 리콜을 실시해야하는 품목으로 자동차를 꼽았습니다. 리콜이 가장 안되는 제품도 자동차로 나타났고 만족도 역시 가장 낮았습니다. 전체 대상자 가운데 34%는 리콜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리콜 과정이 복잡하다는 이유가 30퍼센트로 가장 많았고, 귀찮아서와 정보를 늦게 접해서 순이었습니다. 리콜 관련 법들의 용어나 규제 수준도 제각각이어서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최은실(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위해정보팀 부장): "소비자들이 알기 쉬운 '리콜'로 용어를 통일하고 사업자단체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리콜해주는 업무 매뉴얼이 필요합니다." 또 리콜의 본래 목적인 위해 방지를 위해 리콜 정보가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한 통합 리콜 정보 사이트가 필요하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