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상처 보듬은 영국인 의사 부부 훈장
입력 2013.01.26 (21:18)
수정 2013.01.26 (22: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25 전쟁 직후 한국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펼친 영국인 의사에게 정전 60년을 맞아 수교훈장 흥인장이 수여됐습니다.
이들 부부는 한국이 재기할 것을 믿으며 당시 사진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런던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6.25 직후였던 1954년.
넘쳐나는 환자들에 비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영국 웨스트민스터 병원 의사였던 존 콘스박사는 BBC 방송을 통해 6.25의 참상을 보고 간호사였던 부인 진 매리 콘스씨와 함께 한국으로 향했습니다.
군산 도립병원에 도착한 콘스박사는 밀려드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부인과 함께 간호사 양성학교를 만들었습니다.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땀흘려 일하는 농부, 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보고 이들은 한국인들이 폐허를 딛고 부강한 나라를 건설할 것이라 믿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1년 숨진 존 콘스박사에게 흥인장 수여하면서 그와 부인의 헌신에 감사했습니다.
<녹취> 박석환(주영 대사)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주영 한국대사관은 6.25 정전 60년을 맞아 우리를 도왔던 영국인들을 적극 발굴해서 이들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6.25 전쟁 직후 한국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펼친 영국인 의사에게 정전 60년을 맞아 수교훈장 흥인장이 수여됐습니다.
이들 부부는 한국이 재기할 것을 믿으며 당시 사진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런던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6.25 직후였던 1954년.
넘쳐나는 환자들에 비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영국 웨스트민스터 병원 의사였던 존 콘스박사는 BBC 방송을 통해 6.25의 참상을 보고 간호사였던 부인 진 매리 콘스씨와 함께 한국으로 향했습니다.
군산 도립병원에 도착한 콘스박사는 밀려드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부인과 함께 간호사 양성학교를 만들었습니다.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땀흘려 일하는 농부, 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보고 이들은 한국인들이 폐허를 딛고 부강한 나라를 건설할 것이라 믿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1년 숨진 존 콘스박사에게 흥인장 수여하면서 그와 부인의 헌신에 감사했습니다.
<녹취> 박석환(주영 대사)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주영 한국대사관은 6.25 정전 60년을 맞아 우리를 도왔던 영국인들을 적극 발굴해서 이들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전쟁 상처 보듬은 영국인 의사 부부 훈장
-
- 입력 2013-01-26 21:20:48
- 수정2013-01-26 22:44:03

<앵커 멘트>
6.25 전쟁 직후 한국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펼친 영국인 의사에게 정전 60년을 맞아 수교훈장 흥인장이 수여됐습니다.
이들 부부는 한국이 재기할 것을 믿으며 당시 사진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런던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6.25 직후였던 1954년.
넘쳐나는 환자들에 비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영국 웨스트민스터 병원 의사였던 존 콘스박사는 BBC 방송을 통해 6.25의 참상을 보고 간호사였던 부인 진 매리 콘스씨와 함께 한국으로 향했습니다.
군산 도립병원에 도착한 콘스박사는 밀려드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부인과 함께 간호사 양성학교를 만들었습니다.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땀흘려 일하는 농부, 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보고 이들은 한국인들이 폐허를 딛고 부강한 나라를 건설할 것이라 믿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1년 숨진 존 콘스박사에게 흥인장 수여하면서 그와 부인의 헌신에 감사했습니다.
<녹취> 박석환(주영 대사)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주영 한국대사관은 6.25 정전 60년을 맞아 우리를 도왔던 영국인들을 적극 발굴해서 이들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6.25 전쟁 직후 한국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펼친 영국인 의사에게 정전 60년을 맞아 수교훈장 흥인장이 수여됐습니다.
이들 부부는 한국이 재기할 것을 믿으며 당시 사진을 지금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런던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6.25 직후였던 1954년.
넘쳐나는 환자들에 비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영국 웨스트민스터 병원 의사였던 존 콘스박사는 BBC 방송을 통해 6.25의 참상을 보고 간호사였던 부인 진 매리 콘스씨와 함께 한국으로 향했습니다.
군산 도립병원에 도착한 콘스박사는 밀려드는 환자를 치료하면서 부인과 함께 간호사 양성학교를 만들었습니다.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땀흘려 일하는 농부, 시장의 활기찬 모습을 보고 이들은 한국인들이 폐허를 딛고 부강한 나라를 건설할 것이라 믿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1년 숨진 존 콘스박사에게 흥인장 수여하면서 그와 부인의 헌신에 감사했습니다.
<녹취> 박석환(주영 대사)
<녹취> 진 매리 콘스 여사
주영 한국대사관은 6.25 정전 60년을 맞아 우리를 도왔던 영국인들을 적극 발굴해서 이들의 업적을 기리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
박장범 기자 newsguy@kbs.co.kr
박장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