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사회적기업 활성화…해외 성공 사례는?

입력 2013.01.06 (21:15) 수정 2013.01.06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상생과 경제적 이윤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은 경제 민주화의 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현재 정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 기업은 774곳, 앞으로 5년 동안 3천개로 늘리겠다는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내적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우한울 기자가, 먼저 사회적 기업의 현 주소를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 장수마을의 한 목공소.

목수가 원목을 깎아, 마을 사랑방 간판을 만듭니다.

노후 마을 주거지를 꾸미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마을 재생사업으로 5년 만에 매출 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인터뷰> 박학용(사회적기업 '동네목수' 대표) : "집 고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의지하고 살아갈 사람들이 같이 사는 것이거든요."

하지만, 반대사례가 더 많습니다.

서울시 선정 예비 사회적기업' 가운데, 정부 인증을 받은 곳은 4곳 중 한곳 뿐.. 나머지는 2년간의 지원이 끝나자, 폐업하거나 사회적 기업을 포기했습니다.

상당수가 직원 1인당 98만 원씩 지원되는 인건비만 보고 뛰어들었기 때문.

정부 인증을 받은 곳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인터뷰> 정명옥('행복을파는장사꾼' 대표) : "한 사람 월급도 안 나와요. 이 인원이 다 매달려서 해도 그러니까 이런 일 해 가지고는 안된다는 거에요."

<인터뷰> 양세훈(한국정책분석평가원장) : "취약계층 몇명 고용하면 인건비 준다는 이 방식은 실제로 국가가 해야될 일을 민간에 다 그냥 떠넘겼다고 봅니다."

지난해 지원예산 1,760억 원 가운데 70%는 인건비.

외형 키우기보다 사회적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내실있는 지원을 고민할 땝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앵커 멘트>

이러다보니 실제로 절반 넘는 사회적 기업이 정부 인건비에 의존한 일자리 제공 형태의 기업들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 지향적 기업 수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복지 사각지대를 메우며 취약계층을 돌보는 외국의 사회적 기업을 김학재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여든 살 이상 고령 노인들만 있는 양로원입니다.

가족들이 내는 간병비로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이 양로원에 입소를 희망하는 노인 대기자만 백명이 넘습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양로원은 입소 절차가 까다롭지만 이곳은 기업이다 보니 편리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녹취> 로베르토 말라구티(양로원 시설 책임자) : "(정부를 거치지 않고) 가족들에게 노인을 직접 인계받아 많이 돌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리의 쎄느강 주변에 나무를 심는 사람들.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는 노숙자들입니다.

하루 5시간 강둑을 청소하고 생태 공원을 조성하는 일로 우리 돈 90만원을 받습니다.

<녹취> 바씨브와(프랑스 파리 노숙자) : "생계가 어려웠는데 새롭게 출발하는 가능성을 얻었습니다."

이 사회적 기업의 노숙자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220여 명은 정식 취업해 노숙 생활을 청산했습니다.

버려진 땅은 이렇게 녹지로 탈바꿈했습니다.

노숙자들에게는 재활할수 있는 일자리를 주고 세느강 주변의 환경도 살리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정부를 대신해 취약 계층을 돕는 외국의 사회적 기업들.

사회 안전망을 넓히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사회적기업 활성화…해외 성공 사례는?
    • 입력 2013-01-06 21:18:21
    • 수정2013-01-06 21:50:52
    뉴스 9
<앵커 멘트> 상생과 경제적 이윤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은 경제 민주화의 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현재 정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 기업은 774곳, 앞으로 5년 동안 3천개로 늘리겠다는게 정부의 목표입니다. 하지만 내적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우한울 기자가, 먼저 사회적 기업의 현 주소를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 장수마을의 한 목공소. 목수가 원목을 깎아, 마을 사랑방 간판을 만듭니다. 노후 마을 주거지를 꾸미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마을 재생사업으로 5년 만에 매출 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인터뷰> 박학용(사회적기업 '동네목수' 대표) : "집 고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의지하고 살아갈 사람들이 같이 사는 것이거든요." 하지만, 반대사례가 더 많습니다. 서울시 선정 예비 사회적기업' 가운데, 정부 인증을 받은 곳은 4곳 중 한곳 뿐.. 나머지는 2년간의 지원이 끝나자, 폐업하거나 사회적 기업을 포기했습니다. 상당수가 직원 1인당 98만 원씩 지원되는 인건비만 보고 뛰어들었기 때문. 정부 인증을 받은 곳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인터뷰> 정명옥('행복을파는장사꾼' 대표) : "한 사람 월급도 안 나와요. 이 인원이 다 매달려서 해도 그러니까 이런 일 해 가지고는 안된다는 거에요." <인터뷰> 양세훈(한국정책분석평가원장) : "취약계층 몇명 고용하면 인건비 준다는 이 방식은 실제로 국가가 해야될 일을 민간에 다 그냥 떠넘겼다고 봅니다." 지난해 지원예산 1,760억 원 가운데 70%는 인건비. 외형 키우기보다 사회적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내실있는 지원을 고민할 땝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앵커 멘트> 이러다보니 실제로 절반 넘는 사회적 기업이 정부 인건비에 의존한 일자리 제공 형태의 기업들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 지향적 기업 수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복지 사각지대를 메우며 취약계층을 돌보는 외국의 사회적 기업을 김학재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여든 살 이상 고령 노인들만 있는 양로원입니다. 가족들이 내는 간병비로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이 양로원에 입소를 희망하는 노인 대기자만 백명이 넘습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양로원은 입소 절차가 까다롭지만 이곳은 기업이다 보니 편리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녹취> 로베르토 말라구티(양로원 시설 책임자) : "(정부를 거치지 않고) 가족들에게 노인을 직접 인계받아 많이 돌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리의 쎄느강 주변에 나무를 심는 사람들.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는 노숙자들입니다. 하루 5시간 강둑을 청소하고 생태 공원을 조성하는 일로 우리 돈 90만원을 받습니다. <녹취> 바씨브와(프랑스 파리 노숙자) : "생계가 어려웠는데 새롭게 출발하는 가능성을 얻었습니다." 이 사회적 기업의 노숙자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220여 명은 정식 취업해 노숙 생활을 청산했습니다. 버려진 땅은 이렇게 녹지로 탈바꿈했습니다. 노숙자들에게는 재활할수 있는 일자리를 주고 세느강 주변의 환경도 살리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정부를 대신해 취약 계층을 돕는 외국의 사회적 기업들. 사회 안전망을 넓히는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